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차별과 그 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지역 비교 = Types of Ageism and the Effect on Health: Comparisons of Urban and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4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cultural change the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ur types of ageism experienced by elderly Koreans, focusing on the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Data were taken from the 2013 Ageism and Health Study, a survey of 812 elderly Koreans, aged 60 to 89, recruited through a quota sampling method. Using factor analysis, ageism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stereotyping, ignoring,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discrimination in health service u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common form of ageism experienced by elderly Koreans was stereotyping. In particular, urban elderl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ll four types of ageism than their rural counterparts. Regarding the health effects of each type of ageism, being ignored and discrimination in health service use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while employment discrimin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blood pressure,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the impact of stereotyping discrimination on healt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study findings imply that public health policy makers dealing with ageism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ypes of ageism. In future, longitudinal research is needed to reveal the causal links between the various types of ageism and their health effects.
      번역하기

      Based on the cultural change the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ur types of ageism experienced by elderly Koreans, focusing on the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Data were taken from the 2013 Ageism and Health Study, a survey of 812 elder...

      Based on the cultural change the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ur types of ageism experienced by elderly Koreans, focusing on the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Data were taken from the 2013 Ageism and Health Study, a survey of 812 elderly Koreans, aged 60 to 89, recruited through a quota sampling method. Using factor analysis, ageism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stereotyping, ignoring,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discrimination in health service u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common form of ageism experienced by elderly Koreans was stereotyping. In particular, urban elderl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ll four types of ageism than their rural counterparts. Regarding the health effects of each type of ageism, being ignored and discrimination in health service use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while employment discrimin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blood pressure,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the impact of stereotyping discrimination on healt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study findings imply that public health policy makers dealing with ageism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ypes of ageism. In future, longitudinal research is needed to reveal the causal links between the various types of ageism and their health eff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노인차별은 노년기 건강과 삶의 질의 저해 요인이다. 이 연구는 문화변화이론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노인차별 경험을 유형화하고, 각 차별 유형과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할당(quota) 표본 방식을 적용하여 서울시 노인복지관 중 5개 구와 충북 G군 노인정을 중심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60-89세의 노인 812명을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노인차별의 영역을 고정관념, 무시, 고용, 의료이용 차별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노인은 각 차별 영역 중 고정관념 차별을 가장 많이 보고하였으며, 의료서비스 이용에서의 차별경험을 가장 낮게 보고하였다. 특히,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이 농촌지역의 노인에 비하여 전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노인차별 경험을 보고하였다. 각 차별 유형과 건강수준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무시차별은 우울증상, 고용차별은 고혈압, 만성질환 및 우울증상, 의료이용에서의 차별은 주관적 건강수준 및 우울증상과 유의미하게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고정관념 차별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연관성이 없었다. 이 연구결과는 노인차별 유형별 건강 위험요인에 관련된 정책적 관심과, 향후 각 노인차별 유형과 건강영향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종단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노인차별은 노년기 건강과 삶의 질의 저해 요인이다. 이 연구는 문화변화이론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노인차별 경험을 유형화하고, 각 차별 유형과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연관성을...

      노인차별은 노년기 건강과 삶의 질의 저해 요인이다. 이 연구는 문화변화이론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노인차별 경험을 유형화하고, 각 차별 유형과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할당(quota) 표본 방식을 적용하여 서울시 노인복지관 중 5개 구와 충북 G군 노인정을 중심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60-89세의 노인 812명을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노인차별의 영역을 고정관념, 무시, 고용, 의료이용 차별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노인은 각 차별 영역 중 고정관념 차별을 가장 많이 보고하였으며, 의료서비스 이용에서의 차별경험을 가장 낮게 보고하였다. 특히,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이 농촌지역의 노인에 비하여 전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노인차별 경험을 보고하였다. 각 차별 유형과 건강수준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무시차별은 우울증상, 고용차별은 고혈압, 만성질환 및 우울증상, 의료이용에서의 차별은 주관적 건강수준 및 우울증상과 유의미하게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고정관념 차별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연관성이 없었다. 이 연구결과는 노인차별 유형별 건강 위험요인에 관련된 정책적 관심과, 향후 각 노인차별 유형과 건강영향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종단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양곤, "현대사회에서의 노인차별-노인의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47-60, 2002

      2 이순희, "차별에 대한 노인의 경험"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1 (11): 45-68, 2010

      3 김주현, "연령주의(Ageism)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한국사회사학회 (82) : 361-391, 2009

