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사회복지증진을 위한 교회의 역할활성화 방안 : 교회자원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93317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 정책학과 , 2008. 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대구

      • 기타서명

        (A) Plan for Activating Church Role in Promoting Local Community Welfare : Focused on using church resources

      • 형태사항

        ⅳ, 116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봉기
        참고문헌: p. 100-105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church is prepared in many ways to take part actively in volunteer work as it has a great capacity and it is easy to mobiliz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Nevertheless it has failed to do an effective and active social volunteer work. It is because the church could not make full use of the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 professionally and effectively and get out of the passive attitude and the eleemosynary mind. Therefore the social volunteer work of church, though from now on, should be approached systematically, professionally and rationally. In this respect,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hurch once more and redefine the role of Korean church to the local community. To attain such purpose effectivel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elievers' and pastors' participation in and recognition of social volunteer work with the emphasis on how to use the church resources to improve the local community welfare by analyzing the realities of church resources. It then tried to establish a desirable direction of church in the local community volunteer work, find out the role of church in the community multilaterally, and grope for a plan to activate the volunteer work.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theoretical knowledge was found out from the church documents and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Korean church's social volunteer work, and home and abroad books, dissertations and general research papers. The administrative data and various kinds of statistical data were used as a tool to draw out the reality and problem of church social welfare project.
      Followings are the reality of Korean church that uses welfare resources for the local social welfare project and related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
      First, the church does recognize the social welfare work, but practices insufficiently. It is absolutely because of pastors' lack of recognition.
      Second, the budget of church for local welfare is absolutely insufficient and it is urgent to expand it.
      Third, though there is much space for local social welfare in church, it is not used prop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plan of use.
      Fourth, even in case of practicing local social welfare, the individual church-oriented service results in overlapping or concentration on a certain service. As a measure, the possible connection with neighboring institutions should be open and the informatization is urgent to use it effectively.
      Fifth, the analysis of the reality of church program for local social welfare showed that the program is of small number, fixed and uniformly.
      Sixth, as for the reality of programs by objects, children and juvenile object of protection were given priority, scholarship project of juvenile was universal and guidance, resting place, counseling and cultural space were lacking. Mission-home, kindergarten, nursery and study room are now under operation, but project for general children is insufficient.
      Seventh, church does not have sufficient departments full charge of social volunteer work and its capacity of service is rather small. Individual church has a difficulty in budget operation and does not have any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 or, if any, little participation.
      Eighth, the service carried out in the church is mostly a temporal event or project limited just to the church or church welfare facility.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professional program.
      Lastly, the main object of church service is mostly believers and brethren, suggesting that a coordination is necessary with other institutions in the region.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proposals are presented as plans to activate the effective use of welfare resources, like human, institutional, financial, organizational and program resources.
      First, the church, through overall participation in society, should solve the problems of community and take charge of the practical duty to formulate local community. Church leaders should renew their own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of support integrating human, financial and institutional resources through the new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project, informatization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It is also needed to establish interchurch coordination system.
      Third, the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institution should be groped for,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church should be networked, and the social welfare budget of church should be expand.
      Lastly, professional service, effective program operation, the motivation and strengthened training of believers' social welfare activity and the supply of good quality welfare service through pastors specialized in welfare and professional workers are urgently demanded.
      The finding shows that though with various limits and deficiency, Korean church is prepared with very good conditions and resources to practice local social welfare project. Therefore if the church is aware of the importance of its participation in the local social welfare and gives more professional support, the local social welfare through Korean church is expected to develop surprisingly.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all the local churches should be used as a good resources for activating the local social welfare and participate in it as a tool of blessing the community it belongs to. Also it is expected to follow better researches.
      번역하기

      Korean church is prepared in many ways to take part actively in volunteer work as it has a great capacity and it is easy to mobiliz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Nevertheless it has failed to do an effective and active social volunteer work. It is be...

