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여 년 동안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개발을 위해 참여형 연구개발사업의 숫자와 예산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국가R&D사업 가운데 국민이 참여한 사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4512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33-756(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20여 년 동안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개발을 위해 참여형 연구개발사업의 숫자와 예산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국가R&D사업 가운데 국민이 참여한 사업...
지난 20여 년 동안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개발을 위해 참여형 연구개발사업의 숫자와 예산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국가R&D사업 가운데 국민이 참여한 사업의 연구 분야와 주제에 대한 경향에 대한분석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수행된 시민참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총 2,211개의 과제에서 제시된 4,612개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LDA 토픽모델링 및 동시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토픽 모델링에서는 총 8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해당 토픽들은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국민건강, 환경 등의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제3차 및 4차 과학기술기본계획과 국가R&D과제의 참여적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동향 파악을 위해 시기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차이점 등을 분석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공지능, 연구관리, 리빙랩 등의 키워드가 높은 연결 중심성 지수를 나타내었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도출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민참여형 국가R&D과제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s and research amounts of participatory research programs enabling people recogniz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have increased since the last two decad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dealing with the themes and topics of parti...
The numbers and research amounts of participatory research programs enabling people recogniz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have increased since the last two decad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dealing with the themes and topics of participatory research in national R&D projects. The present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 of participatory R&D projects conducted from 2002 to 2022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pecifically, we performed LDA topic modeling an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using 4,612 key words from 2,211 research projects. We illustrated 8 topics related with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pollution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Furthermore, we conducted key word network analysis dividing the period into the Third and Fourth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Acts. Though central key words of two network analysis were various to some extents, a number of key word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oject managements and living labs show high conne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research in national R&D projec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욱, "혁신주체의 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구축방안" 1-230, 2005
2 박주섭 ; 홍순구 ; 김종원,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과학기술동향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2 (22): 19-28, 2017
3 최지영 ; 강근복, "참여정책분석 관점에서 본 국가연구개발사업 기획 과정: X-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22 (22): 149-181, 2018
4 성지은 ; 한규영 ; 정서화,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한국과학기술학회 16 (16): 65-98, 2016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6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차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23~27)(안)"
7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1차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실천계획(2014~2018)"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8 박소임 ; 장수정, "정부-주민주도형 ICT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경기도 고양시 화정2동 ICT 스마트리빙랩 실증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24 (24): 89-110, 2020
9 송위진, "전환적 혁신 정책과 혁신정책의 재구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10 강윤재, "원전사고와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필요성" 비판사회학회 (91) : 12-39, 2011
1 박상욱, "혁신주체의 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구축방안" 1-230, 2005
2 박주섭 ; 홍순구 ; 김종원,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과학기술동향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2 (22): 19-28, 2017
3 최지영 ; 강근복, "참여정책분석 관점에서 본 국가연구개발사업 기획 과정: X-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22 (22): 149-181, 2018
