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virtual images visually represented in the series of <Adam's Garden> which was selected as this research material, I attempted to verify how the visualization was possible through the virtual image, and how the loss and narrative signifi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virtual images visually represented in the series of <Adam's Garden> which was selected as this research material, I attempted to verify how the visualization was possible through the virtual image, and how the loss and narrative signifie...
In the virtual images visually represented in the series of <Adam's Garden> which was selected as this research material, I attempted to verify how the visualization was possible through the virtual image, and how the loss and narrative signified which was presupposed here. The goal and meaning of this research are to discriminate the problems of virtual images, and loss and narrative which were not presented yet in the contemporary art, and to analyze and find out mutual relations between them by means of this.
The key-words to be dealt in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are trauma and social reification. Phenomenon of war traumas and reification of industrial society in latter period are recognized as major questions to be dealt in the contemporary paintings. From this point of view, loss and narrative directly connected to war-time trauma, and the reification phenomenon of industrial society in latter period have a great meaning in connection with the problem of loss of human nature. However,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paintings, I found that loss and narrative had not been treated as a connection link in relation to the emergence of virtual image. I paid attention to such limitations of the background, and verified the reason and procedures of virtual images coming up and to find out its meaning and value in the contemporary paintings of latter period.
The core of the research problem is the emergence of the virtual images. Therefore the major task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way the virtual images entered the contemporary paintings of the latter period, and the ways loss and narrative were reflected to them. From this point of view, I contemplated the meaning of loss and narrative, and the meaning of manifesting function through every procedure which is revealed in virtual image. Hence, the content of narrative and loss of spiritual value which were caused by trauma and reification of the society has the mutual relations with the virtualization of the images; therefore virtual images are functioning to present the `ego of the epoch'. And I approached the application of the meaning of the images from the semiotic point of view, thus analyzed the category of the images and contemplated the relations with loss and narrative and relation with virtual images induction.
The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can be considered as followings. `The procedure of placing the content of loss into narrative' and `The procedure of manifestation of virtual images creating new meanings through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of images'. The major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how trauma and reification of society are created into loss through the appearance of virtual images, how they are developed into narrative, and how they appear in the final work.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limits were indicated after investigating art history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at is, I indicated the circumstance how the loss and narrative entered into the contemporary paintings of the latter period and the points that the presentation of virtual images were not analyzed from this point of view.
Second, the selected model artists were presented for this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conformity of selection of which the reason was considered. The selected model artists are Anselm Kiefer and Bill Viola. I approached A. Kiefer's works from the point of view of understanding history and society, and compared the loss and narrative of trauma with myself. As for B. Viola, I approached his works from the problem of human existence and compared the loss and narrative of life and death with myself. I used the allegories presented in the works of both model artists. Even though the loss, narrative and virtual images are equally expressed, the concrete content of the loss, narrative expression, and virtual images inducted by them have been distinctively exposed to me.
Third, I presented the works to be researched and analyzed them dividing into following types. 1) The first transformational model type is the installation works which were originally assembled with various research models. 2) The second transformational model type is paintings extensively developed into active transformation and expression. 3) The third transformational model type is the digital moving images which were created using computer simulation, 2D and 3D programs installation works and paintings. After that, I presented the illustrations of the works researched according to the types mentioned above and considered the essential elements exposed to me. They appear to be the reification of society and loss of restraints, the existence of the creativeness of the existence and duplicate narrative, and finally the manifestation of them in the virtual images.
Fourth, I verified the above-mentioned cases and analyzed them. I dealt with the procedure and the method of expression of virtual images according to every element as it is itemized by the categories in the verification methodology. I introduced J. Lacan's desire theory and A. J. Greimas' semiotic square, and applied the conceptions of condensation and displacement by S. Freud. As well I dealt with the discriminative position of background assumption which brings up social differences of the epoch. I totally identified different `manifestation of virtual images' and `distinction' applying this method.
As for the conclusion, I claim the premise of `Trauma and the restraints of reification of modern society' in the background of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loss and narrative and virtual image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virtual images are manifested in the relation of loss and narrative and they allow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artist from the spatial and temporary side. As well, I claim in my research that the virtual images of the contemporary paintings are manifested together with the presence of loss and narrative, and indicate the new value of the works being researched after tracing the peculiar features of them.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연구작품 <아담의 정원(Adam's Garden)> 연작에서 시각적 표상으로 나타난 가상이미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어떻게 `가상화'가 가능했는지, 그리고 여기에 전제된 상실과 서사는 ...
