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론" 대구대학교출판부 2011
2 정용석,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 기초 연구 : 역사적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61-176, 2003
3 정용석, "특수아동의 선정․배치 과정에서의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 학습장애아동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95-112, 2011
4 교육부, "특수교육통계(2000a ~2016)"
5 민천식,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담론"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213-229, 2010
6 김병하, "특수교육의 정체성: 보편성과 특수성의 논쟁"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67-90, 2003
7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2000a ~2016)" 2016
8 한경근, "특수교육 발전 양상에 따른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논의" 16 : 117-135, 2006
9 김병하,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 : 한국적 상황과 딜레마" 2 (2): 1-22, 2001
10 정용석, "통합교육은 좋은 것이고 분리교육은 나쁜 것인가?"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89-206, 2013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론" 대구대학교출판부 2011
2 정용석,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 기초 연구 : 역사적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61-176, 2003
3 정용석, "특수아동의 선정․배치 과정에서의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 학습장애아동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95-112, 2011
4 교육부, "특수교육통계(2000a ~2016)"
5 민천식,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담론"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213-229, 2010
6 김병하, "특수교육의 정체성: 보편성과 특수성의 논쟁"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67-90, 2003
7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2000a ~2016)" 2016
8 한경근, "특수교육 발전 양상에 따른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논의" 16 : 117-135, 2006
9 김병하,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 : 한국적 상황과 딜레마" 2 (2): 1-22, 2001
10 정용석, "통합교육은 좋은 것이고 분리교육은 나쁜 것인가?"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89-206, 2013
11 정용석, "통합교육에 대한 한국문화적 분석 : 통합교육 장면에 대한 선택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55-487, 2006
12 정용석, "통합과 분리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육 실천모형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25-42, 2004
13 강종구, "일반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하는 특수교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1-23, 2015
14 김병하, "대구특수교육사" 대구대학교출판부 2007
15 김남진, "교육복지사업을 통해 본 한국 특수교육학의 정체성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48-168, 2015
16 Kelly, E. J., "Toward a comprehensive paradigm of special education functions" 2 (2): 273-281, 1969
17 Skrtic, T. M, "The special education paradox : equity as the way to excellence" 61 (61): 148-183, 1991
18 MacMillan, D. L., "The social context of Dunn : Then and now" 27 (27): 466-480, 1994
19 MacMillan, D. L., "The mentally retarded label : A theoritical analysis and review of research" 79 : 466-480, 1974
20 Nisbett, R. E., "The geography of thought" Simon & Schuster 2003
21 Goldstein, H., "The efficiency of special class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University of Illinois, Institute for Exceptional Children 1965
22 Dunn, L. M., "Special education for the mildly retarded: Is much of it justified?" 35 : 5-22, 1968
23 Skrtic, T. M., "School restructuring, social constructivism, and democracy: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in post-industrial age" Dageu University 21-69, 1996
24 Lipsky, D. K., "Inclusion and school restructuring, and remaking of America society" 66 (66): 762-795, 1996
25 MacMillan, D. L., "Full inclusion : An empirical perspective" 21 (21): 145-159, 1996
26 Markus, H. R., "Culture and the self :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98 (98): 224-253, 1991
27 Skrtic, T. M., "Behind special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f professional culture and social organization" Love Publishing Company 1991
28 박승희, "2000년대 한국 특수학급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 :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일반학급의 관계 구도의 진전" 33 (33): 35-66,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