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NS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방(Bag)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 Exploring Consumers’ Perceptions Of Bags Using The SNS Big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9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iven the rapid changes of fashion bags’ trend phenomen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s of bags based on associated words with bags using SNS big data which offer immediate and diversified comments from consumers. Text mining t...

      Given the rapid changes of fashion bags’ trend phenomen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s of bags based on associated words with bags using SNS big data which offer immediate and diversified comments from consumers. Text mining technique was used and the text data was collected from blogs, cafe, and Facebook from search engines (Naver, Daum, Google) containing the keyword of ‘bag’ with the period from Jan 1, 2018 to Dec. 31, 2019. The frequency and matrix data of words were extracted by TEXTOM, the social matrix program. NodeXL was used to fi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words and analyze the degree centrality. The network related to bags was visualized using the NetDraw program. The CONCOR analysis was performed to make a cluster of words based on their similarities. As results, the keyword ‘Price’ showed the highest rank of frequency and degree centrality followed by ‘Cross Bag’, ‘Good’, ‘Pretty’, ‘Backpack’, ‘Tote Bag’, ‘Travel Bag’, ‘Daily Bag’, ‘Purchase’, and ‘Boston Bag’ in the top 10 frequency rankings. Results looking at highly ranked 70 keywords indicated the categories of product attributes, items, brand, and TPO. The results of CONCOR analysis demonstrated four groups including ‘Luxury brand bag’, ‘Trend-seeking daily bag’, ‘Personal lifestyle bag’, and ‘Utility leisure bag’.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research by using SNS big data and provides direction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customer comments and opin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가방 유행 현상으로 소비자의 즉각적이면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는 SNS 빅데이터인 인터넷 게시물을 기반으로 가방 관련 키워드를 수집하여 가방에 대한 소비자 인식...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가방 유행 현상으로 소비자의 즉각적이면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는 SNS 빅데이터인 인터넷 게시물을 기반으로 가방 관련 키워드를 수집하여 가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와 카페, 구글 페이스북에서 가방을 키워드로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을 위해 소셜 매트릭스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통해 빈도수과 매트릭스 자료를 도출하고 노드엑셀(NodeXL)을 사용하여 단어 간 연결 구조와 연결 정도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가방 키워드 간 네트워크 시각화를 위해 넷드로(NetDraw)를 실행하고 유사성을 가진 키워드들이 형성하는 군집을 도출하기 위해 CONCOR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방에 대한 텍스트가 총 4,045건 수집되었으며 이중 가방에 대한 연관어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위 70개의 주요 키워드를 도출했다. 가방 연관어로 ‘가격’이 가장 높은 빈도수와 연결 정도 중심성을 보였으며 그다음 빈도수가 높은 10개의 연관어로는 크로스백, 좋은, 예쁜, 백 팩, 토트백, 여행 가방, 데일리 백, 구매, 보스턴백으로 나타났다. 빈도수가 높은 가방 연관어 70개를 분석한 결과, 주요 이슈 카테고리로는 제품 속성, 아이템, 브랜드, 상황 등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유사성 있는 연관어들을 군집화한 결과, ‘럭셔리 브랜드 백’, ‘트렌드 추구 데일리 백’, ‘퍼스널 라이프스타일 가방’, ‘유틸리티 레저용 가방’ 등 총 4그룹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SNS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연구범위를 확대하였으며 가방 브랜드 실무자들에게 고객 관점 상품 기획 및 마케팅 전략설정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섬유신문"

      2 김리라, "한국 여성의 일상 상황별 선호하는 패션이미지와 핸드백 디자인의 유형과 특성" 한국복식학회 68 (68): 132-149, 2018

      3 전여선, "패션콘텐츠 미디어 환경 예측을 위한 해외 SPA 브랜드의 SNS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의류학회 43 (43): 427-439, 2019

      4 "패션엔"

