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로 공공의 입장에서 민관협력사업의 실제 사례를 토대로 리스크 분담과 그에 대한 의사결정의 적절성을 분석하여 향후 유사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60394
서울 :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학위논문(박사)- -- 세종대학교 대학원 , 도시부동산유통협동학과 , 2023. 2
2023
한국어
민관협력사업(PPP) ; 리스크 분담 ; 공공부문 ; 리스크 정량화 ; 퍼지집합이론
333.3322 판사항(22)
서울
161p. : 삽도 ; 26cm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임재만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risk-sharing by the public sector in Public-Private Partnership
참고문헌: p.151~157
I804:11042-2000006687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로 공공의 입장에서 민관협력사업의 실제 사례를 토대로 리스크 분담과 그에 대한 의사결정의 적절성을 분석하여 향후 유사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로 공공의 입장에서 민관협력사업의 실제 사례를 토대로 리스크 분담과 그에 대한 의사결정의 적절성을 분석하여 향후 유사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민관협력사업은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의 공공부문과 민간사업자들이 참여하는 대표적인 개발사업이다. 관련 선행연구들은 사업을 성공시키고 총사업비용을 감소시키는 핵심 요소로 리스크에 대해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리스크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발사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리스크를 실무적인 관점에서 사전에 정의하고, 사업 참여자들의 리스크 회피성향과 통제능력을 고려하여 이를 적절하게 분담한다면 사업 전체의 리스크를 실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효율적인 리스크 분담의 전제는 리스크 부담능력과 의지가 있는 주체가 해당 리스크를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국내 개발사업에 참여하는 담당자들은 리스크 감소방안으로서의 리스크 분담에 대한 인식조차 부족한 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리스크를 분담하는 주체의 부담과 의사결정에 대한 역량을 객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리스크를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계량적인 평가지표로 객관화하고, 그간 사업참여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모호하게 이루어지던 분담비율을 객관적인 수치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량적인 리스크 분담모형의 실현을 위해서는 그 분담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 리스크 분담 의사결정 환경과 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실무의 요구를 반영할 때, 이들 두 가지 작업의 대상은 민간부문보다는 공공부문에 더 집중될 수 밖에 없다. 최종적인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이 행하는 리스크 분담과 그에 대한 의사결정의 적정성에 초점을 맞추고 향후 유사 민관협력사업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범용의 계량적 리스크 분담 가이드 마련을 위한 기초를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사례는 민관협력사업으로 진행된 국내 하수처리 사업과 경전철 사업이다. 각 사업에서 리스크 분담에 대한 의사결정은 최초 협약 단계와 재협약 단계에서 두 차례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각 단계를 보다 세부적인 실행 프로세스로 구분하고 각 절차를 대상으로 공공부문과 민간사업자 간 리스크 분담의 실제 모습과 그 결과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각 프로세스의 주요 리스크 분담기준은 퍼지이론에 기초하여 가능한 객관적으로 설정하였다. 추가적으로 연구의 주된 관심인 공공부문의 리스크 분담 과정상 의사결정 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의 공공기관 소속 담당자를 인터뷰하였다. 실제 리스크 부담 수준과 이론적으로 설정한 수준을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면담을 통해 확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의사결정 과정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와 차별되는 본 연구의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리스크 분담 연구들이 리스크 분담결과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본 연구는 리스크 분담을 결정하는 과정으로서 의사결정방식이 적절한지를 평가하고, 제약 사항이 있는 경우 이를 보완하는 방법을 논하였다. 