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심리치료의 펫로스 증후군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과 적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Review of Pet Loss Syndrome in Art Psycho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50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 후 반려인이 겪게 되는 펫로스 증후군을 도울 수 있는 예술치료 적용 선행연구와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부가적 선행연구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서 향후 펫로스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연구를 찾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DBPIA, 국회도서관, 미술치료학회, 한국예술치료학회, 한국문화교육학회 등의 기관 홈페이지를 검색하였고 해외의 펫로스 증후군 관련 자료를 조사하기 위하여 Google Scholar, Proquest.com, APA PsyycNet, Sciencedirect.com, Researchgate.net 등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였다. 검색을 통해 발견한 자료들 중 주제에 적합하지 않거나 중복된 연구들을 제외하고최종적으로 학술지 논문 15편, 학위논문 14편을 펫로스 증후군 관련 선행연구로 분류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펫로스 증후군의 성공적인 애도를 돕는 심리 치료적 접근으로는 예술치료적 접근이 가장 많았고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가 다수를 차지했다. 애도 프로그램에 예술치료가 가장 많이 적용된 이유는 언어적 표현 없이도 무의식을 자연스럽고 거부감 없이 표현할 수 있는 예술치료적 특징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예술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질적연구에 비하여 실험연구 수가 상당히 부족하여 향후 펫로스 증후군 관련 연구에 있어서 실험연구가 보다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예술치료적 접근 이외에 온라인상에 구축하는 반려동물 추모공간이나 애도를 돕는 VR 시스템 활용 등 현대적인 매체를 활용하려는 시도의 연구들도 눈에 띄었다. 해외의 경우 수의사를 위한 펫로스 증후군 치료 프로그램, 펫로스 증후군을 도울 수 있는 전문적인 단행본들과 치료사를 찾을 수 있는 포털 사이트와 같은 체계적인 종합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었다. 한국도 이와 같은 사례를 본받아 보다 체계적인 펫로스 개입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과 사회적 지지체계가 구축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 후 반려인이 겪게 되는 펫로스 증후군을 도울 수 있는 예술치료 적용 선행연구와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부가적 선행연구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서 향후 펫로스 분...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 후 반려인이 겪게 되는 펫로스 증후군을 도울 수 있는 예술치료 적용 선행연구와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부가적 선행연구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서 향후 펫로스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연구를 찾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DBPIA, 국회도서관, 미술치료학회, 한국예술치료학회, 한국문화교육학회 등의 기관 홈페이지를 검색하였고 해외의 펫로스 증후군 관련 자료를 조사하기 위하여 Google Scholar, Proquest.com, APA PsyycNet, Sciencedirect.com, Researchgate.net 등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였다. 검색을 통해 발견한 자료들 중 주제에 적합하지 않거나 중복된 연구들을 제외하고최종적으로 학술지 논문 15편, 학위논문 14편을 펫로스 증후군 관련 선행연구로 분류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펫로스 증후군의 성공적인 애도를 돕는 심리 치료적 접근으로는 예술치료적 접근이 가장 많았고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가 다수를 차지했다. 애도 프로그램에 예술치료가 가장 많이 적용된 이유는 언어적 표현 없이도 무의식을 자연스럽고 거부감 없이 표현할 수 있는 예술치료적 특징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예술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질적연구에 비하여 실험연구 수가 상당히 부족하여 향후 펫로스 증후군 관련 연구에 있어서 실험연구가 보다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예술치료적 접근 이외에 온라인상에 구축하는 반려동물 추모공간이나 애도를 돕는 VR 시스템 활용 등 현대적인 매체를 활용하려는 시도의 연구들도 눈에 띄었다. 해외의 경우 수의사를 위한 펫로스 증후군 치료 프로그램, 펫로스 증후군을 도울 수 있는 전문적인 단행본들과 치료사를 찾을 수 있는 포털 사이트와 같은 체계적인 종합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었다. 한국도 이와 같은 사례를 본받아 보다 체계적인 펫로스 개입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과 사회적 지지체계가 구축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서윤, "현대 한국사회에서 '애완동물'의 사회학적 의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양동, "한국 고대예술 원형질 탐구방법 시론: 제천의식(祭天儀式)을 중심으로" 11 : 43-60, 2000

