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鷄林類事 高麗方言』 전사 양상의 음운론적 접근 = A Study on the phonological approach to the phonological aspect of Gyerimyusa Goryeobange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s of Gyerimyusa Goryeobangeon written by Son, Mok(孫穆), and to examine the phonological aspects necessary to decipher the Goryeo languag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d the Chinese language no...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s of Gyerimyusa Goryeobangeon written by Son, Mok(孫穆), and to examine the phonological aspects necessary to decipher the Goryeo languag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amined the Chinese language notes of the time based on the period of Song(宋), which is reflected in So, Ong(邵雍), and what principles were used to write down the Goryeo language. The actual translated pattern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internal order of Gyerimyusa, and the transcription patterns of substantives, predicates, or sentences. As a result, substantives are usually transferred in a single form, which reflects the simplification of the word /h/ or consonant group. In the predicates or sentence, only one word(upper root) is divided into two types: transcription (amplification, command, origin, questioning), three-way transcription, and quadrupole transcription. It is difficult to decipher when transcribed in the same Chinese characters as the heading clause. The Gyerimyusa seems to have more function of indicating meaning than previously pointed out with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This may result in the selection of the best transcrip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next best phonograph. Finally, depending on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language, it can be seen that the consonant and vowel positions are the same or great in the next syllable transcription, as well as the link between the consonant and the vow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宋代에 孫穆에 의해 작성된 『鷄林類事 高麗方言』에서 高麗語의 轉寫 양상을 살피고, 이로써 고려어를 해독하는 데에 필요한 음운론적인 면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

      이 글은 宋代에 孫穆에 의해 작성된 『鷄林類事 高麗方言』에서 高麗語의 轉寫 양상을 살피고, 이로써 고려어를 해독하는 데에 필요한 음운론적인 면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邵雍의 「皇極經世聲音唱和圖」에 반영되어 있는 송대의 音系를 바탕으로 하여 당시 한어의 음을 파악하고, 고려어를 어떤 원칙에 따라 적으려고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제 전사 양상을 『계림유사』의 내적 질서에 따라 체언, 용언 또는 문장의 전사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체언은 대개 단독형으로 전사되어 있는데, 이들을 전사하는 데에는 어간 말의 /ㅎ/은 반영하지 않고 자음군 단순화를 반영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조사와 결합형을 설정하여 체언을 해독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翅’를 이용하여 어간 말음을 전사한 것이 있는데, 이것을 어간 말의 /ㅊ/을 적기 위한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자료 전체의 전사 방향을 보면 다음절 어간으로 쓰이던 것을 반영한 것일 수도 있다. 용언 또는 문장에서는 ①어간(어근)만을 전사, ②종결형을 전사(감탄, 명령, 기원, 의문), ③부동사형을 전사, ④동명사형을 전사하는 유형으로 나뉜다. 표제항과 동일한 한자로 전사된 경우에는 어떻게 해독을 해야 하는지 어려움이 있으나, 만일 다 음독을 한 것이라고 한다면 ‘212. 絲曰 絲’와 같이 ‘絲’가 고려어 ‘시’를 나타낸 것일 가능성이 있다. 『계림유사』에는 한자의 표의적 기능을 담아 전사한 것들이 기존에 지적된 것보다도 더 많아 보인다. 이로 인해 최선의 전사자가 선택되지 못하고 차선의 전사자가 선택될 가능성도 있는데, 328번에서 ‘오라주’의 ‘오’를 나타내는 글자로 /-t/ 입성자를 쓰지 않고 /-k/ 입성인 ‘屋’을 쓰고, ‘라’를 나타내는 글자로 假攝의 글자 대신에 止攝의 ‘裏’를 쓰고, ‘주’를 나타내는 글자로 遇攝의 글자 대신에 ‘좌’에 해당하는 음상의 ‘坐’를 씀으로써 정확한 표음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끝으로 한어의 음운론적 특성에 따라 다음절어 전사 시 조음 위치가 동일하거나 근사한 자음 운미와 성모의 연결형으로 전사되는 것이 두루 보인다. 이는 양성 운미와 비음 성모, /-t/와 來母의 연쇄로 전사된 예가 보임과 평행하다. 따라서 한자음에 음절 말 자음이 있는 것들이 후행하는 음절 초의 자음과 연이어 나타나는 경우의 해독을 할 때에는 이와 같은 음운론적인 조건을 먼저 고려하고 형태론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해독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숙, "蘭臺李應百敎授停年退任紀念論文集" 1988

