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94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유형 중 의사결정형에 초점을 맞추어 의사결정과 스토리텔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개발한 의사결정...

      이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유형 중 의사결정형에 초점을 맞추어 의사결정과 스토리텔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개발한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의 개발 원리 및개발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사결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의사결정의 의미를 정립하고 의사결정에 관련된 주요 단계를 정리하여 스토리텔링이 학생의 의사결정 역량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로 ‘맥락성의 원리’, ‘과정지향성의 원리’, ‘소통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내용 전개를 위한 틀에 해당하는 (1)문제 제기 (2) 수학적 개념 탐구 (3) 문제해결 (4) 판단과 정당화 그리고 (5) 성찰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졌다. 이들개발 원리와 의사결정 단계가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에 적용된 사례를 조건부 확률 단원을 중심으로 예시를통해 서술하였으며 제시하면서 향후 의사결정형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수학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 및 방향에 대하여 탐색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we conceptuali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cision-making and specified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f...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we conceptuali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cision-making and specified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for the textbook based on decision-making. We illustrated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by the cases from the model textbook for the conditional probability that we have developed.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textbook for decision-making based on storytell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종, "해양정보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전재영, "학교 다문화교육의 성격 및 목표 체계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50 (50): 131-159, 2012

      3 신은주, "탐구지향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1 (11): 157-177, 2001

      4 김상룡, "초등수학에서 동화의 활용 방안 탐색" 6 (6): 29-40, 2002

      5 류수열, "스토리텔링과 교과서 편찬 연구" (주) 금성출판사 2011

      6 최혜실, "스토리텔링, 그 매혹의 과학" 한울아카데미 2011

      7 권오남,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 가능한가?: 모델교과서 개발을 통한 탐색적 성찰" 2013

      8 백조현,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과 수업 설계 전략 모형 개발 -확률통계를 중심으로" 20 (20): 113-141, 2010

      9 박소화, "스토리텔링 기반 교수설계 원리 및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0 구혜영, "수학동화를 이용한 일지쓰기 활동이 수학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43-263, 2011

      1 김석종, "해양정보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전재영, "학교 다문화교육의 성격 및 목표 체계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50 (50): 131-159, 2012

      3 신은주, "탐구지향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1 (11): 157-177, 2001

      4 김상룡, "초등수학에서 동화의 활용 방안 탐색" 6 (6): 29-40, 2002

      5 류수열, "스토리텔링과 교과서 편찬 연구" (주) 금성출판사 2011

      6 최혜실, "스토리텔링, 그 매혹의 과학" 한울아카데미 2011

      7 권오남,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 가능한가?: 모델교과서 개발을 통한 탐색적 성찰" 2013

      8 백조현,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과 수업 설계 전략 모형 개발 -확률통계를 중심으로" 20 (20): 113-141, 2010

      9 박소화, "스토리텔링 기반 교수설계 원리 및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0 구혜영, "수학동화를 이용한 일지쓰기 활동이 수학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43-263, 2011

      11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교육 선진화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2

      12 전희옥, "사회과교육과정 ‘의사결정’ 내용요소의 적용 방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39-160, 2007

      13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2012

      14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말하다" 삼성경제소 2006

      15 강현석,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과서 진술 방식의 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77-207, 2007

      16 한승희, "내러티브 사고 양식의 교육적 의미" 15 (15): 400-423, 1997

      17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 1994

      18 차유철, "광고와 스토리텔링" 한경사 2009

      19 권오남,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연구 계획서 No. 060000)"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20 권오남,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대한 이해"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223-246, 2012

      21 Ellis, B., "Why tell stories?" 12 (12): 29-31, 1997

      22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2005

      23 Bruner, J. S.,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24 Egan, K., "The cognitive tools of children's imagination" 36 (36): 4-10, 2004

      25 Hurst, J., "The Decision Marking Process, In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 College and University Faculty Assemble,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studie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1983

      26 Roberts, N., "Telling and illustrating stories of parity : a classroom-based design experiment on young children’s use of narrative in mathematics" 45 (45): 453-467, 2012

      27 Banks, J. A.,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 Inquiry, valuing, and decision-making" Longman 1990

      28 Balakrishnan, C., "Teaching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hrough stroytelling" Simon Fraser University 2000

      29 Hauscarriague, A., "Teaching mathematics through stories in high school and community college"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2008

      30 Zazkis, R., "Teaching mathematics as storytelling" Sense Publishers 2009

      31 Egan, K., "Teaching as story tell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32 Haven, K., "Super Simple Storytelling: A can-do guide for every classroom" Teacher Idea Press 2000

      33 Crossley, M., "Introducing narrative psychology" OU Press 2000

      34 Fivush, R., "Constructing narrative, emotion, and self in parent-child conversation about the past, In The Remembering Self : Construction and Accuracy in the Self-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5 Egan, K., "Cognitive tools and imagination"

      36 Mjelde, J. W., "Cognitive development effects of teaching probabilistic decision mak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40 : 36-44, 2011

      37 Egan, K., "An imaginative approach to teaching" Jossey-Bass 2005

      38 Bruner, J., "Acts of meaning"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39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97 1.51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