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회에서 전통 민요 선율에 기독교적 가사를 붙여 부르는 민요찬양의 역사적 흐름과 현대적 활용을 고찰한다. 기존의 국악찬양이 한국 전통음악 전반을 활용한 개신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회에서 전통 민요 선율에 기독교적 가사를 붙여 부르는 민요찬양의 역사적 흐름과 현대적 활용을 고찰한다. 기존의 국악찬양이 한국 전통음악 전반을 활용한 개신교 ...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회에서 전통 민요 선율에 기독교적 가사를 붙여 부르는 민요찬양의 역사적 흐름과 현대적 활용을 고찰한다. 기존의 국악찬양이 한국 전통음악 전반을 활용한 개신교 음악을 포괄하는 개념이라면, 민요찬양은 전통 민요 선율에 새로운 기독교적 가사를 붙여 교회음악으로 활용한 형태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민요찬양을 국악찬양의 하위 장르로 정의하고, 그것이 한국 개신교 내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 왔는지를 조명한다.
민요찬양의 기원은 20세기 초 <뱃노래>의 선율에 새로운 찬양 가사를 시도한 것에서 찾을 수 있으며, 당시 기독교 계열 신문에 이러한 개사 가사가 때때로 선율과 함께 수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당시 한국 개신교는 서양 찬송가 중심의 교회음악을 선호하였고, 국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여 민요를 교회음악으로 정착시키려는 시도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후 1950년대에 출간된 찬양집에서 민요찬양의 흔적이 다시 등장하며, 1980년대부터 본격화된 국악찬양의 흐름 속에서 한국국악선교회와 예가회를 중심으로 민요찬양이 재시도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정설주와 구순연은 교육, 공연, 예배, 집회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민요찬양을 확산시키며 이를 교회음악의 한 장르로 자리 잡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민요찬양은 단순히 전통 민요를 교회음악으로 차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며 발전해 왔다. 비록 그 규모는 크지 않지만, 민요찬양이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개신교인들이 신앙적ㆍ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이를 수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음악적 실천을 넘어, 한국적 기독교 음악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ontemporary use of minyo chanyang(praising songs using folk song tunes), which involves the adaptation of traditional Korean folk melodies with Christian lyrics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While e...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ontemporary use of minyo chanyang(praising songs using folk song tunes), which involves the adaptation of traditional Korean folk melodies with Christian lyrics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While existing research on Korean church music encompasses all forms of Protestant music utilizing traditional Korean music, minyo chanyang specifically refers to the adaptation of traditional folk melodies into church music. This study defines minyo chanyang as a subgenre of gugak chanyang(Koreanized church music) and analyzes how it has been formed and developed within Korean Protestantism.
The origins of minyo chanyang can be traced back to early 20th-century hymns based on the melody of the traditional “Baetnorae(Boat Song).” At that time, however, there was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general and Korean Protestants also favored Western hymns. As a result, attempts to establish folk songs as church music were largely unsuccessful. In the 1980s, with the emergence of the broader movement for Korean traditional church music, minyo chanyang was revisited and systematically developed through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Mission and the Yegahoe. Notably, in the 1990s, JEONG Seol-ju and GU Sun-yeon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minyo chanyang through education, performances, and church gatherings, helping to establish it as a recognized genre of church music.
Not only has minyo chanyang borrowed traditional folk melodies for church music, but it has also acquired new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faith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s in each era. Although it remains relatively small in scale, the continued use of minyo chanyang demonstrates that it is an important means for Korean Protestants to express both their religious and cultural identities. This development goes beyond a simple musical practice and represents a significant example of the possibilities of Koreanized church music in South Korea.
1980년대 민중문화운동권의트로트 수용 양상과 그 의미 -노래책 농민가락 차차차 를 중심으로-
2022 개정 기반 음악교과서의강원도 민요 수록 현황과 발전 과제 -중ㆍ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민요 가창자를 통해 본 여성성의 학습과 향유 -전라남도 나주시 김초례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원 지역 <소모는소리> 전승현황과 무형유산적 가치 -홍천 겨리농경문화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