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해부학적, 물리·역학적 특성 비교 = Comparison of Cellular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37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종 구분을 위하여 해부학적 특성을 관찰하고, 재질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연륜폭, 가도관 길이, 밀도, 강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수간해석와 시험편 채취를 ...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종 구분을 위하여 해부학적 특성을 관찰하고, 재질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연륜폭, 가도관 길이, 밀도, 강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수간해석와 시험편 채취를 위하여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지역에서 생장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를 경급별(대·중·소)로 1본씩 선발하여 벌채하였다.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평균 수령은 각각 74년, 51년, 평균 흉고지름은 각각 442 mm, 352 mm, 평균 수고는 각각 26.1 m, 20.8 m이었다. 두 수종의 수목해부학적 차이는 나선비후가 잎갈나무에 존재하지 않지만, 일본잎갈나무의 방사가도관에 드물게 존재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잎본잎갈나무의 방사단면에서 나선비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수고 1.2 m의 원판에서 측정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연평균 직경생장은 각각 5.167 mm, 5.954 mm로 일본잎갈나무의 생장이 잎갈나무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강도측정을 위한 시험편의 물리적 특성에서 연평균 직경생장이 작은 잎갈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하여 만재율과 전건밀도가 크게 측정되었다. 역학적 특성은 잎갈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하여 2 - 7% 크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축적된 자료는 향후 수행될 DNA 분석을 통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종 구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observe the cellular anatomical properties of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In addition, other factors - the ring width, tracheid length, density, and strength -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lari...

      The study aims to observe the cellular anatomical properties of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In addition, other factors - the ring width, tracheid length, density, and strength -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larify their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o the end, three Dahurian larch trees and three Japanese larch trees by each diameter class were collected as specimens from Jeongseon-eup, Jeongseon-gun, Gangwon-do, to conduct a stem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tand age,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average tree height of three Dahurian larch trees and Japanese larch trees were 74 years and 51 years, 442 mm and 352 mm, and 26.1 m and 20.8 m, respectively. The cellular anatomical difference between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can be usually found by spiral thickening, considering that it doesn`t occur in Dahurian larch at all, while rarely does in the ray tracheids of Japanese larch. However, in this study, spiral thickening was not observed in the radial section of Japanese larch. The average annual growth diameters measured at 1.2 m-height of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were 5.167 mm and 5.954 mm, respectively. Meanwhile, arboreal growth of Japanese larch was obser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Dahurian larch. In the physical properties test, it was measured that the latewood proportion and oven-dry density of Dahurian larch with low annual diameter growth were higher than those of Japanese larch, whil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Dahurian larch wood were measured 2-7% higher than those of Japanese larch wood.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reference for species identification between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by DNA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택, "일본잎갈나무의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 추정" 한국기후변화학회 7 (7): 499-506, 2016

      2 이전제, "육안등급으로 구분된 낙엽송 제재목의 휨성능 분포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1 (31): 72-79, 2003

      3 김성호, "신갈나무, 소나무, 낙엽송 목분의 함수율 및 크기가 목재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목재공학회 43 (43): 757-767, 2015

      4 김규혁,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 CUAZ, CuHDO 가압처리를 위한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및 처리목재의 정착 특성 평가" 한국목재공학회 39 (39): 481-489, 2011

      5 한연중, "생장지역별 소나무재의 물리적⋅역학적 특성과 상호 상관관계" 한국목재공학회 44 (44): 695-704, 2016

      6 김상태, "낙엽송재의 화학적 조성 및 연료적 특성에 대한 반탄화 조건의 영향" 한국목재공학회 43 (43): 122-134, 2015

      7 홍순일, "국내산 낙엽송집성재의 지압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6 (36): 93-101, 2008

      8 서정욱, "경상북도 울진군 소광리 소나무의 가도관 길이 변이 분석" 한국목재공학회 42 (42): 646-652, 2014

      9 정성호, "간벌강도에 따른 낙엽송의 휨 및 종압축강도성능" 한국목재공학회 42 (42): 385-392, 2014

      10 황권환, "古부재 잎갈나무 말뚝의 재질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5 (35): 23-30, 2007

