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90년대 한국여성의 국제결혼과 또 하나의 ‘다문화가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283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추적조사를 해 온 세 ‘다문화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이주시대로 접어든 한국사회의 변화가 이주·노동·결혼과 관련된 개인과업과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 글은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추적조사를 해 온 세 ‘다문화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이주시대로 접어든 한국사회의 변화가 이주·노동·결혼과 관련된 개인과업과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개인들의 대응 방식을 분석한다.
      1990년대 필리핀 남성이주노동자와 결혼한 한국여성들은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관행을 거스르며 국가가 승인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가족을 구성하였다. 가족이나 직장, 이웃과 친구들, 심지어 국가도 우호적이지 않은 결혼이었고, 자녀의 성씨 규정이나 거주지 규정 등에서 한국식 부계(父系) 친족 규범의 구성 요건을 거슬러 구성된 가족이었다. 이런 점에서 한국아내의 입장에서 부부관계를 유지하려는 노력은 초국가적 맥락에서의 가부장적 협상으로, 필리핀 남편의 정착 과정은 한국사회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부분적으로나마 획득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다문화가족 정책이 도입되면서, 이들의 자녀들은 특별한 교육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가족은, 한국아내가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결단으로 연애결혼을 하고 가족을 대변하고 책임을 지는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다문화가족의 다수를 차지하는 한국남성의 국제결혼 가족과는 대척점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자녀들에 대한 교육지원과 혜택을 받기위해 ‘우리도 다문화가족’이라는 점을 받아들지만, ‘그런 다문화가족은 아니라는’ 구별짓기를 통해 별도의 정체성을 추구한다.
      단일민족신화가 강력하게 작동하는 한국사회에서 이중국적의 보유가 허용되는 혼혈자녀세대는 학교생활과 또래관계를 통해 한국인 정체성을 의식적으로 강화하게 된다. 한국국적 이외에도 필리핀 국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장점으로 인식되지 않았지만, 다른 영어권 국가에 비해 더 적은 비용으로 필리핀에서 공부할 수 있다는 점은 같은 계급 배경에서는 비교우위를 가져다주기도 하였다. 남자 자녀의 경우는 군복무를 마치는 것으로 ‘온전한 한국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이후에는 이중국적의 전략적 행사에 대한 면죄부를 얻을 수 있다. 최근 젊은 세대에 부는 ‘탈(脫)한국’ 바람의 영향과 함께 한국사회의 혼혈 차별에 대한 대응으로 자녀세대에서는 향후 해외취업이나 해외이주를 도모하는 상황도 예견된다. 이는 이주의 시대에 전통적 시민권에 대한 새로운 관념과 전략적 행동이 가능해졌음을 의미하는, 이주 주체의 유연한 위치전략이자 전략적 시민권의 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stories of three families whose lives I have followed from 2002 to 2017. They are families of Korean women married to Filipino migrant workers in the 1990s, whose marriages were against the nationality law and patriarchal customs...

      This paper deals with stories of three families whose lives I have followed from 2002 to 2017. They are families of Korean women married to Filipino migrant workers in the 1990s, whose marriages were against the nationality law and patriarchal customs in S. Korea. Their marriages and children’s births could be registered only after the patrilineal nationality law was revised in 1997. Still their family composition didn’t correspond to patrilineal kinship norms, such as female hypergamy, a paternal surname, and the patrilocal residential rule. Under this transnational circumstance, the Korean wives needed to engage in patriarchal bargaining to keep a relationship balance with their Filipino husbands, while the husbands tried to gain back their hegemonic masculinities in the patriarchal Korean society.
      As the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were introduced in the middle of the 2000s, these Korean mothers accepted their families to be classified as multicultural in order to obtain educational benefits for their children. Yet the Korean wives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major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made up of Korean husbands and Asian wives, based on the reasoning that they married for love and that they have broad responsibilities in their families.
      Meanwhile, the experiences of three adult mixed children in these families offer a context to discuss how dual citizenship could be used by the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example, completing high school in English in the Philippines may offer a better opportunity to enter college in Korea; finishing military service in Korea could provide a boy with perfect Korean-ness. These children also dream of emigrating to Canada, where Filipinos are the biggest immigrant group, in the midst of an ‘exodus-Korea’ boom among the young generation. This implies that individuals are now allowed to deal with their nationalities and citizenships in more flexible and strategical ways in this age of mig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세 가족 이야기: 희선과 리안, 순영과 에드가, 정임과 보이
      • 3. 한국아내와 필리핀 남편: 가부장적 협상과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초국적 맥락
      • 4. 다문화가족으로의 포섭과 이중국적 시대의 자녀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세 가족 이야기: 희선과 리안, 순영과 에드가, 정임과 보이
      • 3. 한국아내와 필리핀 남편: 가부장적 협상과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초국적 맥락
      • 4. 다문화가족으로의 포섭과 이중국적 시대의 자녀
      • 5.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혼인통계"