      3 Atkins, S., "표현예술치료 소스북" 시그마프레스 2010

      4 김소희, "펫로스_증후군" 40 : 176-181, 2021

      5 최형문, "펫로스 증후군을 위한 VR 반려동물 교감 시스템" 29 (29): 563-564, 2021

      6 박진경, "펫로스 증후군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비블리오드라마 모형" 한국실천신학회 (81) : 437-455, 2022

      7 김도현, "펫로스 증후군 완화를 위한 반려동물 추모 공간 플랫폼" 2021 (2021): 691-695, 2021

      8 조현목, "펫로스 증후군 완화를 위한 기능성 반려동물 모형 개발" 한세대학교 2018

      9 Reynolds, Rita M, "펫로스 반려동물의 죽음" 책공장 더불어 2009

      10 설정희 ; 문정희 ; 천성문, "통합예술치료가 가족 사별 경험 중년여성의 애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247-270, 2016

      1 이서윤, "현대 한국사회에서 '애완동물'의 사회학적 의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양동, "한국 고대예술 원형질 탐구방법 시론: 제천의식(祭天儀式)을 중심으로" 11 : 43-60, 2000

      3 Atkins, S., "표현예술치료 소스북" 시그마프레스 2010

      4 김소희, "펫로스_증후군" 40 : 176-181, 2021

      5 최형문, "펫로스 증후군을 위한 VR 반려동물 교감 시스템" 29 (29): 563-564, 2021

      6 박진경, "펫로스 증후군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비블리오드라마 모형" 한국실천신학회 (81) : 437-455, 2022

      7 김도현, "펫로스 증후군 완화를 위한 반려동물 추모 공간 플랫폼" 2021 (2021): 691-695, 2021

      8 조현목, "펫로스 증후군 완화를 위한 기능성 반려동물 모형 개발" 한세대학교 2018

      9 Reynolds, Rita M, "펫로스 반려동물의 죽음" 책공장 더불어 2009

      10 설정희 ; 문정희 ; 천성문, "통합예술치료가 가족 사별 경험 중년여성의 애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247-270, 2016

      11 이현서 ; 한재희, "중년여성들의 노화반려견 상실경험" 한국상담학회 19 (19): 257-276, 2018

      12 김주심, "중년기 사별경험 여성을 위한 사성제 기반 애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2018

      13 임선희 ; 이미영 ; 김정민, "중년기 배우자 사별 여성을 위한 애도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173-191, 2013

      14 윤혜경 ; 김갑숙, "자살유가족의 가족기능성 회복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11 (11): 49-83, 2021

      15 김지숙, "인정받지 못하는 슬픔, 펫로스" 애니멀피플

      16 Serge Ciccotti, "인간과 개, 고양이의 관계 심리학" 책공장 더불어 2012

      17 William, J, Worden, "유족의 사별 슬픔–상담과 치료" 해조음 2007

      18 조용태, "우리나라 예술심리치료의 과제" 1-13, 2008

      19 이윤정 ; 박성현, "예술치료의 전일적(Holistic) 치유성-영적인 성장을 촉진하는 예술치료의 치료기제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9 (19): 359-376, 2018

      20 곽현주 ; 김영희,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185-203, 2013

      21 Ellen Winner, "예술심리학" 학지사 2004

      22 이근매, "예술심리치료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7 (7): 59-81, 2011

      23 최세아 ; 윤보영 ; 공리나, "영화 <내 어깨 위 고양이, 밥>에 나타난 반려동물의 의미와 펫로스 증후군 상담의 필요성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62 : 227-251, 2022

      24 김길원, "연합뉴스 반려동물이 주는 슬픔 펫로스 증후군"

      25 박주은, "여성의 반려견 죽음에 대한 경험"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3

      26 Barbara E. Thompson, "애도상담과 표현예술" 학지사 2020

      27 Stephen J. Freeman, "애도상담"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28 박소명 ; 전순영, "애도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반려동물 상실 경험 여성의 우울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971-994, 2020

      29 김희연, "애견 가구 산업의 전망과 시장 진입 전략"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4