둘째, 연구의 전제와 분석 방법 등에서 경제학 및 재무관리 분야의 다양한 이론에 기반하여 연구 방법론의 강건성을 높였다. 본 연구의 전제는 공공부문과 민간의 효과적인 리스크 분담이 개발사업 전체의 리스크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재무관리 이론의 리스크 회피도와 개별 리스크 통제력을 인용하였다. 추가적으로 공공부문의 리스크 분담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경제학 분야의 공공선택론, 주인-대리인 이론, 행동경제학적 관점 등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이론적 토대를 공고하게 하였다. 셋째, 기존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사업계획 단계의 리스크 분담뿐 아니라,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완공 후 운영 단계에서의 리스크 재조정 및 분담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체계적인 프레임을 통해 리스크 분담을 논의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배분할 수 있는 범용의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계획 단계에서 공공부문이 부담능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과도한 리스크를 부담하고 있다. 이는 기존 인식과 배치된다. 둘째, 사업 개시 후 운영 단계의 리스크 재조정에 따른 분담은 사업계획 단계보다 더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공공부문의 리스크 분담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이 적절하지 않았다. 최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정보 비대칭, 민간의 도덕적 해이, 공공부문 의사결정자의 전문성 부족, 그리고 사적이익 추구 등으로 나타났다.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커지는 최근의 의사결정 환경은 민간사업자 위주의 민관협력사업에 대한 감독을 더욱 어렵게 한다. 이 경우 민간사업자가 효과적인 리스크 통제 능력을 가졌다 하더라도 민간의 자발적인 리스크 부담 행위를 기대하기 어렵다. 궁극적으로 부적정한 리스크 분담은 주로 운영단계에서 많은 이슈와 쟁점들을 만들었고 성공적인 사업수행에 방해요인이 되어 왔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리스크 분담결과에 대한 분석 이전에 이를 결정하는 의사결정 과정의 다양한 제약적 요소들을 먼저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시켜준다. 점차 복잡해지는 새로운 유형의 민관협력방식이 증가하고, 사업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사업 개시 후 운영 중인 사업에서도 리스크 재분담 의사결정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가 그동안 미진하였던 민관협력사업에서의 리스크 분담과 관련한 국내연구를 활성화시키면서, 미처 깊게 다루지 못했던 리스크 계량화와 체계적 리스크 산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시작되는 단서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경제학원론, 이준구, 문우사, , 2008
2. 행정학사전, 이종수, 대영문화사, , 2009
3. 기초퍼지이론, 유동선 , 이교원, 교우사, , 2013
4. 현대재무관리, 박정식, 다산출판사, , 1995
5. 자금 재조달 검토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 2020
6. 출자자 수익률 검토보고서, A수질환경 주식회사, , 2021
7. 행동경제학과 우리의 선택, 안세륭, 주택금융월보제152호, 주택금 융연구원, , pp. 1-33, , 2017
8. 민간투자사업 기본계획 2016, 기획재정부, , 2017
9. 대리인이론과 최적보상계약, 성기성, 경상논집제7권, 인하대 산업 경제연구소. , pp. 59-75, , 1993
10. 환경시설 민간투자사업 사례, 한국환경공단, , 2015
1. 경제학원론, 이준구, 문우사, , 2008
2. 행정학사전, 이종수, 대영문화사, , 2009
3. 기초퍼지이론, 유동선 , 이교원, 교우사, , 2013
4. 현대재무관리, 박정식, 다산출판사, , 1995
5. 자금 재조달 검토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 2020
6. 출자자 수익률 검토보고서, A수질환경 주식회사, , 2021
7. 행동경제학과 우리의 선택, 안세륭, 주택금융월보제152호, 주택금 융연구원, , pp. 1-33, , 2017
8. 민간투자사업 기본계획 2016, 기획재정부, , 2017
9. 대리인이론과 최적보상계약, 성기성, 경상논집제7권, 인하대 산업 경제연구소. , pp. 59-75, , 1993
10. 환경시설 민간투자사업 사례, 한국환경공단, , 2015
11. 사업구조 변경안에 대한 검토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 2016