      4 김종숙, "여성노인의 사회참여 실태조사. 고령화사회대비 여성노인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정책토론회"

      5 임춘식, "세계의 노인복지정책" 학현사 244-315, 1995

      6 김욱,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21-35, 2003

      7 이지영, "노인차별에 대한 노인의 의미화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205-1232, 2009

      8 한동희, "노인차별에 관한 연구-공공영역에서의 노인차별-" 78-93, 2002

      9 신학진,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절망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191-216, 2012

      10 전상남,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1 (31): 925-938, 2011

      1 고양곤, "현대사회에서의 노인차별-노인의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47-60, 2002

      2 이순희, "차별에 대한 노인의 경험"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1 (11): 45-68, 2010

      3 김주현, "연령주의(Ageism)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한국사회사학회 (82) : 361-391, 2009

      4 김종숙, "여성노인의 사회참여 실태조사. 고령화사회대비 여성노인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정책토론회"

      5 임춘식, "세계의 노인복지정책" 학현사 244-315, 1995

      6 김욱,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21-35, 2003

      7 이지영, "노인차별에 대한 노인의 의미화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205-1232, 2009

      8 한동희, "노인차별에 관한 연구-공공영역에서의 노인차별-" 78-93, 2002

      9 신학진,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절망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191-216, 2012

      10 전상남,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1 (31): 925-938, 2011

      11 천희란, "노인차별(ageism)의 사회경제적 관련요인과 건강영향" 한국노년학회 33 (33): 601-615, 2013

      12 원영희,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297-322, 2005

      13 원영희, "노인에 대한 사회차별 실태조사: 개인적및 제도적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국가인권위원회 2006

      14 박현식, "공공부조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차별경험과 우울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41) : 7-26, 2008

      15 Williams, A, "Young people’'s beliefs about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 initial cross-cultural comparison" 24 (24): 370-393, 1997

      16 Bowling, A, "What is successful aging and who should define it?" 331 (331): 1548-1551, 2005

      17 Caporael, L, "Verbal response modes of baby talk and other speech at institutions for the aged" 6 : 99-112, 1986

      18 Rhee, E, "Variations in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by ingroup and cultur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71 (71): 1037-1054, 1996

      19 Ansello, E. F, "The subtle stereotype" 54 : 118-122, 1978

      20 Garfinkel, R, "The reluctant therapist: 1975" 15 : 136-137, 1975

      21 Cuddy, A. J. C, "The oldstereotype: The pervasiveness andpersistence of the elderly stereotype" 61 (61): 265-283, 2005

      22 Atchley, R, "The aging self" 19 (19): 388-396, 1982

      23 Palmore, E. B, "The ageismsurvey: First findings" 41 (41): 572-575, 2001

      24 Caporael, L, "Secondary baby talk: Judgments by institutionalized elderly and their caregivers" 44 : 746-754, 1983

      25 Conwell, Y,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52 (52): 193-204, 2002

      26 Karlsen, S, "Relationbetween racial discrimination, social class, and health among ethnic minority groups" 92 : 624-631, 2002

      27 Madey, S. F, "Reducedoptimismfor perceived age-related medical conditions" 25 (25): 213-219, 2003

      28 Krieger, N, "Racial discrimination and blood pressure: The CARDIA study of young black and white adults" 86 : 1370-1378, 1996

      29 Krieger, N, "Racial and gender discrimination:Risk factors for high blood pressure?" 30 (30): 1273-1281, 1990

      30 Greenberg, J, "Public Self and Private Self" Springer-Verlag 189-212, 1986

      31 Greene, M. G, "Psychosocial concerns in the medical encounter: A comparison of interactions of doctors with their old and young patients" 27 (27): 164-168, 1987

      32 Naito, T, "Psychology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50 Years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Psychologists" Swets &Zeitlinger B.V 161-172, 1992

      33 Reyes-Ortiz, C, "Physicians must confront ageism" 72 (72): 831-, 1997

      34 Din-Dzietham, R, "Perceived stress following race-based discrimination atwork is associatedwith hypertension in African-Americans. The metro Atlanta heart disease study, 1999-2001" 58 : 449-461, 2004

      35 Pascoe, E. A,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135 (135): 531-554, 2009

      36 Yuan, Y. A. S, "Perceived age discriminationandmental health" 86 (86): 291-311, 2007

      37 Levinsky, N. G, "Patterns of use of commonmajor procedures inmedical care of older adults" 47 : 553-558, 1999

      38 Blau, D, "Labor force dynamics of older men" 62 (62): 117-156, 1994

      39 Mezuk, B, "Job strai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hypertension among olderworkers: TheHealth and Retirement Study" 3 (3): 38-50, 2011