본 연구는 연구작품 <아담의 정원(Adam's Garden)> 연작에서 시각적 표상으로 나타난 가상이미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어떻게 `가상화'가 가능했는지, 그리고 여기에 전제된 상실과 서사는 어떻게 `의미작용' 하는지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대미술에서 제기되지 않았던 가상이미지와 상실과 서사의 문제를 차별화하여 이들이 어떠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에서 다루어야할 문제의 키워드는 트라우마와 사회의 물질화이다. 전쟁으로 인한 트라우마(trauma)와 후기 산업사회의 물질화 현상은 후기 현대회화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문제들로 주목받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실과 서사는 전쟁이 남긴 트라우마와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후기 산업사회의 물질화 현상은 인간성 상실의 문제와 결부된 데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그러나 현대 회화사에서는 가상이미지의 출현과 관련해서 상실과 서사가 연계맥락으로 다루어지지 않았음을 연구자는 발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그 한계점에 주목하여 가상이미지가 부상하게 된 원인과 절차를 밝히고, 그 의미와 가치를 후기 현대회화에서 찾고자 하였다.
여기서 문제의 핵심은 가상이미지의 출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문제로서 가상이미지가 어떠한 절차를 빌려 후기 현대회화에 등장했으며, 이 가상이미지에 상실과 서사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제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실과 서사의 의미를 살펴보고 가상이미지로 발현되는 제 절차를 통해 기표적 작용의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이에 따라 트라우마와 사회의 물질화로 인한 정신적 가치의 상실과 서사의 내용은 이미지의 가상성과 상호관련성을 갖게 되고, `시대적 자아상'의 표상으로서 `가상이미지'가 기표로 작용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미지의 의미작용에 있어서 기호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의미범주를 분석하고 상실과 서사의 관계, 그리고 가상이미지 유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방법으로서는 `상실의 내용이 서사로 전치되는 절차', 그리고 `이미지가 산출되는 과정을 통해 의미작용이 생성됨으로써 가상이미지가 발현되는 절차'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가상이미지의 등장을 통해서 트라우마와 사회의 물질화가 어떻게 상실로 야기되고, 서사로 전개되며, 작품으로 형상화되는지를, 연구자가 본고에서 밝혀야 할 주요 과제이다.
이에 따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사적 검토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한계를 지적한다. 즉 후기 현대회화에서 상실과 서사가 등장하게 된 제 상황과 그 연계맥락에서 가상이미지의 출현이 연구되지 않은 점에 주목하여 문제를 제기한다.
둘째, 문제제기에 대한 표본작가 선정의 준거를 제시하여 안젤름 키퍼와 빌 비올라를 선정하고, 그 준거에 근거하여 고찰한다. 키퍼에 관해서는 역사, 사회적 이해의 맥락에서 접근하여 트라우마로서의 상실과 서사를 연구자와 대비시키고, 비올라에 관해서는 인간의 존재에 대한 문제에 접근하여 삶과 죽음의 상실과 서사를 연구자와 대비시킨다. 여기서 연구자가 표본작가들과 공유하는 것은 알레고리를 사용하여 상실과 서사, 그리고 가상이미지를 표출한다는 점이지만, 연구자에게서 드러나는 상실의 구체적 내용과 서사적 표현, 그리고 이를 통해 유발된 가상이미지가 차별화된다.
셋째, 연구자의 연구작품을 제시하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그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제 1변형모형을 통해 다양한 연구모형들이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조형공간을 형성한 설치유형이다. 2) 제 2변형모형을 통해 적극적인 변형 및 표현의 확장성으로 전개된 평면유형이다. 3) 제 3변형모형을 통해 설치유형과 평면유형을 융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2D 및 3D 프로그램에서 이미지처리 한 영상유형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연구작품의 도판을 제시하여 고찰함으로써 연구자에게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요소를 확인하였는데, 그것은 사회의 물질화와 억압의 상실, 존재의 생성소멸과 이중맥락의 서사, 그리고 이를 통한 가상이미지의 발현이다.
넷째, 앞에서 고찰한 바를 검증하고 해석한다. 이 절차는 검증방법에서 범주의 세분화된 각 요소에 따라 가상이미지의 출현 절차와 방법을 다룬다. 해석방법에서는 라캉의 욕망이론과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을 도입하고, 프로이트의 응축과 전치개념을 적용한다. 또한 배경가정을 통해 시대적 사회적 차이가 야기하는 차별적 국면을 다룬다. 연구자는 이러한 절차를 통해 표본작가들과 전혀 다른 가상이미지의 발현과 차별화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가상이미지와 상실과 서사의 연관관계'의 배경에 `현대사회 물질화의 억압과 트라우마'가 전제됨을 주장한다. 이 맥락에서 기표로서의 가상이미지는 상실과 서사의 관계에 의해 발현된다는 것과 시간과 공간의 면에서 예술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고는 후기 현대회화에서 가상이미지의 등장이 상실과 서사의 부상과 궤를 같이하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하며, 여기에서 연구자가 고찰하는 연구작품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고유의 특성을 추적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