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성매매특별법이 제정된 이후에도, 그리고 성인들이 합의하여 행하는 성매매를 범죄로 금지하는 법조항이 합헌이라고 하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매매를 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61762
안준홍 (가천대학교)
2021
Korean
성매매 ; 도덕정책 ; 보수적 금압주의 ; 급진 여성주의 ; 관리주의 ; 통합주의 ; prostitution ; morality policy ; conservative repressivism ; radical feminism ; restrictivism ; integrativism
KCI등재
학술저널
423-452(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는 성매매특별법이 제정된 이후에도, 그리고 성인들이 합의하여 행하는 성매매를 범죄로 금지하는 법조항이 합헌이라고 하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매매를 범...
한국에서는 성매매특별법이 제정된 이후에도, 그리고 성인들이 합의하여 행하는 성매매를 범죄로 금지하는 법조항이 합헌이라고 하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매매를 범죄로 금지해야 하는지를 두고 논란이 많다. 이 연구는 성매매 비범죄화를 둘러싼 논란이 치열하면서도 경색되어 있는 상황을 타개하고 한국 성매매법제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래서 먼저 오늘날 한국에서 성매매에 관한 논의가 도덕정책에서 나타나는 폐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이 문제를 실용적이고 인도적인 태도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성매매에 관한 법과 정책의 유형을 도덕적 보수주의에 기초한 금압주의, 급진 여성주의에 기초한 금압주의, 관리주의, 통합주의로 나누어서 고찰한다. 그런 다음 한국의 성매매법제를 형사법제, 복지법제, 보건법제로 나누어서 개관하고, 그 문제 점을 실효성과 인권보호 및 내적 정합성의 면에서 살펴본다. 그 결과로 한국의 성매매법제는 실효성이 낮고, 인권보호에 미흡하고, 내적으로 모순이 심하다는 문제를 확인한다. 이런 고찰을 바탕으로 한국 성매매법제를 실용적이고 인도적이며 정합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서는 금압주의를 버리고 관리주의나 통합주의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 출발점으로 성 인들이 합의하여 행하는 성매매를 비범죄화해야 한다는 것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even after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Prostitution (“Act”) and despit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uphold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rovisions of the Act that criminalize prostitution agreed upon by adults, the cen...
In Korea, even after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Prostitution (“Act”) and despit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uphold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rovisions of the Act that criminalize prostitution agreed upon by adults, the central issue of whether prostitution should be condemned as a crime remains deeply unsettled, it still being the source of great controversy and fierce debate.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how such controversy and debate surrounding decriminalization of prostitution in Korea may be overcome and seeks to propose ways in which Korea’s laws on prostitution may be improved. This study first presents that persistent debates in Korea on the topic of prostitution highlight the shortcomings of morality policy and suggests that the issues stemming from prostitution be approached with a more pragmatic and humane attitude. It then considers differing types of laws and policies concerning prostitution according to specific classifications, namely repressivism based on moral conservatism, repressivism based on radical feminism, restrictivism, and integrativism. Further, this study analyzes Korea’s prostitution-related laws from the perspectives of criminal law, social welfare law, and health law, while also examining its drawbacks in terms of effectiveness, human rights protection and coherence. Based on such analysis and examination, this study finds that Korea's prostitution-related laws are ineffective, leave much to be desired for human rights protection, and are fraught with serious internal contradictions. This study concludes by proposing that, in order to improve Korea’s prostitutionrelated laws in a practical, humane and coherent manner,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system to shift away from repressivism to restrictivism or integrativism. Decriminalization of prostitution agreed upon by adults would no doubt be the first step in the right direction for such improv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명진,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성매매 여성의 권익보호를 중심으로-" 5 (5): 2013
2 황호택, "황호택 기자가 만난 사람-‘성매매 특별법’ 제정 산파 지은희 여성부 장관"
3 안준홍, "한국 성판매여성의 인권에 관한 소고(小考)" 법학연구소 27 (27): 241-261, 2019
4 박정미, "한국 성매매정책에 관한 연구 : '묵인-관리 체제'의 변동과 성판매여성의 역사적 구성, 1945~200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5 신상숙, "젠더와 평등의 관점에서 본 성매매 처벌의 프레임 경합: 성매매처벌법 제21조제1항 위헌법률심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3 (33): 1-37, 2017
