넬슨 굿맨(Nelson Goodman)이 제시한 자필적인 예술(autographic art)과 대필적인 예술(allographic art)의 구분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판을 받으며, 그 중 하나는 디지털 그림의 존재론적 특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69579
양민정 (국민대학교)
2023
Korean
디지털 그림 ; 자필적 예술 ; 대필적 예술 ; 기보 ; 예술의 존재론 ; digital pictures ; autographic art ; allographic art ; notation ; ontology of art
KCI등재
학술저널
31-63(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넬슨 굿맨(Nelson Goodman)이 제시한 자필적인 예술(autographic art)과 대필적인 예술(allographic art)의 구분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판을 받으며, 그 중 하나는 디지털 그림의 존재론적 특징...
넬슨 굿맨(Nelson Goodman)이 제시한 자필적인 예술(autographic art)과 대필적인 예술(allographic art)의 구분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판을 받으며, 그 중 하나는 디지털 그림의 존재론적 특징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는 비판이다. 이 글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기보의 의미, 작품 생산의 역사와의 관련성 등의 개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필적 예술과 대필적 예술 사이의 구분이 유효하며 예술 작품의 중요한 존재론적 측면을 드러낼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필자는 특히 굿맨의 이론을 비판하거나 발전시켜 디지털 그림의 존재론적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는 최근의 시도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본 후, 자필적인 예술로부터 대필적인 예술을 구분하는 기준으로서 제시되었거나 제시될 수 있는 몇 가지 조건들을 추려볼 것이다. 그것은 1) 위조 가능한가 2) 복제 가능한가, 3) 작품의 동일성이 생산의 역사로부터 독립적인가, 4) 기보적인가의 여부이다. 필자는 이 제안들 각각을 검토해 보고 그 설명력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필적 예술과 대필적 예술을 구분할 수 있는 적절한 기준은 무엇이며 그러한 구분이 디지털 그림의 존재론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lson Goodman's distinction between autographic and allographic art has been criticized despite its usefulness, one of which is criticism for not being able to properly explain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pictures. Through the analysis...
Nelson Goodman's distinction between autographic and allographic art has been criticized despite its usefulness, one of which is criticism for not being able to properly explain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pictures. Through the analysis of concepts such as analog and digital, notation, and relevance to the history of work production, this essay will help to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autographic art and allographic art valid and reveal important ontological aspects of works of art. In particular, I will pay attention to recent philosophical studies that criticize or develop Goodman's theory to clarify the ontological nature of digital pictures. After examining their arguments carefully, I will pick out some conditions that have been or can be suggested as criteria for distinguishing autographic art from allographic art. They are 1) whether it can be forged, 2) whether it can be duplicated, 3) whether the identity of the work is independent of the history of production, and 4) whether it is notational. I will examine each of these proposals and evaluate their explanatory power. Through this, I will look at what is the appropriate criterion to distinguish between autographic art and allographic art and how such a distinction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pictures.
유동하는 경계: 숭고를 통한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재독해
속도, 영화의 시작: 초창기 30년의 영화 역사를 통해서 본 현대고속사회와 영화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