      1 강진택, "일본잎갈나무의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 추정" 한국기후변화학회 7 (7): 499-506, 2016

      2 이전제, "육안등급으로 구분된 낙엽송 제재목의 휨성능 분포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1 (31): 72-79, 2003

      3 김성호, "신갈나무, 소나무, 낙엽송 목분의 함수율 및 크기가 목재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목재공학회 43 (43): 757-767, 2015

      4 김규혁,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 CUAZ, CuHDO 가압처리를 위한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및 처리목재의 정착 특성 평가" 한국목재공학회 39 (39): 481-489, 2011

      5 한연중, "생장지역별 소나무재의 물리적⋅역학적 특성과 상호 상관관계" 한국목재공학회 44 (44): 695-704, 2016

      6 김상태, "낙엽송재의 화학적 조성 및 연료적 특성에 대한 반탄화 조건의 영향" 한국목재공학회 43 (43): 122-134, 2015

      7 홍순일, "국내산 낙엽송집성재의 지압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6 (36): 93-101, 2008

      8 서정욱, "경상북도 울진군 소광리 소나무의 가도관 길이 변이 분석" 한국목재공학회 42 (42): 646-652, 2014

      9 정성호, "간벌강도에 따른 낙엽송의 휨 및 종압축강도성능" 한국목재공학회 42 (42): 385-392, 2014

      10 황권환, "古부재 잎갈나무 말뚝의 재질 특성" 한국목재공학회 35 (35): 23-30, 2007

      11 Jyske, T., "Wood density within Norway spruce stems" 42 (42): 439-455, 2008

      12 Eom, Y.G., "Wood Anatomy of Korean Species" Media Wood., Ltd 2015

      13 Jung, H.S., "Terminology of Wood"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5

      14 Wimmer, R., "Temporal variation of the ring width-wood density relationship in Norway spruce grown under two levels of anthropogenic disturbance" 24 (24): 53-61, 2003

      15 Korea Forest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2016

      16 Yim, K.B., "Silviculture theory" Hyangmun Press 1985

      17 Takahashi, M., "Resources and growth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in Japan" 2015

      18 Ishikura, Y., "Radial variation in partial compression properties perpendicular to the grain of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58 (58): 399-407, 2012

      19 Kong, W.S., "Natural Ecosystem of North Korea" Jipmoondang 2006

      20 Korea Standard Association, "Method of shear test for wood. KS F 2209"

      21 Korea Standard Association, "Method of compression test for wood. KS F 2206"

      22 Korea Standard Association, "Method of bending test for wood. KS F 2208"

      23 Koga, S., "Inter-tree and intra-tree variations in ring width and wood density components in balsam fir (Abies balsamea)" 38 (38): 149-162, 2004

      24 Jo, J. M., "Illustrated World Wood" Seonjinmunhwa Press 1988

      25 Kim, G. H., "Fixation characteristics of CCA and CCFZ in Japanes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sapwood" 29 (29): 52-59, 2001

      26 Takeda, T., "Effective sampling method for estimating bending strength distribution of Japanese larch square-sawn timber" 46 (46): 350-356, 2000

      27 Zhu, J., "Effect of growth on wood properties for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Differences of annual ring structure between corewood and outerwood" 44 (44): 392-396, 1998

      28 Zhang, S.Y., "Effect of age on the variation, correlations and inheritance of selected wood charicteristics in black spruce (Picea mariana)" 32 (32): 197-204, 1998

      29 Boone, R. S., "Dry Kiln Schedules for Commercial Woods-Temperate and Tropical" Forest Products Laboratory 1988

      30 Bao, F. C., "Differences in wood properties between juvenile wood and mature wood in 10 species grown in China" 35 (35): 363-375, 2001

      31 Fujimoto, T., "An application of mixed-effects mod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itial spacing on radial variation in wood density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56 (56): 7-14, 2010

      32 Smith, D.M., "A comparison of two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pecific gravity of small samples of second growth Douglas-fir" Forest Products Laboratory 1955

      33 Kretschmann, D.E., "(Centennial Eds) Wood Handbook: 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Forest Products Laboratory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0.45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