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 심리부검 매뉴얼(K-PAM; Korea-Psychological Autopsy Manual) 개발과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 - Psychological Autopsy Manual(K-P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07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형 심리부검 매뉴얼(가칭 K-PAM)의 문항과 실시 평가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가지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 K-PAM 1차본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국내외 심리부검 문헌 탐색과 컨설팅을 진행하였고, 이후 내용 전문가들 간의 논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60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37개의 심리부검 사례를 활용하여 60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AM은 적절한 수준의 준거 타당도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가자 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전반적으로 적정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다. 셋째, 검사-재검사 분석 결과 적절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여 시간의 흐름과 관계없이 신뢰로운 평가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넷째, G 연구를 실시한 결과 K-PAM의 문항이 전체 점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D 연구를 실시한 결과 최소 4명의 평가자 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특성(Conner et al., 2022)을 반영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된 심리부검 도구를 제시했다는 것에 큰 가치를 가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형 심리부검 매뉴얼(가칭 K-PAM)의 문항과 실시 평가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가지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 K-PAM 1차...

      본 연구는 한국형 심리부검 매뉴얼(가칭 K-PAM)의 문항과 실시 평가체계를 구성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가지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 K-PAM 1차본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국내외 심리부검 문헌 탐색과 컨설팅을 진행하였고, 이후 내용 전문가들 간의 논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60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37개의 심리부검 사례를 활용하여 60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AM은 적절한 수준의 준거 타당도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가자 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전반적으로 적정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다. 셋째, 검사-재검사 분석 결과 적절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여 시간의 흐름과 관계없이 신뢰로운 평가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넷째, G 연구를 실시한 결과 K-PAM의 문항이 전체 점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D 연구를 실시한 결과 최소 4명의 평가자 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특성(Conner et al., 2022)을 반영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된 심리부검 도구를 제시했다는 것에 큰 가치를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sychological autopsy manual (K-PAM). Two studie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for this study. In study 1, the first version of K-PAM was composed. For this purpose, items and rating systems from prece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were explored and consulted. Sixty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rom the first preliminary version through expert discussion. In study 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PAM were specifically investigated by using 37 psychological autopsy cases. As a result, the criterion-related-validity was verified by examining correlations with two criterion scales. Seco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ICC) was also supported. Third, the test-retest validity showed an acceptable level. Finally, the results of the G study showed that the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tal score as a measurement error. The D study also indicated that at least 4 assessors were required to get an acceptable level of the based dependency coefficient. This study is of great value since it presented a psychological autopsy tool that is confirmed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y reflecting standardized characteristics(Conner et al., 2022).
      번역하기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sychological autopsy manual (K-PAM). Two studie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for this study. In study 1, the first version of K-PAM was composed. For this purpose, items and rating systems from prec...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sychological autopsy manual (K-PAM). Two studie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for this study. In study 1, the first version of K-PAM was composed. For this purpose, items and rating systems from prece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were explored and consulted. Sixty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rom the first preliminary version through expert discussion. In study 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PAM were specifically investigated by using 37 psychological autopsy cases. As a result, the criterion-related-validity was verified by examining correlations with two criterion scales. Seco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ICC) was also supported. Third, the test-retest validity showed an acceptable level. Finally, the results of the G study showed that the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tal score as a measurement error. The D study also indicated that at least 4 assessors were required to get an acceptable level of the based dependency coefficient. This study is of great value since it presented a psychological autopsy tool that is confirmed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by reflecting standardized characteristics(Conner et al.,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