      30 주영은 ; 김선희, "심리적 외상 경험자에 대한 표현예술치료 개입 효과의 메타분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4 (14): 127-153, 2018

      31 정민지 ; 안현의, "성인의 반려동물 안락사 경험과 복합 비애: 위험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21 (21): 269-289, 2020

      32 황정윤, "성인용 애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33 이유정, "샤머니즘 의례의 구조가 가지는 치유적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11) : 27-58, 2019

      34 길은영, "상실을 경험한 우울 청소년의 발달적 애도를 위한 미술심리치료 사례연구" l1 (l1): 19-44, 2022

      35 이범수, "사별경험과 애도상담의 연구 동향 분석- 국내 및 불교계 동향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70) : 443-473, 2014

      36 양준석 ; 유지영, "사별경험 중년여성을 위한 애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상담학회 19 (19): 293-312, 2018

      37 장현아, "복합 비애(Complicated Grief)의 개념과 진단" 한국심리학회 28 (28): 303-317, 2009

      38 이은자, "배우자 상실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애도작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사이코드라마를 중심으로" 대한신학대학원 대학교 2020

      39 김소희,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남성 독거노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애도과정 중심의 미술치료사례연구" 11 (11): 63-86, 2022

      40 장희은 ; 최은영 ; 공마리아, "배우자 사별 여성의 칠보만다라 중심 애도미술치료 경험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1099-1122, 2016

      41 김세영 ; 박형인, "반려동물효과: 반려동물 소유와 심리적 건강 간 관계의 메타분석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8 (28): 101-115, 2017

      42 김수진, "반려동물의 상실을 경험한 성인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충남대학교 2021

      43 모효정, "반려동물의 상실로 인한 슬픔, 펫로스(Pet Loss) 증후군의 증상과 대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5) : 91-120, 2015

      44 Vecchio, K, D, D., "반려동물을 잃은 반려인을 위한 안내서" 도서출판 아시아 2017

      45 이선윤,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영남대학교 2021

      46 김수연 ; 정여주,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 미술치료 사례: 내러티브 탐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475-492, 2020

      47 김민지 ; 전윤경 ; 한유진,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애도와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사례연구"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 (20): 227-246, 2020

      48 정효윤 ; 김유정,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여성의 애도중심 미술치료 개인 사례연구"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1 (21): 95-119, 2021

      49 박선경, "반려동물을 상실한 미혼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차의과대학교 2021

      50 장지연, "반려동물을 상실한 가족의 애도 미술치료 사례" 차의과학대학교 2020

      51 문화체육관광부,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및 양육 현황 조사 보고서" 리서치랩 2018

      52 진성택, "반려동물과의 애착이 Pet Loss Grief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용문상담심리대학원 대학교 2021

      53 장한아, "반려동물과의 애착에 따른 펫로스 증후군 경향성: 성인애착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 2020

      54 정한아, "반려동물과의 애착에 따른 펫로스 증후군 경향성: 성인애착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 2020

      55 김성일, "반려동물 추모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20 (20): 90-95, 2018

      56 박효민, "반려동물 정책의 쟁점과 대안" 1-25, 2019

      57 이도경, "반려동물 상실에 따른 애도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평택대학교 2021

      58 이해수, "반려동물 상실에 따른 반려인의 그리프 케어와 장송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9

      59 전요섭,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이해와 목회상담"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8 (28): 301-326, 2020

      60 정지연, "반려동물 상실과 박탈된 애도: 상실의 충격과 복합 애도 및 심리적 성장 간 사회적 제약의 조절 효과" 전남대학교 2020

      61 김유리, "반려동물 상실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2018 (2018): 319-, 2018

      62 한성아, "반려동물 상실 애도와 심리적 성장의 관계에서 의미재구성과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조절 된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2020

      63 전문희 ; 구훈정, "반려동물 사별로 인한 애도와 지속 비애의 관계: 성인불안애착으로 조절된 부정적 비애인지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 (20): 491-517, 2020

      64 배수현, "반려동물 돌봄 경험을 통한 애착정도 및 상실경험이 청소년 정서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2016