      5 정혜정, "패션브랜드 소셜미디어 상호작용과 혜택이 소비자-패션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7 (17): 209-220, 2019

      6 최영현, "패션·뷰티 소비에서 비거니즘의 확산 - 의미네트워크분석 -" 한국복식학회 69 (69): 75-94, 2019

      7 안효선, "패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변화에 따른 디자인 연관 이슈 비교- 구찌 컬렉션에 대한 소셜미디어 게시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277-287, 2019

      8 박해인, "업사이클 브랜드 패션가방제품의 표현 특성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9 (19): 1-14, 2017

      9 "어패럴뉴스"

      10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1 "한국섬유신문"

      2 김리라, "한국 여성의 일상 상황별 선호하는 패션이미지와 핸드백 디자인의 유형과 특성" 한국복식학회 68 (68): 132-149, 2018

      3 전여선, "패션콘텐츠 미디어 환경 예측을 위한 해외 SPA 브랜드의 SNS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의류학회 43 (43): 427-439, 2019

      4 "패션엔"

      5 정혜정, "패션브랜드 소셜미디어 상호작용과 혜택이 소비자-패션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7 (17): 209-220, 2019

      6 최영현, "패션·뷰티 소비에서 비거니즘의 확산 - 의미네트워크분석 -" 한국복식학회 69 (69): 75-94, 2019

      7 안효선, "패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변화에 따른 디자인 연관 이슈 비교- 구찌 컬렉션에 대한 소셜미디어 게시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277-287, 2019

      8 박해인, "업사이클 브랜드 패션가방제품의 표현 특성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9 (19): 1-14, 2017

      9 "어패럴뉴스"

      10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11 이아름, "빅데이터를 활용한 골프웨어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20 (20): 533-547, 2018

      12 안효선, "빅데이터 텍스트 분석을 기반으로 한 패션디자인 평가 연구 -디자인 속성과 감성 어휘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42 (42): 428-437, 2018

      13 박정은, "미디어로서의 명품가방 소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71 (71): 157-193, 2015

      14 정다울, "문화상품으로서 토트 가방에 나타난 문화정체성과 디자인 개발-한복의 모티브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8 (38): 506-517, 2014

      15 안소연, "매스티지 가방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191-208, 2017

      16 엄희경, "도시브랜딩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수요자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3 (13): 193-206, 2015

      17 김윤정,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한 패션 상권의 특성 분석" 한국의류학회 40 (40): 203-220, 2016

      18 이영주, "남성의 연령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가방 선호도" 한국의류산업학회 13 (13): 82-90, 2011

      19 김지나, "가방의 금속장식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세계 4대 패션 컬렉션의 명품브랜드 가방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177-189, 2016

      20 김정화, "가방용 3D 입체패턴 디자인 자카드 직물 개발과 감성구조"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104-111, 2019

      21 서주연, "SNS 텍스트마이닝을 중심으로 한 브랜드 목표 이미지와 브랜드 광고모델의 대중적 이미지 일치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6 (16): 219-234, 2018

      22 정혜정, "SNS 소셜 빅데이터를 통한 아웃도어 의류 소비자 특성과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현황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 18 (18): 48-62, 2016

      23 한국섬유산업 연합회 산업조사실, "Korea fashion indust ry research"

      24 Olson, J. C., "Cue utilization in the quality perception process" Association for Co nsumer Research 1972

      25 전상완, "An explor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in studies on old people physical activities in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한국운동재활학회 16 (16): 69-77, 2020

      26 송지성, "20대 직장여성을 위한 핸드백 디자인의시각적 정체성" 7 (7): 2001

      27 김정우, "20~30대 남성의 의복태도와 가방구매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35 (35): 267-280, 2011

      28 이가나,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가방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554-566, 2012

      29 김칠순, "20-30대 명품 핸드백 소유자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과 연령에 따른 구매행동 및 디자인 선호도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 13 (13): 827-83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0.77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