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 유학 연구에 대한 검토와 전망 = A Study on the Review and Prospect of Honam Confucian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12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중반 이후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한국 유학 연구와 관련한 지역적 범주는 대체로 畿湖儒學과 嶺南儒學이라는 구도이었으며, 이때 ‘호남 유학’은 기호유학의 한 부분으로 규정되었...

      1990년대 중반 이후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한국 유학 연구와 관련한 지역적 범주는 대체로 畿湖儒學과 嶺南儒學이라는 구도이었으며, 이때 ‘호남 유학’은 기호유학의 한 부분으로 규정되었다. 이전 시기까지 畿湖學派와 嶺南學派로 구분하여 이해되었던 지역적 범주와 관련한 학파 구도가 1994년부터 특정 대학의 기획연구와 관련하여 본격적으로 지역과 유학을 결합한 범주의 설정으로 이어지면서 호남 유학은 기호유학의 한 부분으로 명시된 것이다. 17세기부터 본격화한 학파적 결집에 따라 조선 유학의 전개를 학맥에 주목하여 退溪學派와 栗谷學派로 구분하는 것은 어느 정도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라는 구분을 지역과 연관하여 영남학파와 기호학파로 구분하는 것은 해당 지역 내에 다른 학맥을 가진 일군의 학자들이 없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일정 정도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한국 유학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적 범주 구분에 대한 그간의 논의가 가지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러한 구분에 유의하여 호남 유학 연구의 독자적인 영역이 가능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논자는 호남 유학의 독자성에 대한 이해가 이미 조선 시대의 여러 유학자에 의해 일관되게 이어져 왔을 뿐만 아니라 호남을 지역적 배경으로 활동한 유학자들의 인식이기도 하였음을 밝혔다. 현재에도 호남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의 다양한 유학적 경향과 특징을 호남 유학이라고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대체적인 이해의 방향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호남 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한 대체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on Confucianism in Honam is in full swing in connection with raising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However, the independent area of Honam Confucianism is still not very prominent in the overall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

      Research on Confucianism in Honam is in full swing in connection with raising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However, the independent area of Honam Confucianism is still not very prominent in the overall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t the lack of specific research interest in the independent domain of Honam Confucianism is due to the existing arguments related to the setting of the category of Korean Confucian studies mediated by the region.
      The regional categories related to the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explicitly presented after the mid-1990s were generally structured as Kiho Confucianism and Yeongnam Confucianism, at which time "Honam Confucianism" was defined as a part of Kiho Confucianism. Honam Confucianism was specified as a part of Kiho Confucianism as the school structure related to regional categories, which had been understood by dividing into Kiho and Yeongnam schools until the previous period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ategory combining local and Confucian studies in earnest. To some extent it can be said to be appropriate to divide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Joseon into the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by paying attention to the academic veins of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Joseon according to the scholastic unity that began in earnest from the 17th century. However, the division of the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into the Yeongnam School and the Kiho School in relation to the region has some problems, considering that there lacked a group of scholars with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in the area. Moreover, organizing the topography of Joseon Confucianism by dividing it into Yeongnam Confucianism and Kiho Confucianism beyo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Yeongnam School and the Kiho School is an over-simplification in that it not only overlooks the various academic flows within each region but also simplifies the flow of Joseon Confucianism.
      In this study, I try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discussions on regional classification presented in the existing research on Confucianism in Korea, and to confirm that an independent area of Honam Confucian research is possible by paying close attention to this classification. In this process, I reveal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uniqueness of Honam Confucianism is not only consistently passed down by various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recognized by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active in Honam as a regional background. Even now, the general direction of understanding is to understand and grasp the various Confucia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Honam as Honam Confucianism, centering on the region called Honam. And based on this point, I review the general contents of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related to Honam Confucianism. Based on this, I have suggested a pilot plan to derive advanced results of future Honam Confucian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우진, "화순유학의 전개와 노사학파의 형성" 인문학연구소 (56) : 289-316, 2020

      2 김경호, "혼인의 관계망을 통해 본 16세기 호남유학" 영남문화연구원 (64) : 39-68, 2018

      3 장복동, "호남유학(湖南儒學)의 한국적 지평- ‘공공지식인(公共知識人)’의 출현과 그 사회적 역할 -" 호남학연구원 (57) : 219-251, 2015

      4 하우봉, "호남실학의 전개양상과 성격" 한국실학학회 (36) : 385-445, 2018

      5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6 이을호, "호남문화(湖南文化)의 개관(槪觀)-하나의 서론(序論)으로서" 2 : 1964

      7 김대현 ; 김미선, "호남문집 정리의 현황과 과제" 호남학연구원 (54) : 145-177, 2013

      8 오종일, "호남 유학사상의 특질" 동양철학연구회 (36) : 7-37, 2004

      9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유학사상대계 철학사상편" 2005

      10 "한국고전종합DB"