      Korean church is prepared in many ways to take part actively in volunteer work as it has a great capacity and it is easy to mobiliz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Nevertheless it has failed to do an effective and active social volunteer work. It is because the church could not make full use of the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 professionally and effectively and get out of the passive attitude and the eleemosynary mind. Therefore the social volunteer work of church, though from now on, should be approached systematically, professionally and rationally. In this respect,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hurch once more and redefine the role of Korean church to the local community. To attain such purpose effectivel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believers' and pastors' participation in and recognition of social volunteer work with the emphasis on how to use the church resources to improve the local community welfare by analyzing the realities of church resources. It then tried to establish a desirable direction of church in the local community volunteer work, find out the role of church in the community multilaterally, and grope for a plan to activate the volunteer work.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theoretical knowledge was found out from the church documents and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Korean church's social volunteer work, and home and abroad books, dissertations and general research papers. The administrative data and various kinds of statistical data were used as a tool to draw out the reality and problem of church social welfare project.
      Followings are the reality of Korean church that uses welfare resources for the local social welfare project and related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
      First, the church does recognize the social welfare work, but practices insufficiently. It is absolutely because of pastors' lack of recognition.
      Second, the budget of church for local welfare is absolutely insufficient and it is urgent to expand it.
      Third, though there is much space for local social welfare in church, it is not used prop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plan of use.
      Fourth, even in case of practicing local social welfare, the individual church-oriented service results in overlapping or concentration on a certain service. As a measure, the possible connection with neighboring institutions should be open and the informatization is urgent to use it effectively.
      Fifth, the analysis of the reality of church program for local social welfare showed that the program is of small number, fixed and uniformly.
      Sixth, as for the reality of programs by objects, children and juvenile object of protection were given priority, scholarship project of juvenile was universal and guidance, resting place, counseling and cultural space were lacking. Mission-home, kindergarten, nursery and study room are now under operation, but project for general children is insufficient.
      Seventh, church does not have sufficient departments full charge of social volunteer work and its capacity of service is rather small. Individual church has a difficulty in budget operation and does not have any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 or, if any, little participation.
      Eighth, the service carried out in the church is mostly a temporal event or project limited just to the church or church welfare facility.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professional program.
      Lastly, the main object of church service is mostly believers and brethren, suggesting that a coordination is necessary with other institutions in the region.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proposals are presented as plans to activate the effective use of welfare resources, like human, institutional, financial, organizational and program resources.
      First, the church, through overall participation in society, should solve the problems of community and take charge of the practical duty to formulate local community. Church leaders should renew their own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of support integrating human, financial and institutional resources through the new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project, informatization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It is also needed to establish interchurch coordination system.
      Third, the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institution should be groped for,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church should be networked, and the social welfare budget of church should be expand.
      Lastly, professional service, effective program operation, the motivation and strengthened training of believers' social welfare activity and the supply of good quality welfare service through pastors specialized in welfare and professional workers are urgently demanded.
