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장애음 지각 및 음운변동현상 산출 실험을 통해 학습 초기 단계에서의 발음 이론 교육이 한국어 발음의 정확성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45782
서울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 2015. 8
2015
한국어
81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Thai learners : defined through obstruent perception and phoneme fluctuation
ix, 217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김중섭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157-1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장애음 지각 및 음운변동현상 산출 실험을 통해 학습 초기 단계에서의 발음 이론 교육이 한국어 발음의 정확성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장애음 지각 및 음운변동현상 산출 실험을 통해 학습 초기 단계에서의 발음 이론 교육이 한국어 발음의 정확성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 음성·음운 체계에 대한 이론 교육이 실시되면 태국 현지에서도 정확한 한국어 발음 습득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발음 이론 교육이 한국에서 거주하면서 발음을 습득하는 것보다 학습자 발음의 정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보이고자 한다. 태국 내 한국어 교육은 1986년 쏭클라나카린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교양과목으로 개설한 이래로 벌써 30년이 되었으나 태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문법, 문장구조 그리고 어휘가 중점적으로 논의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태국 현지 대학에서도 그동안 한국어 발음교육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발음은 외국어 습득의 과정에서 가장 일찍 굳어진다. 어린이의 모국어 습득 과정과 유사하게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도 발음은 학습 초기 단계에 굳어지게 되므로 처음부터 단계를 정하여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발음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태국 현지 대학에서는 대부분 3~4학년 과정에 한국어 음성·음운론이 개설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장애음 지각 및 음운변동현상 산출 실험을 통해 학습자들이 태국 현지에서도 한국어 발음 습득이 가능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음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국어, 거주 경험, 교육 방법으로 보고 피험자도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 집단의 특성은 각각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 경험 요인을 반영한 집단으로 한국 거주 경험이 있으나, 한국어 음성∙음운론 학습 경험이 없는 태국인 대학생(집단 1), 둘째, 교육 방법 요인을 반영한 집단으로 한국 거주 경험은 없으나 태국 현지에서 한국어 음성∙음운론 수업을 들은 태국인 대학생(집단 2), 셋째, 한국 내 거주 경험과 음성·음운론 학습 경험 중에서 어떤 요인이 한국어 발음 지각 및 한국어 발음 산출에 더 효과적인 영향을 끼치는가를 비교할 수 있도록 앞의 두 요인의 영향을 받지 않은 집단으로서, 한국 내 거주 경험이 없으며 한국어 음성∙음운론 학습 경험이 없는 태국인 대학생(집단 3)이다. 다만 학습자의 나이가 발음 습득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나이 차이와 거주 경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도록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음성∙음운론 수업을 들은 학습자들의 발음 지각 및 산출 능력이 한국에서 원어민 교수자로부터 한국어를 공부한 학습자들의 능력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원어민 화자로부터 배우지 않더라도 태국 현지에서 한국어 발음 습득이 가능함을 검증할 수 있었다.
태국인 피험자들의 한국어 학습과 발음 학습 배경을 더 알아보기 위해 2장에서는 태국 내 한국어 발음 교육의 현황을 제시하였다. 태국 내 대학교에 개설된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을 살펴았는데, 전공필수과 선택과목 등의 교과과목이 어떻게 개설되어 있는지, 그리고 한국어 음성∙음운론 과목이 어느 학년에 개설되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태국 내 대학교에서 한국어 전공 학습자에게 직접 한국어 발음을 교육한 원어민 교수자와 태국인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모국어가 태국인 학습자의 발음 지각 및 산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발음지각과 발음산출,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누어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발음 지각의 경우에는, 초급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목표 언어에 대한 지식이 적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모국어의 지식을 가져오는 전략을 사용한다. 특히 한국어와 태국어의 자음 간에 유사성이 있는 부분을 한국어 발음에 그대로 대입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3장에서는 한국어와 태국어의 자음을 대조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실제로 한국어와 태국어의 자음 체계는 조음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크다. 더구나 한국어는 글자와 소리가 다른 음운 변동 현상이 많이 있어서, 글자 중심으로 발음을 학습하는 태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 습득을 매우 어려워하며, 이 부분이 한국어 발음 산출에도 영향을 미친다.
4장은 한국어 발음 지각에 대한 실험(실험 1)과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발음 지각 실험에서의 참여자는 총 85명으로, 집단 1은 14명, 집단 2는 36명, 집단 3은 35명으로 구성되었다. 평음, 격음, 경음의 자음 소리 인식에 주목하여 평음, 격음, 경음의 자음이 6개의 단모음과 결합한 단어 목록을 작성하였다. 피험자에게 선정된 어휘들의 소리를 컴퓨터를 통해 하나씩 들려주었다. 피험자가 듣고 소리를 판단하여 화면에 제시된 보기 2개(예. Z. 기, M. 키) 중에서 맞다고 생각되는 소리를 버튼 Z이나 M을 눌러 선택하게 하였다. 이 실험에서 피험자의 반응시간속도(ms)와 정확성(%)을 얻었다.