4 성지은 ; 한규영 ; 정서화,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한국과학기술학회 16 (16): 65-98, 2016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6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차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23~27)(안)"
7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1차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실천계획(2014~2018)"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8 박소임 ; 장수정, "정부-주민주도형 ICT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경기도 고양시 화정2동 ICT 스마트리빙랩 실증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24 (24): 89-110, 2020
9 송위진, "전환적 혁신 정책과 혁신정책의 재구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10 강윤재, "원전사고와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필요성" 비판사회학회 (91) : 12-39, 2011
11 이윤정,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논의와 실험에 내재된 도구적 관점: 영국 공론화 사례 중심" 기술경영경제학회 23 (23): 1-32, 2015
12 남우민 ; 박건철,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시민참여의 역할과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3 (23): 79-86, 2022
13 미래창조과학부,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 본격추진"
14 송위진 ; 김수은 ; 성지은, "사례연구를 통해 본 공공연구기관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자원순환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개발" 한국과학기술학회 19 (19): 53-90, 2019
15 김혜원 ; 이정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은 왜 실패했는가?: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99-125, 2019
16 송위진 ; 정서화 ; 한규영 ; 성지은 ; 김종선, "리빙랩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의 사업화 모델 도출" 한국기술혁신학회 20 (20): 458-486, 2017
17 김민수, "리빙랩을 적용한 어린이 교통안전 스마트도시 공공서비스 디자인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9 (19): 223-232, 2021
18 전병혜 ; 송혜승 ; 이명훈, "도시재생을 위한 시민참여 교육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9 (29): 155-182, 2017
19 이희권, "국민체감도 제고를 위한 사회문제해결형 R&D 성과창출출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
20 박성원 ; 진설아, "국민참여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의미와 한계: X -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경영경제학회 24 (24): 55-100, 2016
21 김나은 ; 김재훈 ; 정혜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리빙랩 연구 동향" 한국정책학회 31 (31): 269-308, 2022
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이 선도하는 담대한 미래·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23~2027)발표"
23 강근복, "과학기술정책의 결정을 위한 시민참여 정책분석" 13-38, 2008
24 권기창 ; 배귀희, "과학기술정책의 거버넌스 변화"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27-53, 2006
25 홍성만, "과학기술정책에서 신거버넌스의 가능성" 6 (6): 109-124, 2006
26 한재각, "과학기술 시민참여의 새로운 유형 : 수행되지 않은 과학 하기 : 한국의두 가지 사례-아토피와 근골격계 질환" 9 (9): 1-31, 2009
27 김환석, "과학기술 민주화의 이론과 실천" 비판사회학회 (85) : 12-39, 2010
28 박진희, "과학기술 관련 시민사회운동의 역사와 그 역할" 4 (4): 111-140, 2004
29 정인경, "과학 거버넌스와 과학 시민권: 이론적 검토" 한국정치연구소 24 (24): 335-362, 2015
30 김명심 ; 김지연, "‘관심있는 대중(Attentive Public)’에서 ‘참여적 시민(Participatory Citizen)’으로의 전환의 조건들:한국사회의 PUS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과학기술학회 22 (22): 66-103, 2022
31 Mimno, D. M., "Topic Models Conditioned on Arbitrary Features with Dirichlet-multinomial Regression" 24 : 411-418, 2008
32 Limoges, C.,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1-192, 1994
33 Bucchi, M., "The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3" 449-472, 2008
34 Jasanoff, S., "Science and Citizenship: A New Synergy" Beech Tree Publishing 90-94, 2004
35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Science Literacy: Concepts, Contexts, and Consequenc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6
36 백영민, "R을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한울아카데미 2017
37 Chopyak, J., "Public Particip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Decision Making : Trends for the Future" 24 : 155-166, 2002
38 Blei, D. M., "Probabilistic Topic Models" 55 (55): 77-84, 2012
39 Wynne, B., "Knowledges in Context" 16 (16): 111-121, 1991
40 Braun, K., "From Experiments to Ecosystems? Reviewing Public Participation, Scientific Governance and the Systemic Turn" 27 (27): 674-689, 2018
41 김영우, "Do it! 쉽게 배우는 R 텍스트 마이닝" 이지스퍼블리싱 2021
42 Hess, D. J., "Alternative Pathways in Science and Industry: Activism, Innovation, and the Environment in an era of Globalizaztion" Mit Press 2007
43 Westerlund, M., "A Topic Modelling Analysis of Living Labs Research" 8 (8): 40-51, 2018
44 Hossain, M., "A Systematic Review of Living Lab Literature" 213 : 976-988, 2019
45 Liu, G. Y., "A Co-word Analysis of Digital Library Field in China" 91 (91): 203-217, 2012
직무자원,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질 인식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직무요구-자원(JD-R) 모델의 동기부여 과정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통치성과 관방주의의 재발견: 공기업·국부펀드 활용의 ‘공공재정’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개인, 사회, 정부 신뢰와 대형화재 위험인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