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인적자원 유연성이 조직성과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uman Resource Flexibilty of Employees of Security Industr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novative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human resource flexibility of security workers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behavior. A total of 35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collected in 340 copies of the security workers. A total of 335 questionnaires, except 5, which were unsatisfactory in the questionnaire or whose answers were missing, were analyzed for frequenc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9.0 program.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flexibility of human resources of security worker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human resource flexibility of security workers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Thir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ecurity workers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both human resource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re crucial factors for innov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novation behavior. In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curity industry, it is necessary to manage human resource flexibility in order to develop and motivate innovation capability through education and continuous training of work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human resource flexibility of security workers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behavior. A total of 35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collected in 340 copies of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human resource flexibility of security workers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novation behavior. A total of 35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collected in 340 copies of the security workers. A total of 335 questionnaires, except 5, which were unsatisfactory in the questionnaire or whose answers were missing, were analyzed for frequenc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9.0 program.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flexibility of human resources of security worker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human resource flexibility of security workers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Thir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ecurity workers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both human resource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re crucial factors for innov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novation behavior. In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curity industry, it is necessary to manage human resource flexibility in order to develop and motivate innovation capability through education and continuous training of work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인적자원 유연성이 조직성과 및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시큐리티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유의표집방법으로 총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4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되어진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작성되었거나 설문의 조사내용에 대하여 응답이 누락되어진 5부를 제외한 총335부의 설문자료를 SPS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인적자원 유연성은 조직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인적자원 유연성은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조직성과는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적자원 유연성과, 조직성과 두 요인은 혁신행동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조직성과는 혁신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시큐리티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업무종사자들의 교육과 꾸준한 훈련을 통하여 혁신역량을 개발하여 동기부여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 유연성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인적자원 유연성이 조직성과 및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시큐리티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유의표집...

      본 연구는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인적자원 유연성이 조직성과 및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시큐리티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유의표집방법으로 총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40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되어진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작성되었거나 설문의 조사내용에 대하여 응답이 누락되어진 5부를 제외한 총335부의 설문자료를 SPS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인적자원 유연성은 조직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인적자원 유연성은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조직성과는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적자원 유연성과, 조직성과 두 요인은 혁신행동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조직성과는 혁신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시큐리티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업무종사자들의 교육과 꾸준한 훈련을 통하여 혁신역량을 개발하여 동기부여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 유연성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정대, "호텔기업의 윤리적 리더십과 인적자원유연성 및 경영성과간의 관계" 관광산업연구소 9 (9): 42-60, 2015

      2 허정수, "한국형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방향성 모색" 2 (2): 223-248, 2009

      3 박민희, "코칭리더십이 인적자원유연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동북아관광학회 13 (13): 261-280, 2017

      4 전화익,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수준이 인적자본,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29, 2014

      5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2014

      6 이향수,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연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7-54, 2017

      7 신황용, "조직문화의 유형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농・수・산림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7 (47): 123-147, 2013

      8 송은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54) : 181-202, 2018

      9 홍현경, "자기효능감이 직무 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구성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종관, "인적자원유연성과 고용불안정성,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4 (24): 3157-3175, 2011

      1 구정대, "호텔기업의 윤리적 리더십과 인적자원유연성 및 경영성과간의 관계" 관광산업연구소 9 (9): 42-60, 2015

      2 허정수, "한국형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방향성 모색" 2 (2): 223-248, 2009

      3 박민희, "코칭리더십이 인적자원유연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동북아관광학회 13 (13): 261-280, 2017

      4 전화익,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수준이 인적자본,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29, 2014

      5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2014

      6 이향수,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연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7-54, 2017

      7 신황용, "조직문화의 유형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농・수・산림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7 (47): 123-147, 2013

      8 송은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54) : 181-202, 2018

      9 홍현경, "자기효능감이 직무 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구성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종관, "인적자원유연성과 고용불안정성,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4 (24): 3157-3175, 2011

      11 오선희, "인적자원관리관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인적자원 유연성과작업장 노사협력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12 송은일,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50) : 263-284, 2017

      13 이종호,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만족 척도 개발 및 구조검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14 남길석, "시큐리티기업의 인적자원관리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혁신행동의 관계" 한국융합과학회 4 (4): 69-83, 2015

      15 박기범, "시큐리티기업의 시장지향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경영성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7

      16 오진숙, "뷰티서비스업 종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성과 관계에서 인적자원유연성의 매개효과 분석"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17 남길석, "민간경비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인적자원 유연성, 혁신행동 및 조직성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18 전상철, "다양성 인적자원관리와 조직몰입, 맥락성과 및 혁신행동과의 관계 : 비유사성 인식의 조절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19 정기원, "기업의 혁신행동과 최고경영진(TMT)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한국전략경영학회 20 (20): 55-78, 2017

      20 윤준섭, "고성과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구성요인, 인적자원유연성, 조직성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21 Pfeffer, J., "The human equation: Building profits by putting people first" Harvard Business Press 1998

      22 Bhattacharya, M., "The effects of flexibility in employee skills, employee behaviors, and human resource practices on firm performance" 31 (31): 622-640, 2005

      23 Howkins, J., "The creative economy: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s" Penguin UK 2002

      24 Wright, P. M., "The New Workplace: A Guide to the Human Impact of Modern Working Practices" Wiley 2003

      25 Delery, J. E., "Modes of theorizing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 Tests of universalistic,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al performance predictions" 39 (39): 802-835, 1996

      26 Poister, T. H., "Measuring performance in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2008

      27 안예지, "K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관련스트레스와 서비스지향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8 West, M. A., "Innovation at work : Psychological perspectives" 4 (4): 15-30, 1989

      29 Dyer, L., "In pursuit of marketplace agility: Applying precepts of selforganizing systems to optimize human resource scalability" 44 (44): 183-188, 2005

      30 Beltrán-Martín, I., "Human resource flexibility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and performance" 34 (34): 1009-1044, 2008

      31 Ketkar, S., "Environmental dynamism, human resource flexibility, and firm performance : Analysis of a multi-level causal model" 21 (21): 1173-1206, 2010

      32 Oldham, G. R., "Employee creativity :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39 (39): 607-634, 1996

      33 Cappelli, P., "Do “high-performance” work practices improve establishment-level outcomes?" 54 (54): 737-775, 2001

      34 Godard, J.,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high‐performance paradigm" 42 (42): 349-378,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시큐리티연구
      외국어명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 Korean Security Journal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호경비연구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Security And Bodyguard -> Korean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1 1.08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