      40 Chan, S, "Job loss and employment patterns of older workers" 19 (19): 484-521, 2001

      41 Giles, H,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Older Adulthood: Interdisciplinary Theory andResearch" Sage 130-161, 1994

      42 Triandis, H. C,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selfingrouprelationships" 54 (54): 323-338, 1988

      43 Mason, A, "Handbook of Asian Aging" Baywood PublishingCo 2006

      44 Goodwin, J. S, "GeriatricOncology" HarwoodAcademic Publishers 1998

      45 Levy, B. R, "Eradication of ageism requires tackling the enemy within" 41 (41): 578-579, 2001

      46 Darity, W. A., Jr, "Employment discrimination, segregation, and health" 93 (93): 226-231, 2002

      47 Goldman, B. M, "Employment discrimination in organizations:antecedents andconsequences" 32 (32): 786-830, 2006

      48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ESCAP), "Economic Potential of the Elderly and Local Level Policy Development on Consequences of Aging in India" 1994

      49 Williams, D. R, "Discrimination and racial disparities in health:evidence and needed research" 32 : 20-47, 2009

      50 Nelson, T. D, "Disability and Aging Discrimination:Perspectives in Lawand Psychology" Springer 37-48, 2011

      51 Bishop, J. M, "Depictions of aging and old age on Saturday morning television" 24 (24): 91-94, 1984

      52 Herdman, E, "Challenging the discourses of nursing ageism" 39 (39): 105-114, 2002

      53 Turner, N. J, "Cancer in old age - Is it inadequately investigated and treated?" 319 (319): 309-312, 1999

      54 Ford, C. V, "Attitudes of psychiatrists toward elderly patients" 137 (137): 571-575, 1980

      55 Ruppel, S. E, "Are they depressed or just old? A study of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suffering from depression" 12 (12): 31-42, 2010

      56 Lerner, M, "America as a Civilization: Life and Thought in theUnitedStates Today" Simon and Schuster 1957

      57 Simkins, C. L, "Ageism’s influence on health care delivery and nursing practice" 1 (1): 24-28, 2008

      58 Gatz, M, "Ageismrevised and the provision of psychological services" 43 (43): 184-188, 1988

      59 Palmore, E. B, "AgeisminCanada andtheUnited States" 19 : 41-46, 2004

      60 Kite, M. E, "Ageism: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MIT Press 129-161, 2002

      61 Palmore, E. B, "Ageism:NegativeandPositive" Springer 1999

      62 Nolan, M, "Ageism: What's in a word!" 41 (41): 8-9, 2003

      63 Nelson, T. D, "Ageism: Stereotyping andPrejudice against Older Adults" MIT Press 2002

      64 Pasupathi, M,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MIT Press 201-246, 2002

      65 Montepare, J. M,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MIT Press 77-125, 2002

      66 Butler, R. N, "Ageism: Another formof bigotry" 9 (9): 243-246, 1969

      67 Yueh-Fang Huang, "Ageism perceived by the elderly in Taiwan following hip fracture" Elsevier BV 58 (58): 30-36, 2014

      68 Dennis, H, "Ageism in the workplace" 31 (31): 371-386, 2007

      69 Peake, M. D, "Ageism in the management of lung cancer" 32 (32): 171-177, 2002

      70 Robb, C, "Ageism in mental health and health care: A critical review" 8 (8): 1-12, 2002

      71 Sabik, N. J, "Ageism and body esteem:Associ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late middle-aged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women" 2013

      72 Samorodov, A, "Ageing and labor markets for older workers" International Labour Office 1999

      73 Ganz, D. A, "Age-related differences in management of heart disease: A study of cardiac medication use in an older cohort" 47 : 145-150, 1999

      74 Grant, H. M. K, "Age discrimination andthe employment rights of elderly Canadian immigrants"

      75 Soumerai, S. B, "Adverse outcomes of underuse of beta-blockers in elderly survivor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277 (277): 115-121, 1997

      76 Victor, W. M, "Advancing the sociology of ageism" 86 (86): 257-264, 2007

      77 Solomon, 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93-159, 1991

      78 Paradies, Y,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on self-reported racism and health" 35 : 888-901, 2006

      79 통계청, "2013 고령자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