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운동선수 경험이 있는 현직 체육교사의 삶을 생애사 연구방법(life history research)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생수영선수의 삶, 은퇴 원인과 그 과정, 은퇴 후 삶, 사회화 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11806
서울 : 한국체육대학교, 2010
학위논문(석사) --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교체육교육전공 , 2010.8
2010
한국어
696.1 판사항(4)
서울
90 p. : 삽도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운동선수 경험이 있는 현직 체육교사의 삶을 생애사 연구방법(life history research)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생수영선수의 삶, 은퇴 원인과 그 과정, 은퇴 후 삶, 사회화 구성...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운동선수 경험이 있는 현직 체육교사의 삶을 생애사 연구방법(life history research)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생수영선수의 삶, 은퇴 원인과 그 과정, 은퇴 후 삶, 사회화 구성요소와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운동선수 경력이 있는 ‘민들레’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0년 3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참여자인 ‘민들레’ 체육교사는 학생운동선수 시절 경기력과 학업에서 모두 높은 성취수준을 보였다. 이는 경기에 대한 승부욕과 높은 학습욕구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들레’의 선수생활 은퇴는 국가대표가 되지 못한 것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코치 및 동료와의 갈등과 진로문제가 간적접인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렇게 선수생활을 그만둔 ‘민들레’는 은퇴 후 학교생활 적응에 큰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으며,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소망하던 대학에 입학하여 졸업 후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합격하였다.
이와 같이 ‘민들레’ 체육교사는 학생운동선수 은퇴 후 성공적인 사회 적응과정을 보였다. 이는 확고한 목표의식과 자신의 선택에 대한 높은 책임감, 열정적인 태도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민들레’는 경기력이 우수한 시점에서 은퇴를 자발적으로 선택하였는데, 이는 은퇴 후 사회 적응과정을 자기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과 같은, 학생운동선수 경험이 있는 체육교사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첫째, 학생운동선수 시절이나 선수생활 은퇴 후 시기에 학교생활이나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은퇴 선수들에게 ‘민들레’는 하나의 성공적인 모델로 제시될 수 있다. 둘째, ‘민들레’의 생애사 사례에 근거할 때 학생운동선수의 은퇴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관점을 바꿀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학생운동선수의 은퇴는 선수생활의 마무리이자 새로운 출발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운동선수들과 이에 관여하는 체육 전문가들은 심한 경쟁 속에서 은퇴를 선택하는 학생운동선수들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선수생활 은퇴 후 사회화를 발전적으로 안내해 주어야 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