      The finding shows that though with various limits and deficiency, Korean church is prepared with very good conditions and resources to practice local social welfare project. Therefore if the church is aware of the importance of its participation in the local social welfare and gives more professional support, the local social welfare through Korean church is expected to develop surprisingly.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all the local churches should be used as a good resources for activating the local social welfare and participate in it as a tool of blessing the community it belongs to. Also it is expected to follow better researc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교회는 조직적 역량이 크고 인적?물적 자원의 동원이 용이하여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벌일 수 있는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이고 활발한 사회봉사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교회가 전문적이며 효과적인 사회사업 실천방법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소극적인 태도와 자선적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은 이제부터라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이며 합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논문은 지역사회와 교회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고 지역사회를 위한 한국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역할을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교회의 자원의 실태를 분석하여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교회의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역점을 두었으며 그리고 교인들과 목회자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참여와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교회의 지역사회봉사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게 하며, 지역사회에 기여할 교회의 역할을 다각적으로 찾아봄은 물론 지역사회의 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한국교회의 사회봉사와 관계된 교회문헌과 연구자료, 사회복지 사업과 관련된 국내외의 단행본, 학위논문, 일반연구논문 등에서는 이론적인 지식을 발견하였고 행정적 자료와 각종 통계자료에서는 교회사회복지사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하는 도구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한국교회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교회복지자원 활용 실태와 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교회의 인식은 있으나 그 실천도에 있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목회자의 인식부족이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둘째, 교회의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예산규모가 절대적으로 미흡하여 그 확충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셋째, 교회에는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할 시설공간이 많이 있음에 불구하고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그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고 있는 경우에도 개별 교회 중심의 서비스로 인하여 중복 또는 한 가지 서비스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웃 기관들과의 연계의 가능성을 열어 놓아야 할 것이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화가 시급하다.
      다섯째로 교회의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우선 프로그램의 수가 적고, 고정적이며 획일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여섯째로 대상별 프로그램의 실태를 살펴보면, 아동, 청소년보호 대상자가 우선시 되고 있으며, 청소년의 장학사업이 보편적이고, 선도, 쉼터, 상담, 문화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교원, 유치원, 어린이집 외에 아동공부방이 일부 실시되고 있지만 일반 아동을 위한 사업이 부족하다.
      일곱째로 교회의 사회봉사전담부서가 적고 서비스 규모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교회의 예산운영에 대한 어려움이 있고, 전문사회복지요원이 없거나 관여가 적다.
      여덟째로 교회에서 실시되는 서비스는 교회 내 또는 교회복지시설 내 일시적 행사나 사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홉째로 또한 교회봉사의 중심대상이 교인과 교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내 타기관과의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복지자원의 활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적자원, 시설자원, 재정자원, 조직자원, 프로그램자원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의 총체적인 사회참여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실천적 활동을 감당해야 한다. 또한 교회지도자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정보화, 조직자원을 통하여 인적, 재정, 시설자원의 통합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내 교회간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기관과의 연계를 모색하고, 교회사회복지활동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교회의 사회복지예산를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전문적인 서비스와 효율적인 프로그램운영, 교인들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동기와 훈련강화, 복지전문목회자와 전문사역자를 통한 양질의 복지서비스 제공 등이 시급히 요청된다.
      연구결과 여러 가지 한계와 부족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지역사회복지 사업을 실천하기에 매우 좋은 여건과 자원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교회의 참여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보다 전문적인 지지와 지원이 뒷받침되기만 한다면, 한국 교회를 통한 지역사회복지는 놀랍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하여 이러한 비전을 바라보면서, 각 지역에 근거하는 모든 지역교회를 그 지역의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좋은 자원으로 활용하고, 또 각 지역교회는 자신이 속한 그 지역사회를 축복하는 도구로서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동참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바라며, 앞으로 더 나은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한국교회는 조직적 역량이 크고 인적?물적 자원의 동원이 용이하여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벌일 수 있는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이고 활발한 사회봉사활동이 ...