12. 사업구조 변경안에 대한 검토의견서, 한국개발연구원, , 2016
13. 민간참여 공공주택건설사업 업무편람, 한국토지주택공사, , 2016
14. 심리요인이 주택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 노승철, 김예지, 조준혁, 국토계획제45집 제6호,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 pp. 45-58, , 2010
15. 2010년 민간투자사업 운영현황 및 추진실적, 기획재정부, , 2011
16. SOC 민간투자사업 성과평가와 발전방안 연구, 대한건설협회, , 2011
17. 시설임대료조정, 자금 재조달, 사업 재구조화, 박경애,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강의자료, , 2014
18. 행동경제학, 현실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을까?, 김상봉, 나라경 제9월호, 한국개발연구원, , pp. 1-2, , 2016
19. 금융약정 및 민간투자사업의 자금 재조달의 이해, 한국개발연구원, , 2015
20. 공공선택론의 재정적자 메카니즘과 재정헌정주의, 김정완, 한국거버 넌스학회보제13집 제3호, 한국거버넌스학회, , pp. 1-24, , 2006
21. 금융위기 이후 공모형 PF 사업의 실태와 정책 방향, 김현아, 이승우, 건설이슈포커스-22호, 2009, pp. 1-26, , 2009
22. 민관협력사업에 있어서 행정주체의 사업위험분담, 황창용, 원광법 학제27집 제4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pp. 353-378, , 2011
23. 정책연구 보고서: 사회적 할인율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 2016
24. 지역개발을 위한 PFI의 도입과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김윤경, 연세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25. 도시개발에서 민관협력 사업의 현황 및 활성화 방향, 이승우, 한국 건설산업연구원, , 2011
26. 민간투자사업 (BTL)의 사업성분석과 리스크 관리 방안, 김남용, 건설 경제봄호 51권, 국토연구원, , pp. 58-73, , 2007
27. 하수관로정비 임대형 민자사업 추진현황 및 사업효과, 한국환경공단, , 2015
28. 공공-민간 공동택지개발사업추진 설명회 및 의견수 렴, 한국토지주택공사, , 2015
29. SOC 민간투자사업의 위험배분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모창환, 하헌구, 한국교통연구원, , 2002
30. 부동산 PF 사업 사업단계별 리스크 요인 영향관계 분 석, 이윤홍, 이주형, GRI 연구논총제15집 제1호, 경기연구원, , pp. 185-204, , 2013
31. 퍼지 집합이론을 적용한 부동산개발 부지활용의 유연화, 박영호, 정재호, 감정평가학논집제11집 제2호, 한국감정평가학회, , pp. 105-119, , 2012
32. 택지개발에 있어서 민간투자를 억제하는 정책적 요인 분석, 김중태, 이용규, 국토연구통권 63호, , pp. 21-42, , 2009
33. 공모형 PF 사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공모지침서를 중 심으로, 손진수, 백인길, 부동산학연구제14집 제3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 pp. 35-55, , 2008
34. 퍼지 집합이론 (FUZZY SETS)을 이용한 건축계획 평 가방법 설정, 이경회, 이한석,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제 10집 제2호, 대한건축학회, , pp. 229-234, , 1990
35. 공모형 PF 사업의 개선을 위한 중요도 요인 선정에 관한 연구, 우철민, 조주현, 서민석, 심교언, 부동산연구제23권 제1호, 한국부동산연 구원, , pp. 25-40, , 2013
36. 민간투자사업 정량적 위험배분모형 구축과 국고보조금 산정, 백성준, 국토연구제51집 제4호, 국토연구원, , pp. 207-221, , 2006
37. 부동산 수익에 대한 인식과 실제간 간극: 행동경제학적 해석, 강명구, 권순구, 서울도시연구제12집 제1호, 서울연구원, , pp. 127-138, , 2011
38. 복합용도개발의 공모형 PF 사업자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 개선, 현창택, 김민지, 김종협,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제28권 제9호, 대한건 축학회, , pp. 155-164, , 2012
39. 공모형 PF 사업자 선정을 위한 평가분야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광호, 김재환, 이상엽, 지역연구제26권 제3호, , pp. 115-135, , 2010
40. 지방정부의 회계부정과 그 해법: 주인-대리인 이론을 중심으로, 정성호, 정창훈,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한국정책학회, , pp. 41-60, , 2012
41. 로버스트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Fuzzy 다기준 의사결 정기법의 적용, 한봉구, 정은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제33집 제3호, 대한토목학회, , pp. 917-926, , 2013
42. 정책연구보고서: 민간투자사업 새로운 위험분담 방식 제도화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 2016