      2 서재극, "중세 중국인의 한국어 용언 기술법"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8 : 119-136, 1981

      3 남광우, "일석 이희승 선생 송수기념 논총" 1993

      4 이기문, "일석 이희승 선생 송수 기념 논총" 일조각 393-407, 1957

      5 김영일, "어형 '나무[木]'의 원형과 형태 변화-『계림유사』의 표기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264) : 5-24, 2004

      6 임홍빈, "국어사와 차자표기(소곡 남풍현 선생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115-132, 1995

      7 이기문, "국어사 개설" 태학사 1998

      8 이승욱, "국어문법체계의 사적연구" 일조각 266-296, 1973

      9 權仁瀚, "고려시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일고찰-≪三國遺事≫ 所載讚詩의 押韻分析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문과 22 : 289-316, 1997

      10 권인한, "계림유사의 한어음운사적 의의" 국어학회 42 : 3-26, 2003

      1 박희숙, "蘭臺李應百敎授停年退任紀念論文集" 1988

      2 서재극, "중세 중국인의 한국어 용언 기술법"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8 : 119-136, 1981

      3 남광우, "일석 이희승 선생 송수기념 논총" 1993

      4 이기문, "일석 이희승 선생 송수 기념 논총" 일조각 393-407, 1957

      5 김영일, "어형 '나무[木]'의 원형과 형태 변화-『계림유사』의 표기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264) : 5-24, 2004

      6 임홍빈, "국어사와 차자표기(소곡 남풍현 선생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115-132, 1995

      7 이기문, "국어사 개설" 태학사 1998

      8 이승욱, "국어문법체계의 사적연구" 일조각 266-296, 1973

      9 權仁瀚, "고려시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일고찰-≪三國遺事≫ 所載讚詩의 押韻分析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문과 22 : 289-316, 1997

      10 권인한, "계림유사의 한어음운사적 의의" 국어학회 42 : 3-26, 2003

      11 권재선, "계림유사에 나타난 여대 국어 성조의 고찰" 한국어문 30 : 1-27, 1974

      12 김영국, "계림유사(鷄林類事) 전사자(轉寫字)의 표음방식(表音方式)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2 : 79-97, 2004

      13 金敏洙, "계림유사(鷄林類事)" 한글학회 124 : 231-237, 1959

      14 박창원, "계림유사 <고려방언> 의 모음체계(1)-‘아’를 중심으로-" 구결학회 6 : 173-199, 2000

      15 안병호, "계림류사와 고려시기조선어"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5

      16 권인한, "개정판 중세한국한자음훈집성" 제이앤씨 2009

      17 權仁瀚, "麗代聲調의 再構를 위한 基礎的硏究, "국어학"21" 20 : 9-233, 1991

      18 정재영, "鷄林類事의 高麗方言에 나타난 文法形態에 대한 硏究" 구결학회 (12) : 99-132, 2004

      19 이기문, "鷄林類事의 再檢討-주로 音韻史의 觀點에서"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8 : 205-248, 1968

      20 安炳浩, "鷄林類事에 表記된 일부 高麗語彙에 대한 새로운 分析" 한국국어교육학회 279-298, 2003

      21 최영선, "鷄林類事의 음운론적 연구" 전남대 2015

      22 李氣銅, "鷄林類事의 轉寫字에 대하여, "어문논집"25" 민족어문학회 25 : 351-366, 1985

      23 金完鎭, "鷄林類事와 音節末子音" 국어학회 12 : 35-46, 1983

      24 李丞宰, "鷄林類事와 借字表記資料의 關係"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30 : 159-184, 1995