      2 통계청, "혼인통계"

      3 통계청, "혼인·이혼 통계"

      4 통계청, "혼인·이혼 통계"

      5 장강명, "한국이 싫어서" 민음사 2015

      6 이광규,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일지사 1975

      7 김민정,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한국여성연구소 7 (7): 213-248, 2007

      8 김민정, "필리핀 친족의 양변성과 '집단' 만들기" 비교문화연구소 8 (8): 3-36, 2002

      9 김민정, "필리핀 이주노동자의 ‘한국남편’ 되기" 전남대 용봉문화관 30-31, 2003

      10 김민정, "필리핀 여성의 젠더화된 이주: 한국의 사례" 한국여성학회 28 (28): 33-74, 2012

      1 통계청, "혼인통계"

      2 통계청, "혼인통계"

      3 통계청, "혼인·이혼 통계"

      4 통계청, "혼인·이혼 통계"

      5 장강명, "한국이 싫어서" 민음사 2015

      6 이광규, "한국가족의 구조분석" 일지사 1975

      7 김민정,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한국여성연구소 7 (7): 213-248, 2007

      8 김민정, "필리핀 친족의 양변성과 '집단' 만들기" 비교문화연구소 8 (8): 3-36, 2002

      9 김민정, "필리핀 이주노동자의 ‘한국남편’ 되기" 전남대 용봉문화관 30-31, 2003

      10 김민정, "필리핀 여성의 젠더화된 이주: 한국의 사례" 한국여성학회 28 (28): 33-74, 2012

      11 전수현, "필리핀 노동자와 결혼한 한국 여성의 주변적 지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2 김민정, "필리핀 노동 이주 여성의 일과 한국 생활: 미등록 장기체류의 역설" 한국문화인류학회 44 (44): 313-358, 2011

      13 외교(통상)부, "출입국관리통계연보"

      14 외교(통상)부, "출입국관리통계연보"

      15 외교(통상)부, "출입국관리통계연보"

      16 외교(통상)부, "출입국관리통계연보"

      17 외교(통상)부,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연보"

      18 유발-데이비스, "젠더와 민족: 정체성의 정치에서 횡단의 정치로" 그린비 2012

      19 김현희, "인종주의와 한국사회의 법문화: “다문화사회”의 법의식" 비교문화연구소 20 (20): 5-46, 2014

      20 행정자치(안전)부, "외국인주민현황" 2015

      21 김영희, "아이를 잘만드는 여자" 디자인하우스 1992

      22 조안리, "스물 셋의 사랑, 마흔 아홉의 성공" 문예당 1994

      23 김혜영,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족정책: 이념과 정책의 탈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7 (87): 7-43, 2014

      24 원숙연, "다문화주의시대 소수자 정책의 차별적 포섭과 배제: 외국인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한국행정학회 42 (42): 29-49, 2008

      25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지원 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006

      26 김민정,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59-193, 2006

      27 김민정, "국제결혼 가족과 자녀의 성장: '여러 종류'의 한국인이 가족으로 살아가기" 한국문화인류학회 41 (41): 51-89, 2008

      28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42 (42): 36-71, 2008

      29 양현아, "가족 안으로 들어온 한국의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실험" 한국법학원 134 (134): 298-335, 2013

      30 Spiro, Peter J, "The Equality Paradox of Dual Citizenship" 2018

      31 Harpaz, Y, "Strategic Citizenship: Negotiating Membership in the Age of Dual Nationality" 2018

      32 Rockquemore, K. A, "Raising Biracial Children" Altamira 2005

      33 Lynch, Frank, "Philippine Values II: Social Acceptance" 10 (10): 8299-, 1962

      34 Basch, L., "Nation Unbounded:Transnational Projects, Post-colonial Predicaments, and De-territorialized Nation-States" Gordon and Breach 1994

      35 Connell, R. W., "Masculinit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36 Wiener, Antje, "Making Sense of the New Geography of Citizenship:Fragmented Citizenship in the European Union" 26 : 529-560, 1997

      37 Fox, Robin, "Kinship and Marriage: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Penguin 1967

      38 Keesing, Roger M., "Kin Groups and Social Structure"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5

      39 Wright, Marguerite, "I’m Chocolate, You’re Vanilla" Jossey-Bass 1998

      40 Connell, R.W, "Hegemonic Masculinity:Rethinking the Concept" 19 (19): 829-859, 2005

      41 Portes, Alejanro, "Globalization from Below: The Rise of Transnational Communities" Transnational Communities in Oxford University

      42 Ong, Aihwa, "Flexible Citizenship: The Cultural Logics of Transnationality" Duke University Press 1999

      43 Vertovec, Steven, "Conceiving and researching Transnationalism" 22 (22): 447-462, 1999

      44 Kandiyoti, Deniz, "Bargaining with Patriarchy" 2 (2): 274-290, 1988

      45 Statistics Canada, "2016 Censu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2 1.42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5 1.76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