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22 개정 기반 음악교과서의강원도 민요 수록 현황과 발전 과제 -중ㆍ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Status of Inclusion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in the 2022 Revised Music Textbook and Development Tasks -Focusing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874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원도 민요의 수록 비중이 현저히 낮은 현 상황을 고려하여, 향후 균형적인 민요교육을 연구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및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강원도 민요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결과에 따라 강원도 민요 교육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논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및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강원도 민요를 수집하여 그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후 추출한 강원도 민요의 지도 내용을 영역별로 살펴본 후, 음악 요소별로 세분화하여 각 요소의 구성 방식을 파악함으로써 강원도 민요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살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원도 민요는 2개의 교과서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었으나 대부분의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이 강원도아리랑으로 제한적임을 확인했다. 또한 지역별 수록을 확인했을 때 수록이 편중되어 있는 지역에 비하면 적은 수의 분포를 확인했다.
      영역별로 연주, 감상, 창작으로 분류하여 검토해 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연주영역에서 가장 많은 활동을 했고, 창작영역은 고등학교에서만 나타났다. 감상영역에서는 감상 제재곡이 극히 제한적임을 확인했다. 음악 요소의 활용을 통한 학습은 장단, 장단의 세, 토리, 시김새를 중점으로 하였다. 음악요소를 통한 학습 내용은 장단 및 장단의 세 표기의 부정확하고 교과서마다 상이하였다. 토리 지도는 시김새와 종지음의 부재로 메나리토리의 특징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향후 강원도 민요의 교육적 가치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기한 사안들에 대해서도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강원도 민요의 교육적 의미와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다양하고 지역 균등한 민요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강원도 민요의 수록 비중이 현저히 낮은 현 상황을 고려하여, 향후 균형적인 민요교육을 연구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

      본 연구는 강원도 민요의 수록 비중이 현저히 낮은 현 상황을 고려하여, 향후 균형적인 민요교육을 연구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및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강원도 민요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결과에 따라 강원도 민요 교육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논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및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강원도 민요를 수집하여 그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후 추출한 강원도 민요의 지도 내용을 영역별로 살펴본 후, 음악 요소별로 세분화하여 각 요소의 구성 방식을 파악함으로써 강원도 민요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살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원도 민요는 2개의 교과서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었으나 대부분의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이 강원도아리랑으로 제한적임을 확인했다. 또한 지역별 수록을 확인했을 때 수록이 편중되어 있는 지역에 비하면 적은 수의 분포를 확인했다.
      영역별로 연주, 감상, 창작으로 분류하여 검토해 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연주영역에서 가장 많은 활동을 했고, 창작영역은 고등학교에서만 나타났다. 감상영역에서는 감상 제재곡이 극히 제한적임을 확인했다. 음악 요소의 활용을 통한 학습은 장단, 장단의 세, 토리, 시김새를 중점으로 하였다. 음악요소를 통한 학습 내용은 장단 및 장단의 세 표기의 부정확하고 교과서마다 상이하였다. 토리 지도는 시김새와 종지음의 부재로 메나리토리의 특징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향후 강원도 민요의 교육적 가치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기한 사안들에 대해서도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강원도 민요의 교육적 의미와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다양하고 지역 균등한 민요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balanced folk song educatio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representation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is significantly low. It analyzes the educational status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included in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olk songs from Gangwon Province included in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collected, and their status was analyzed. Subsequently, the instructional content of the extracted Gangwon Province folk songs was examined by area, and then further subdivided by musical elements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of each element, thereby exploring various aspects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Gangwon Province folk songs were included in all textbooks except for two,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the songs featured in the textbooks were limited to “Gangwon Arirang.” Additionally, when examining the distribution by reg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very small number of songs compared to regions where the inclusion was concentrated.
      Based on the review categorized by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it was found th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gaged the most in the performance area, while the creation area was only present in high school. In the appreciation a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ion of appreciation pieces was extremely limited. The learning through the utilization of musical elements focused on rhythm, the nuances of rhythm, Tori, and ornamentation.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se elements revealed inaccuracies in the notation of rhythm and its nuances, which varied across different textbooks. The teaching of tori faced difficulties in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aritori due to the absence of ornamentation and final notes.
      In order for the educational value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to be effectively conveyed in the future, the issues raised in this study should be thoroughly examined.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educational value and necessity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and it is hoped that this will lead to diverse and equitable folk song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balanced folk song educatio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representation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is significantly low. It analyzes the educationa...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balanced folk song educatio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representation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is significantly low. It analyzes the educational status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included in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olk songs from Gangwon Province included in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collected, and their status was analyzed. Subsequently, the instructional content of the extracted Gangwon Province folk songs was examined by area, and then further subdivided by musical elements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of each element, thereby exploring various aspects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Gangwon Province folk songs were included in all textbooks except for two,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the songs featured in the textbooks were limited to “Gangwon Arirang.” Additionally, when examining the distribution by reg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very small number of songs compared to regions where the inclusion was concentrated.
      Based on the review categorized by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it was found th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gaged the most in the performance area, while the creation area was only present in high school. In the appreciation a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ion of appreciation pieces was extremely limited. The learning through the utilization of musical elements focused on rhythm, the nuances of rhythm, Tori, and ornamentation.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se elements revealed inaccuracies in the notation of rhythm and its nuances, which varied across different textbooks. The teaching of tori faced difficulties in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aritori due to the absence of ornamentation and final notes.
      In order for the educational value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to be effectively conveyed in the future, the issues raised in this study should be thoroughly examined.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educational value and necessity of Gangwon Province folk songs, and it is hoped that this will lead to diverse and equitable folk song edu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