      25 陳泰夏, "鷄林類事에 있어서 音節末對音表記中/ㅊ/ 終聲" 국어국문학회 84 : 206-207, 1980

      26 前間恭作, "鷄林類事麗言攷" 東洋文庫 1925

      27 陳泰夏, "鷄林類事硏究" 탑출판사 1975

      28 方鍾鉉, "鷄林類事硏究" 연세대 국학연구원 2 : 301-505, 1955

      29 姜信沆, "鷄林類事『高麗方言』硏究" 성균관대 출판부 1991

      30 金泰完, "高麗語의 <溪ㆍ透ㆍ滂>母 分析을 통한 『鷄林類事』 有氣音 考察" 한국중어중문학회 30 : 55-68, 2002

      31 金芳漢, "韓國語의 系統" 民音社 1883

      32 李敦柱, "韓中漢字音硏究" 태학사 2003

      33 곡효운, "釋“打”音" 한국중국언어학회 (32) : 23-34, 2010

      34 이돈주, "邵雍의 ?皇極經世聲音唱和圖?와 宋代漢字音" 국어학회 (43) : 3-35, 2004

      35 平山久雄, "邵雍『皇極經世聲音唱和圖』의 音韻體系" 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 120 : 49-107, 1993

      36 陸志韋, "記邵雍皇極經世的‘天聲地音’" 燕京大學 (21) : 71-80, 1941

      37 平山久雄, "言語" 大修館書店 112-166, 1967

      38 김지은, "華夷譯語의 寫音字비교 연구-朝鮮館譯語의 음가 추정을 중심으로-" 서울대 2016

      39 王力, "漢語音韻" 中文出版社 1993

      40 王力, "漢語語音史" 대일 1997

      41 權仁瀚, "朝鮮館譯語의 音韻論的硏究" 태학사 1998

      42 姜信沆, "朝鮮館譯語硏究" 성균관대 출판부 1995

      43 陳泰夏, "打’ 의 音韻變遷考-≪鷄林類事≫를 中心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48․49 : 139-163, 1993

      44 周祖謨, "宋代卞洛語音考" 中華書局 1966

      45 金完鎭, "國語史資料로서의 鷄林類事의 性格" 진단학회 71․72 : 373-381, 1991

      46 權仁瀚, "國語史硏究(전광현․송민선생의회갑기념)" 태학사(국어사연구회) 283-344, 1997

      47 有坂秀世, "国語音韻史の研究" 三省堂 601-607, 1957

      48 有坂秀世, "国語音韻史の研究" 三省堂 303-326, 1957

      49 三根谷徹, "唐代の標準語音について" 東洋文庫 57 (57): 1-16, 1976

      50 朴炳采, "古代國語의 漢字音硏究(聲類篇)"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2 : 1-70, 1966

      51 金智衡, "傳承漢字音과 ‘ㆍ’-『鷄林類事』와 『朝鮮館譯語』 수록자를 중심으로-" 한국어원학회 7 : 151-171, 2006

      52 楊耐思, "中原音韻音系"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1

      53 강길운, "『鷄林類事』의 新解讀硏究" 지식과 교양 2011

      54 문선규, "『鷄林類事』와 『朝鮮館譯語』의 l(ㄹ) 表記法考察" 국어국문학회 22 : 46-49, 1960

      55 이동석, "『鷄林類事』를 통해서 본 ‘ㅂ계 합용병서’와 ‘ㅸ’" 국어사학회 4 : 235-253, 2004

      56 김태경, "『鷄林遺事』를 통해 본 宋代漢語韻尾체계" 한국중국언어학회 17 : 559-578, 2003

      57 長田夏樹, "『皇極経世書』声音図の音価と『韻略易通』の音韻体系について-鷄林類事の朝鮮語を表す漢字音の体系と関連して-" 神戸外大 30 (30): 27-45, 1979

      58 최중호, "≪계림유사≫의 유기음에 대해서" 우리말학회 (18) : 3-25, 2006

      59 김무림, "[계림유사]의 기저 모음론 -[홍무정운역훈]을 참조하여-" 한국지명학회 12 : 5-31, 2006

      60 이은규, "<계림 유사> 차자 표기의 전산 처리와 용자례" 한국말글학회 20 : 343-417, 2003

      61 김성규, "<<계림유사>>와 15세기 국어의 성조 비교" 민족어문학회 (49) : 145-182,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4-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2 1.345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