43. Social Network Service 에서의 주인-대리인 이론 적용 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유진, 이형석, 한국통신학회 년도 동계종합학술발표회 발 표자료, 2022, , 2022
44. 수익형 (BTO) 민간투자사업의 새로운 추진 모형: 중 위험-중수익형방식, 박용석, 황우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2013
45. BTO 민간투자사업 투자위험분담형 타당성분석 및 적 격성조사 세부요령, 한국개발연구원, , 2015
46. 주인-대리인 이론에 입각한 관료제의 분석: 관료제의 통제를 중 심으로, 김덕준, 사회과학연구제18집 제1호, 호서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 pp. 301-317, , 1999
47. 공모형 PF 사업의 자금조달 실태분석-용산국제업무지구 사례 를 중심으로, 김종하, 부동산학보제44호, 한국부동산학회, , pp. 31-52, , 2011
48. 대형건설공사 위험인자의 중요도판정을 위한 퍼 지 평가모형 적용성 연구, 강인석, 박서영, 김창학, 대한토목학회논문집D제22집 제5호, 대 한토목학회, , pp. 923-933, , 2002
49. 민관 합동 공모형 PF 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소 고: 민간부문의 입장에서, 이종규, 이주형, 국토연구통권61호, 국토연구원, , pp. 103-119, , 2009
50. 퍼지다기준 의사결정법을 이용한 도시재생연구개 발사업의 효과에 대한 평가, 황석원, 곽소윤, 유승훈, 지역연구제25권 제4호, 한국지역학 회, , pp. 5-21, , 2009
51. 적격성조사 연구보고서: 민간투자사업 타당성 분석 및 적격성조사 세부요령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 2018
52. 부동산 개발사업의 리스크 요인 분석 및 관리 방안-공동주택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김민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2005
53. SOC 민간투자사업의 재무적 리스크 분 석에 관한 연구-경량전철 건설사업을 중심으로, 현창택, 김인호, 김형진, 정동욱, 대한건축학회 논 문집-구조계제17집 제5호, 대한건축학회, , pp. 109-116, , 2001
54. 정책평가의 방법론으로서 퍼지집합이론의 적용 가능성: 반부패 성과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제24권 제4호, 서울 행정학회, , pp. 313-338, , 2014
55. 퍼지다기준 의사결정법을 이용한 천안시 주택수요자의 주거입지조건 선택에 대한 연구, 곽승준, 이주석, 지역연구제27권 제1호, 한국지 역학회, , pp. 69-82, , 2011
56. 민간투자사업 활성화를 위한 위험관리 전략: 호주 Partnership Victoria의 위험관리 사례와 시사점, 윤하중, 국토정책 Brief제294호, , pp. 1-6, , 2010
57. 부동산 개발사업의 위험에 대한 효율적 관리 방 안연구–대전지역 공동주택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이성근, 김홍진, 전광섭, 부동산 학보제 46호, 한국부동산학회, , pp. 91-105, , 2011
58.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우 선순위 평가: 퍼지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하여, 박선영, 유승훈 , 구세주 , 서울도시연 구제11집 제4호, 서울연구원, , pp. 151-160, , 2010
59. 통계적 데이터 기반의 리스크를 고려한 민간투자사업의 재무 적 할인율 추정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형범, 석사논문, 중앙대, , 2007
60. 퍼지 다기준 의사결정법을 이용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위험요인 분석: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진연화, 유정석, 도시행정학보제32 집 제2호, 한국도시행정학회, , pp. 87-112, , 2019
61. 서울시 도시철도 등 민자사업의 개선방안 연구: 위험분 담형 비용보전방식 민자사업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손의영, 황보연, 서울도시연 구제16집 제2호, 서울연구원, , pp. 215-228, , 2015
62. 공모형 PF 사업의 개선방안 분석에 관한 연구: 서 울시 은평뉴타운 중심상업지 복합개발사업사례를 중심으로, 김진, 김재호, 서민석, 주거환 경제11집 제2호, 한국주거환경학회, , pp. 111-128, , 2013
63. 해외 PPP 사업에서 리스크 주요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터키 헬스케어 PPP 사업을 중심으로, 남궁진, 이상호,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제28집 제10호, 대한건축학회, , pp. 141-148, , 2012
64. 공영택지개발의 민ㆍ관 파트너십 과제와 전망: 공공ㆍ민간 공 동택지개발사업의 민간 참여 및 요구도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진미윤, 국 토연구제59권, , pp. 149-172, ,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