      한국교회는 조직적 역량이 크고 인적?물적 자원의 동원이 용이하여 봉사활동을 활발하게 벌일 수 있는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이고 활발한 사회봉사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교회가 전문적이며 효과적인 사회사업 실천방법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소극적인 태도와 자선적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은 이제부터라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이며 합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논문은 지역사회와 교회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고 지역사회를 위한 한국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역할을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교회의 자원의 실태를 분석하여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교회의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역점을 두었으며 그리고 교인들과 목회자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참여와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교회의 지역사회봉사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게 하며, 지역사회에 기여할 교회의 역할을 다각적으로 찾아봄은 물론 지역사회의 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한국교회의 사회봉사와 관계된 교회문헌과 연구자료, 사회복지 사업과 관련된 국내외의 단행본, 학위논문, 일반연구논문 등에서는 이론적인 지식을 발견하였고 행정적 자료와 각종 통계자료에서는 교회사회복지사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하는 도구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한국교회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대한 교회복지자원 활용 실태와 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교회의 인식은 있으나 그 실천도에 있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목회자의 인식부족이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둘째, 교회의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예산규모가 절대적으로 미흡하여 그 확충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셋째, 교회에는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할 시설공간이 많이 있음에 불구하고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그 활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고 있는 경우에도 개별 교회 중심의 서비스로 인하여 중복 또는 한 가지 서비스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웃 기관들과의 연계의 가능성을 열어 놓아야 할 것이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화가 시급하다.
      다섯째로 교회의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우선 프로그램의 수가 적고, 고정적이며 획일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여섯째로 대상별 프로그램의 실태를 살펴보면, 아동, 청소년보호 대상자가 우선시 되고 있으며, 청소년의 장학사업이 보편적이고, 선도, 쉼터, 상담, 문화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교원, 유치원, 어린이집 외에 아동공부방이 일부 실시되고 있지만 일반 아동을 위한 사업이 부족하다.
      일곱째로 교회의 사회봉사전담부서가 적고 서비스 규모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교회의 예산운영에 대한 어려움이 있고, 전문사회복지요원이 없거나 관여가 적다.
      여덟째로 교회에서 실시되는 서비스는 교회 내 또는 교회복지시설 내 일시적 행사나 사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홉째로 또한 교회봉사의 중심대상이 교인과 교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내 타기관과의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복지자원의 활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적자원, 시설자원, 재정자원, 조직자원, 프로그램자원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의 총체적인 사회참여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실천적 활동을 감당해야 한다. 또한 교회지도자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정보화, 조직자원을 통하여 인적, 재정, 시설자원의 통합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내 교회간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기관과의 연계를 모색하고, 교회사회복지활동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교회의 사회복지예산를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전문적인 서비스와 효율적인 프로그램운영, 교인들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동기와 훈련강화, 복지전문목회자와 전문사역자를 통한 양질의 복지서비스 제공 등이 시급히 요청된다.
      연구결과 여러 가지 한계와 부족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지역사회복지 사업을 실천하기에 매우 좋은 여건과 자원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교회의 참여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보다 전문적인 지지와 지원이 뒷받침되기만 한다면, 한국 교회를 통한 지역사회복지는 놀랍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하여 이러한 비전을 바라보면서, 각 지역에 근거하는 모든 지역교회를 그 지역의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좋은 자원으로 활용하고, 또 각 지역교회는 자신이 속한 그 지역사회를 축복하는 도구로서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동참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바라며, 앞으로 더 나은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방법 및 범위 = 3
      • 1.3 본 연구의 한계점 = 4
      • 2. 지역사회복지와 교회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이론의 검토 = 5
      • 1.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방법 및 범위 = 3
      • 1.3 본 연구의 한계점 = 4
      • 2. 지역사회복지와 교회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이론의 검토 = 5
      • 2.1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일반적 고찰 = 5
      • 2.1.1 지역사회의 개념과 기능 = 5
      • 2.1.2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구성요건 및 전달체계 = 7
      • 2.1.3 지역사회복지의 역할 분담 = 12
      • 2.2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3
      • 2.2.1 교회의 정의와 사명 = 13
      • 2.2.2 교회사회복지사업의 개념과 요건 = 17
      • 2.2.3 기독교 사회복지 제공 주체와 객체 = 21
      • 2.2.4 교회사회복지사업의 대상 범위와 필요성 = 23
      • 2.3 지역사회복지와 교회사회복지사업과의 관계 = 25
      • 2.3.1 지역사회와 교회와의 관계 = 25
      • 2.3.2 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 = 27
      • 2.3.3.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의 기능과 역할 = 28
      • 2.3.4 지역복지 자원체계로서의 교회사회복지 = 31
      • 2.4 선행연구의 동향 = 36
      • 3. 교회의 지역사회복지사업의 실태분석 = 41
      • 3.1 교회의 지역사회복지역할 실태분석 = 41
      • 3.1.1 교회의 인적자원 활용실태 = 41
      • 3.1.2 교회의 시설자원 활용실태 = 48
      • 3.1.3 교회의 재정자원 활용실태 = 51
      • 3.1.4 교회의 조직자원 활용실태 = 57
      • 3.1.5 교회의 프로그램자원 활용실태 = 58
      • 3.2 교회의 지역사회복지역할수행의 문제점 = 65
      • 3.2.1 교회의 인적자원 문제 = 65
      • 3.2.2 교회의 시설자원 문제 = 66
      • 3.2.3 교회의 재정자원 문제 = 66
      • 3.2.4 교회의 조직자원 문제 = 67
      • 3.2.5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문제 = 68
      • 4. 교회사회복지사업 운영 활성화 방안 = 71
      • 4.1 교회의 인적자원 활용방안 = 71
      • 4.2 교회의 시설자원 활용방안 = 72
      • 4.3 교회의 재정자원 활용방안 = 74
      • 4.4. 교회의 조직자원 활용방안 = 76
      • 4.5 교회의 프로그램 자원 활성화 방안 = 78
      • 4.5.1 프로그램 자원의 체계적인 활성화 방안 = 78
      • 4.5.2 교회사회복지 대상별 사업의 활성화 방안 = 83
      • 5. 결론 및 제언 = 97
      • 참고문헌 = 100
      • 영문초록 = 106
      • 국문초록 =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