6 박경철, "자발적 성매매행위 형사처벌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2013헌가2)에 관한 헌법적 검토" 법학연구소 20 (20): 539-569, 2019
7 김선화, "자발적 선택과 구조적 강제 담론의 경합을 통해서 본 성매매-헌법재판소 2016.3.31.선고2013헌가2 결정을 중심으로-" 2017
8 이덕인, "자발적 대가성 성관계의 비범죄화" 한국형사정책학회 20 (20): 153-186, 2008
9 이덕인, "성풍속 처벌의 형사법적 한계"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2 (22): 45-76, 2011
10 이나영, "성판매자 비범죄화를 위한 시론 - 「성매매특별법」을 둘러 싼 쟁점과 여성주의 대안 모색 -"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11-247, 2015
1 고명진,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성매매 여성의 권익보호를 중심으로-" 5 (5): 2013
2 황호택, "황호택 기자가 만난 사람-‘성매매 특별법’ 제정 산파 지은희 여성부 장관"
3 안준홍, "한국 성판매여성의 인권에 관한 소고(小考)" 법학연구소 27 (27): 241-261, 2019
4 박정미, "한국 성매매정책에 관한 연구 : '묵인-관리 체제'의 변동과 성판매여성의 역사적 구성, 1945~200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5 신상숙, "젠더와 평등의 관점에서 본 성매매 처벌의 프레임 경합: 성매매처벌법 제21조제1항 위헌법률심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3 (33): 1-37, 2017
6 박경철, "자발적 성매매행위 형사처벌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2013헌가2)에 관한 헌법적 검토" 법학연구소 20 (20): 539-569, 2019
7 김선화, "자발적 선택과 구조적 강제 담론의 경합을 통해서 본 성매매-헌법재판소 2016.3.31.선고2013헌가2 결정을 중심으로-" 2017
8 이덕인, "자발적 대가성 성관계의 비범죄화" 한국형사정책학회 20 (20): 153-186, 2008
9 이덕인, "성풍속 처벌의 형사법적 한계"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2 (22): 45-76, 2011
10 이나영, "성판매자 비범죄화를 위한 시론 - 「성매매특별법」을 둘러 싼 쟁점과 여성주의 대안 모색 -"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11-247, 2015
11 김성용, "성적자기결정권의 보완 수단으로서 인공지능에 대한 소고 -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제21조 제1항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7 : 589-639, 2020
12 통계청, "성산업구조및성매매실태조사" 정기통계품질진단 2009
13 박기석, "성매매행위의 비범죄화-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4 (34): 29-46, 2018
14 e-나라지표, "성매매피해자지원 현황"
15 윤수정, "성매매처벌법의 처벌조항에 관한 헌법적 검토 - 2013헌가2 사건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199-238, 2016
16 송승현, "성매매처벌법 제21조 제1항의 위헌성 여부" 법학연구소 56 (56): 79-116, 2015
17 권순현, "성매매처벌법 제21조 제1항에 대한 헌법적 평가 및 입법론" 한국법학회 16 (16): 159-176, 2016
18 이덕인, "성매매처벌과 재범방지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43) : 193-219, 2009
19 박지현, "성매매의 비범죄화를 위한 규범적 고찰" 민주주의법학연구회 (60) : 273-307, 2016
20 박경신, "성매매에 대한 금지주의적 여성주의와 성노동론 여성주의의 대립과 화해가능성" 법학연구원 (90) : 233-263, 2018
21 이덕인,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제21조 제1항의 위헌논란과 쟁점" 한국형사법학회 27 (27): 71-95, 2015
22 하주영, "성매매는 범죄인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3 (13): 323-348, 2002
23 이나영, "성매매는 ‘죄’인가? ‘여성혐오’에 기반한 구조적 폭력인가? : 헌법재판소의 성매매특별법 합헌 판결을 통해 본 성매매 문제 재고" 한국여성연구소 16 (16): 397-430, 2016
24 Realmeter, "성매매 합법화 반대 48.9% vs 찬성 35.3%"
25 여성부, "성매매 실태 및 경제규모에 관한 전국조사" 2002
26 장성원, "성매매 보호법익의 실체- 헌재 2016. 3. 31. 선고 2013헌가2 -" 법조협회 67 (67): 629-665, 2018
27 안준홍, "성매매 문제에서 법도덕주의와 자유주의의 수렴 가능성" 법학연구소 13 (13): 101-130, 2020
28 박지현, "성구매자 형사처벌의 보건정책적 고찰-성매매처벌법 제21조 제1항에 대한 헌법재판소2016.3.31.선고 2013헌가2 결정을 중심으로-" 9 (9): 2018
29 노종호,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0 (20): 101-139, 2014
30 대검찰청, "범죄분석"
31 안준홍, "도덕과 형법" 한국법철학회 13 (13): 273-302, 2010
32 Realmeter, "[CBS 현안조사]성매매특별법 존폐에 대한 국민여론"
33 Wagenaar, H, "Why Prostitution Policy (Usually) Fails and What to Do about It?" 6 : 43-, 2017
34 Mooney, C.Z, "The Politics of Morality Policy:Symposium Editor’s Introduction" 27 (27): 1999
35 Dozema, J, "Sex Slaves and Discourse Masters: The Construction of Trafficking" Zed Books 2010
36 Wagenaar, H, "Prostitution as Morality Politics or Why It Is Exceedingly Difficult To Design and Sustain Effective Prostitution Policy" 9 : 2012
37 Östergren, P, "From Zero-Tolerance to Full Integration: Rethinking Prostitution Policies" 2017
38 Hart, H.L.A, "Abortion Law Reform: The English Experience" 8 : 1972
39 보건복지부, "2019 보건복지통계연보"
40 여성가족부, "2016 성매매 실태조사" 2016
41 여성가족부, "2013 성매매 실태조사" 2014
42 여성가족부, "2010 성매매 실태조사" 2010
43 여성가족부, "2007 전국 성매매 실태조사" 2007
44 조성용,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에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8 (28): 5-47, 2017
명의수탁자가 부담한 재산세와 부당이득반환청구 - 대법원 2020. 9. 3. 선고 2018다283773판결을 중심으로 -
내부자거래에서 정보수령자의 책임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20.10.29.선고 2017도18164판결을 중심으로 -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상 내부자거래의 회사관계자 해당요건 - 東京地裁 2019. 5. 30. 과징금납부명령 처분취소 등 청구사건의 검토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41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