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특수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일 연구: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den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ith focus on Professional Knowledge in Special Class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8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iden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ith focus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 special class teacher.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eachers in special class have professional knowledge such as teacher's certificate of special education. Second, it appears that regular education teachers have naive perspective to speci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Third, it seems that special class has been managed by special education initiative, not by regular education initiative. Throug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accumulate special education knowledge differentiated from regular education knowledge. Second, we need cautious to establish separated special education system, not inclusive special education system in Korea. Third, we need additional study to explore iden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including goal, methodology, curriculum etc.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iden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ith focus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 special class teacher.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iden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ith focus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 special class teacher.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eachers in special class have professional knowledge such as teacher's certificate of special education. Second, it appears that regular education teachers have naive perspective to speci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Third, it seems that special class has been managed by special education initiative, not by regular education initiative. Throug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accumulate special education knowledge differentiated from regular education knowledge. Second, we need cautious to establish separated special education system, not inclusive special education system in Korea. Third, we need additional study to explore iden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including goal, methodology, curriculum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교사의 전문성을 검토함으로써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도별 차이를 밝히기 위해 3개 시도(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보면, 첫째, 특수학급 담당자의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확보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시도별로 차이가 있다. 둘째, 일반교육에서 특수학급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성은 낮게 인식된다. 특수학급 담당 일반교육교사의 특수교육 자격증의 소지 비율은 낮게 나타났는데, 일반교육 자격증만으로도 특수학급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특수학급 교육은 일반교육보다는 특수교육 주도이다. 특수학급은 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특수교육 자격증을 획득하여 교육하는 일반교육 주도이기보다는 특수교육 관련학과에서 자격증을 획득한 특수교육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특수교육의 전개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육교사들은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일반교육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에서는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한 대안적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교육과 특수교육과의 관계에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은 이원론적이며, 일반교육은 일반교육교사가 특수교육교사가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룬 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 영역 이외의 특수교육의 준거요인(예, 목적, 방법론, 교육과정 등)을 통한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교사의 전문성을 검토함으로써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도별 차이를 밝히기 위해 3개 시도(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도)를 선정하였...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교사의 전문성을 검토함으로써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도별 차이를 밝히기 위해 3개 시도(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보면, 첫째, 특수학급 담당자의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확보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시도별로 차이가 있다. 둘째, 일반교육에서 특수학급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성은 낮게 인식된다. 특수학급 담당 일반교육교사의 특수교육 자격증의 소지 비율은 낮게 나타났는데, 일반교육 자격증만으로도 특수학급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특수학급 교육은 일반교육보다는 특수교육 주도이다. 특수학급은 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특수교육 자격증을 획득하여 교육하는 일반교육 주도이기보다는 특수교육 관련학과에서 자격증을 획득한 특수교육교사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특수교육의 전개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육교사들은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일반교육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에서는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한 대안적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교육과 특수교육과의 관계에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은 이원론적이며, 일반교육은 일반교육교사가 특수교육교사가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룬 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 영역 이외의 특수교육의 준거요인(예, 목적, 방법론, 교육과정 등)을 통한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론" 대구대학교출판부 2011

      2 정용석,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 기초 연구 : 역사적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61-176, 2003

      3 정용석, "특수아동의 선정․배치 과정에서의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 학습장애아동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95-112, 2011

      4 교육부, "특수교육통계(2000a ~2016)"

      5 민천식,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담론"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213-229, 2010

      6 김병하, "특수교육의 정체성: 보편성과 특수성의 논쟁"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67-90, 2003

      7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2000a ~2016)" 2016

      8 한경근, "특수교육 발전 양상에 따른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논의" 16 : 117-135, 2006

      9 김병하,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 : 한국적 상황과 딜레마" 2 (2): 1-22, 2001

      10 정용석, "통합교육은 좋은 것이고 분리교육은 나쁜 것인가?"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89-206, 2013

      1 김병하, "한국특수교육론" 대구대학교출판부 2011

      2 정용석,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 기초 연구 : 역사적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61-176, 2003

      3 정용석, "특수아동의 선정․배치 과정에서의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존재론적 구조: 학습장애아동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95-112, 2011

      4 교육부, "특수교육통계(2000a ~2016)"

      5 민천식,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담론"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213-229, 2010

      6 김병하, "특수교육의 정체성: 보편성과 특수성의 논쟁"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67-90, 2003

      7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2000a ~2016)" 2016

      8 한경근, "특수교육 발전 양상에 따른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논의" 16 : 117-135, 2006

      9 김병하,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 재구조화 : 한국적 상황과 딜레마" 2 (2): 1-22, 2001

      10 정용석, "통합교육은 좋은 것이고 분리교육은 나쁜 것인가?"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89-206, 2013

      11 정용석, "통합교육에 대한 한국문화적 분석 : 통합교육 장면에 대한 선택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55-487, 2006

      12 정용석, "통합과 분리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육 실천모형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25-42, 2004

      13 강종구, "일반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하는 특수교사 정체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1-23, 2015

      14 김병하, "대구특수교육사" 대구대학교출판부 2007

      15 김남진, "교육복지사업을 통해 본 한국 특수교육학의 정체성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48-168, 2015

      16 Kelly, E. J., "Toward a comprehensive paradigm of special education functions" 2 (2): 273-281, 1969

      17 Skrtic, T. M, "The special education paradox : equity as the way to excellence" 61 (61): 148-183, 1991

      18 MacMillan, D. L., "The social context of Dunn : Then and now" 27 (27): 466-480, 1994

      19 MacMillan, D. L., "The mentally retarded label : A theoritical analysis and review of research" 79 : 466-480, 1974

      20 Nisbett, R. E., "The geography of thought" Simon & Schuster 2003

      21 Goldstein, H., "The efficiency of special class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University of Illinois, Institute for Exceptional Children 1965

      22 Dunn, L. M., "Special education for the mildly retarded: Is much of it justified?" 35 : 5-22, 1968

      23 Skrtic, T. M., "School restructuring, social constructivism, and democracy: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in post-industrial age" Dageu University 21-69, 1996

      24 Lipsky, D. K., "Inclusion and school restructuring, and remaking of America society" 66 (66): 762-795, 1996

      25 MacMillan, D. L., "Full inclusion : An empirical perspective" 21 (21): 145-159, 1996

      26 Markus, H. R., "Culture and the self :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98 (98): 224-253, 1991

      27 Skrtic, T. M., "Behind special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f professional culture and social organization" Love Publishing Company 1991

      28 박승희, "2000년대 한국 특수학급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 :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일반학급의 관계 구도의 진전" 33 (33): 35-66,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