      65 김종희,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281-310, 2017

      66 오연주, "모(母) 사별 성인의 만다라 그림에 나타난 애도과정의 상징 연구" 8 (8): 1-21, 2008

      67 Serpell, J., "동물, 인간의 동반자" 들녘 2003

      68 김진영, "뉴미디어를 활용한 연극치료: 연극치료와 가상현실, 인터랙티브, 키넥트의 접목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12 (12): 85-98, 2017

      69 김윤경, "너무 보고싶어요 펫로스 증후군..ʻ비난·조롱 삼가야" 아시아경제

      70 김종우, "너를 만났다" 슬로우 미디어 2022

      71 이동귀,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21세기북스 2016

      72 김소울, "그림으로 그리는 마음 일기장" 학지사 2017

      7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74 김민정 ; 임나영, "가족 사별자의 애도를 위한 만다라 미술치료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2 (22): 1-20, 2022

      75 김재석, "ʻ펫로스(Pet loss)ʼ 치유를 위한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2021

      76 Freud, S.,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 14)" Hogarth Press 1957-, 1917

      77 Octavian Rujoiu, "Veterinarians' Views on Pet Loss-Evidence From Romania" 20 : 139-148, 2015

      78 Katherine Compitus, "Traumatic Pet Loss and the Integration of Attachment-Based Animal Assisted Therapy" 29 (29): 119-131, 2019

      79 Jones, P., "The arts therapies: A revolution in healthcare" Brunne-Routledge 2005

      80 Toray tamina, "The Human-Animal Bond and Loss- Providing Support for Grieving Clients" 26 (26): 244-259, 2004

      81 Lindemann, E., "Symptomology and management of acute grief" 101 : 141-148, 1944

      82 Cain, Ann O., "Pets as Family Members" 8 (8): 5-10, 1985

      83 Breeanna Spain, "Pet Loss: Understanding Disenfranchised Grief, Memorial Use, and Posttraumatic Growth" Informa UK Limited 32 (32): 555-568, 2019

      84 Ines Testoni, "Pet Loss and Representations of Death, Attachment, Depression, and Euthanasia" 30 (30): 135-148, 2017

      85 Octavian Rujoiu, "Pet Loss and Human Emotion-Romanian Students' Reflections on Pet Loss" 19 : 474-483, 2014

      86 Millie Cordaro, "Pet Loss and Disenfranchised Grief-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Counseling Practice" 34 (34): 283-294, 2012

      87 Stefania Uccheddu, "Pet Humanisation and Related Grief-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strument to Evaluate Grief in People Who Have Lost a Companion Dog" 9 (9): 1-14, 2019

      88 Ines Testoni, "Pet Grief- Tools to Assess Ownersʼ Bereavement and Veterinar Communication Skills" 9 (9): 1-16, 2019

      89 Wendy Packman, "ONLINE SURVEY AS EMPATHIC BRIDGING FOR THE DISENFRANCHISED GRIEF OF PET LOSS" 69 (69): 333-356, 2014

      90 Octavian Rujoiu, "Human‑Animal Bond-Loss and Grief.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13 (2013): 163-171, 2013

      91 Carmack, B. J., "Grieving the death of a pet" Augsburg Books 2003

      92 Eckerd L. M., "Grief following pet and hu- man loss: Closeness is key" 40 (40): 275-282, 2016

      93 Anna chur-hansen, "Grief and bereavement issues and the loss of a companion animal" 14 (14): 14-21, 2010

      94 Sherman A. Lee, "Does the DSM-5 grief disorder apply to owners of deceased pets a psychometric study of impairment during pet loss" 285 : 2020

      95 Doka, K. J., "Disenfranchised grief" 18 : 37-39, 1999

      96 Adrian, J. A. L., "Complicated grief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humans' response to the death of pets/animals" 73 (73): 176-187, 2009

      97 William, J, Worden, "Children and grief; When a parent dies" Guilford 1991

      98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Vol. III. Loss: Sadness and depression" Basic Books 1980

      99 Octavian Rujoiu, "ANIMAL COMPANION LOSS AND THE VETERINARIAN-CLIENT RELATIONSHIP–EXPLORATORY STUDY" 62 (62): 211-226, 2016

      100 농림축산식품부, "2022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보고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