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메달 획득 경험이 있는 중학교 레슬링선수들이 합숙훈련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교 운동부 문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학생선수 지도에 필요한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74086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9-112(14쪽)
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메달 획득 경험이 있는 중학교 레슬링선수들이 합숙훈련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교 운동부 문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학생선수 지도에 필요한 기...
본 연구는 메달 획득 경험이 있는 중학교 레슬링선수들이 합숙훈련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교 운동부 문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학생선수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레슬링 선수들은 34회 전국소년체육대회를 대비하여 합숙훈련을 하고 있는 ``D`` 중학교 3학년 ``K`` 선수와 ``Y`` 중학교 3학년 ``C`` 선수이다. 자료의 수집은 반구조화 심층면담과 선수들의 합숙일지를 제출받아 이루어졌으며, 수집한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 분류 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합숙일지를 분석하고 이서한 인터뷰 자료와 분석결과를 연구 참여자에게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메달 획득 경험이 있는 두 레슬링선수들은 합숙훈련을 대체로 ``즐거운 경험``, ``운동 전념의 기회``, ``연대감 형성의 기회``, ``생활기술의 습득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메달 획득에 대한 부담``, ``인간관계의 소원`` 부분은 부정적인 경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wrestlers who had the experience of winning medal recognize camp train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amp training culture and to provide useful coa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wrestlers who had the experience of winning medal recognize camp train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amp training culture and to provide useful coaching materials necessary to teach middle school wrestlers. Two middle school wresters who had such experience as winning a medal a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One research participant is a 3rd grade student athlete in ``D`` middle school who has been qualified as a representative of Incheon for the 34th national youth sport competition and the other is a 3rd grade student athlete in ``Y`` middle school. Data a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wrestlers` diary on camp training.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using domai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by Spradley(1980). As a result of analyzing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gained. Middle school student wrestlers who have won bronze or silver medals accept the camp training as opportunities to have ``pleasant experience,`` ``concentrating on wrestling,`` ``building up the feeling of solidarity,`` ``acquiring social skills.`` Middle school student wrestlers hav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are not always accept the camp training as positive experiences. They accept the experiences of feeling burden of winning gold medal and being isolated from families and friends as negative side of camp training.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정혜, "현대 운동문화의 가치 비판" 한국체육학회 43 (43): 89-98, 2004
2 김애랑, "합숙 훈련 기간과 조건이 운동선수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구기 종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3 류태호, "학원스포츠의 과제와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91-108, 2005
4 이상연, "학생선수들의 수업결손에 대한 정책대안연구" 한국체육학회 43 (43): 127-136, 2004
5 강신욱, "학교 운동부의 운동과 학업 수행 및 운영 실태 조사" 한국체육학회 42 (42): 97-110, 2003
6 교육인적자원부, "특기생 관리 지침" 교육부 2003
7 김귀봉, "코칭론" 보경문화사 1993
8 문윤제, "초등학교 운동선수의 성취목표 성향과 동기 분위기 지각이 동기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6 (16): 33-48, 2005
9 김만의, "초등학교 운동부 지도교사의 삶과 문화.대구교육대학교" 17 (17): 439-476, 2001
10 강신복, "체육교수이론" 보경문화사 2001
1 함정혜, "현대 운동문화의 가치 비판" 한국체육학회 43 (43): 89-98, 2004
2 김애랑, "합숙 훈련 기간과 조건이 운동선수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구기 종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3 류태호, "학원스포츠의 과제와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91-108, 2005
4 이상연, "학생선수들의 수업결손에 대한 정책대안연구" 한국체육학회 43 (43): 127-136, 2004
5 강신욱, "학교 운동부의 운동과 학업 수행 및 운영 실태 조사" 한국체육학회 42 (42): 97-110, 2003
6 교육인적자원부, "특기생 관리 지침" 교육부 2003
7 김귀봉, "코칭론" 보경문화사 1993
8 문윤제, "초등학교 운동선수의 성취목표 성향과 동기 분위기 지각이 동기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6 (16): 33-48, 2005
9 김만의, "초등학교 운동부 지도교사의 삶과 문화.대구교육대학교" 17 (17): 439-476, 2001
10 강신복, "체육교수이론" 보경문화사 2001
11 김정명, "청소년 인권의 사각지대,체육특기생" 6 (6): 21-40, 1999
12 김병준,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 심층이해(1):스포츠 재미거리" 8 (8): 43-60, 1997
13 강종구, "중학교 운동선수와 일반학생 간의 일탈행동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787-798, 2005
14 백종구, "중학교 운동선수들의 수업 참여 실태 및 인지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8 (8): 77-91, 2004
15 신정택, "중학교 운동부 지도자의 경쟁가치 리더십이 지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5 (45): 141-150, 2006
16 안광신, "중ㆍ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합숙 생활에 관한 실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0
17 임영선, "중ㆍ고등학교 운동부 운영 실태,농구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18 함정혜, "중․공등학교 운동선수의 할동 및 체벌실태 연구" 36 (36): 143-162, 1997
19 유안진, "정서조절 양식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167-181, 2006
20 류태호, "운동선수의 학교생활과 문화" 한국체육학회 43 (43): 271-282, 2004
21 남상우, "운동선수의 체중조절 실천과 규율권력 그리고 감시 기제의 작동방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8 (18): 287-309, 2005
22 임웅,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보상의 작용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6 (26): 385-391, 2005
23 김현준, "대학 레슬링선수와 코치의 인간관계 및 훈련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7 (17): 201-210, 2006
24 박윤식, "과훈련이 중학교 사이클 선수의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7 (17): 141-150, 2006
25 Spradley,J.P., "The ethnographic interview" Rienhart & Winston 2003
반성적 체육전문인 양성을 위한 대학교 학부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체육수업에서 내적동기와 학습양식 예측변인으로서 사고양식 프로파일 분석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체육교과서에 제시된 태권도 단원 비교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1 | 1.91 | 1.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9 | 2.03 | 2.01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