      1 조우진, "화순유학의 전개와 노사학파의 형성" 인문학연구소 (56) : 289-316, 2020

      2 김경호, "혼인의 관계망을 통해 본 16세기 호남유학" 영남문화연구원 (64) : 39-68, 2018

      3 장복동, "호남유학(湖南儒學)의 한국적 지평- ‘공공지식인(公共知識人)’의 출현과 그 사회적 역할 -" 호남학연구원 (57) : 219-251, 2015

      4 하우봉, "호남실학의 전개양상과 성격" 한국실학학회 (36) : 385-445, 2018

      5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6 이을호, "호남문화(湖南文化)의 개관(槪觀)-하나의 서론(序論)으로서" 2 : 1964

      7 김대현 ; 김미선, "호남문집 정리의 현황과 과제" 호남학연구원 (54) : 145-177, 2013

      8 오종일, "호남 유학사상의 특질" 동양철학연구회 (36) : 7-37, 2004

      9 한국국학진흥원, "한국유학사상대계 철학사상편" 2005

      10 "한국고전종합DB"

      11 전병철, "지리산권 유학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남도문화연구소 (31) : 35-50, 2016

      12 백민정, "조선후기 기호지역 실학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유학연구소 24 : 111-184, 2011

      13 최영찬 ; 이형성, "조선 중·후기 호남 유학사상에 대한 小攷 ­전북 유학자의 사승관계에 따른 사상적 개요를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23) : 325-352, 2004

      14 "전주역사박문관 인터넷 홈페이지"

      15 조상현, "전라도 별칭 ‘호남(湖南)’의 연원(淵源)" 한국사상문화학회 (91) : 129-153, 2018

      16 오종일, "유학사상에 나타난 호남 정신의 정립 방향" 한국공자학회 (12) : 307-324, 2005

      17 유명종, "영남 지역의 유학 퇴계학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6 : 1989

      18 다카하시 도루,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예문서원 2001

      19 김경호, "남당학과 현대 기호유학- 오래된 미래를 위한 몇 가지 제언 -" 유학연구소 29 : 111-137, 2013

      20 충남대학교유학연구소, "기호학파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1995

      21 오종일, "기호학파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1995

      22 김문준, "기호유학의 학맥과 문화전승" 9 : 2009

      23 황의동, "기호유학 연구" 서광사 2009

      24 이영자, "기호성리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유학연구소 24 : 75-109, 2011

      25 노관범, "근대 한국유학사의 형성: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을 중심으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4) : 377-427, 2016

      26 박학래, "군산 지역의 유교 전통과 그 특징" 역사문화학회 22 (22): 159-188, 2019

      27 고창의 유학 편찬위원회, "高敞의 儒學" 고창군 1996

      28 黃胤錫, "頥齋續稿"

      29 黃俊良, "錦溪先生文集"

      30 李滉, "退溪先生文集"

      31 安晉吾, "近代儒學史에 있어서 湖南 性理學의 特徵" 12 : 1992

      32 李敏輔, "豊墅集"

      33 李喜朝, "芝村先生文集"

      34 柳希春, "眉巖先生集"

      35 배종호, "畿湖學派의 心性論 Ⅱ" 37 : 1977

      36 배종호, "畿湖學派의 心性論"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5 : 1976

      37 윤사순, "畿湖儒學의 特性과 展望" (2) : 1994

      38 황의동, "畿湖儒學의 學的 性格과 範圍" 3 : 1995

      39 宋相琦, "玉吾齋集"

      40 李植, "澤堂先生別集"

      41 노기춘, "湖南의 地域區分에 관한 연구" 호남학연구원 1 (1): 179-208, 2007

      42 오병무, "湖南儒學의 脈 1" 5 (5): 1997

      43 오병무, "湖南儒學史 中" 6 : 1997

      44 오병무, "湖南儒學史 上" 5 : 1994

      45 洪直弼, "梅山先生文集"

      46 박학래, "朝鮮時代 湖南儒學의 전개 양상과 의의 - 地方分權時代의 傳統思想 硏究와 관련하여 -" 대한철학회 99 : 181-214, 2006

      47 許筠, "惺所覆硑藁"

      48 박종홍, "思想史的으로 본 湖南" 2 : 1964

      49 魏伯珪, "存齋集"

      50 이병도, "地理 歷史上으로 본 湖南" 2 : 1964

      51 최영성, "全北儒學史 硏究" 동양문화연구원 3 : 205-242, 2009

      52 蘇輝冕, "仁山先生文集"

      53 박학래, "19세기 湖南 性理學의 전개와 특징" 9 : 2005

      54 조성산, "18세기 영ㆍ호남 유학의 학맥과 학풍" 9 : 2006

      55 박석무, "17~8세기 湖南儒學의 傳統" 21 : 1998

      56 고영진, "16세기 호남사림의 활동과 학문" 3 :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KCI등재
      2007-01-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9 1.2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