각 집단의 한국어 장애음 발음 지각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발음 지각에 있어서 모국어 요인이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음성습득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 방법으로 한국에서의 거주 경험보다 학습 초기 단계에서 음성·음운론 수업을 듣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5장은 한국어 음운변동 발음 산출 실험(실험 2)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실험의 전체 참여자 수 및 각 집단별 구성인원은 실험 1과 동일하다. 한국어 음운변동 규칙에 있어서 발음습득 요인들이 태국인 학습자의 각 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떠한 반응시간속도와 정확도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봤다. 본 연구에서는 단어 유형의 얕은 표기심도와 깊은 표기심도, 초급과 고급 단계에 따른 단어의 난이도, 그리고 음운 변화 규칙 유형에 따른 실험을 진행하였다. 음독 대상 단어를 화면에 제시하면 피험자가 직접 발음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피험자의 음성반응시간속도를 얻었으며, 정확한 발음을 산출하는지에 대해 원어민이 직접 확인하여 정확성을 얻었다.
실험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반응시간속도와 정확도에서 모두 집단 2의 결과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 3의 결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음성·음운론 수업을 통해 제대로 음운 변동 규칙을 배우고 연습한 집단 2는 단어를 읽고 발음하는 반응시간속도와 발음의 정확도가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6장에서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 지각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자음 산출 지각 지도 방안과 음운 변동 산출 지도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자음 산출 지각 지도 방안에서는 조음음성학적인 방법을 활용한 방안과 음향음성학적인 방법을 활용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음운 변동 산출 지도 방안에서는 연음 규칙 교육, 격음화 교육, 비음화 교육, 유음화 교육, 유성음화 교육, 경음화 교육, 그리고 구개음화 교육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현지 거주 경험이 있어야 목표어의 자연스러운 발음 습득이 가능하며 소리를 빠르게 인식하고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다는 선행 연구자들의 주장이 많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장애음 발음 지각 실험과 한국어 음운 변동 발음 산출 실험을 통해 한국 거주 경험이 없어도 학습자의 모국에서 체계적인 음성·음운론 수업으로 효과적인 발음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해 볼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at, with proper study techniques,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studying in Thailand, can overcome the pronunciation obstacles common to Thai learners and achieve a high degree of proficiency in their Korean 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at, with proper study techniques,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studying in Thailand, can overcome the pronunciation obstacles common to Thai learners and achieve a high degree of proficiency in their Korean pronunciation. 3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was established as a separate academic discipline at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in 1986. Until present most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in Thailand has focused on Korean grammar, sentence structure and vocabulary.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Thailand have typically sought to address issues relating to pronunciation difficulties through connections with Korean universities to create programs for willing students to live and study in Korea. This strategy reflects the commonly held belief that
experience in a native country is the best way to resolve issues with pronunciation. In Thailand only 3 universities with Korean language programs have courses that specifically focus on phonology. The result of this lack of attention to pronunciation in Thai University Korean language departments results in Thai Korean learners who have rich vocabularies and are quite proficient in Korean grammar, but lack adequate proficiency in pronunciation. Deficienciesin pronunciation hinder the learner and often
result in situations where a learner is evaluated low in communicative ability by native Korean speakers.
This study measures the degree of pronunciation proficiency in three groups. Group one consists of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have experience living and have not taken courses than emphasize phonology. Group two consists of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study
in Thailand, and have no experience studying or living in Korean, but have taken courses that concentrate on phonology in their first semester of Korean language study. Group three consists of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have no experience studying or living in Korea and have not taken courses than emphasize phonology. The study controls for the factors of age of learners.
If the score results from the Korean obstruent perception
examination and the Korean phoneme fluctuation examination from group 2 are similar or better than the results form group 1 we can conclude that the study emphasizing phonology is of benefit to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Chapter 2 will examine in detail the background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ailand. This section includes a) a description of the study that focuses specifically on Korean pronunciation in Thai universities’ Korean language programs, b) suggestions concerning pronunciation study from Thai and Korean teachers who teach phonology in
Thai universities. Research, referenced in chapter one, has show that the most significant problems relating to pronunciati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ai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relate to Korean obstruent perception and Korean phoneme fluctuation. Based on findings referenced in Chapter 3 we can see that theories explaining differences between Thai and Korean phonology relate to firstly “background of Korean and Thai consonant
sound.” secondly, “background of Korean and Thai vowel sound.” and thirdly the “background of Korean and Thai syllable system.” Chapter 4 explains the design and results of the Korean obstruent perception experiment. A total number 85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Group 1 consisted of 14 learner subjects. Group 2 consisted of 36 learner subjects, and the remaining group 3 consisted of 35 learner subjects. In Experiment 1, Thai Korean learners listened to numbered Korean obstruent sounds and chose the corresponding sound symbol from a
list. The Korean obstruent words consist of [k], [t], [p] and [ʧ] consonant sounds combined with 6 vowel sounds of [a], [ə], [o], [u], [ɨ], [i] resulting in 69 different possible combinations. The exam results rated the speed and accuracy of learner subjects and showed Group2 scored the fastest average response time and highest average accuracy rate of the three groups.
Chapter 5 explains the design and results of the Korean phoneme fluctuation experiment. A total number 85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Group 1 consisted of 14 learner subjects. Group 2 consisted of 36 learner subjects, and there maining group 3 consisted of 35 learner
subjects. Thai learners were shown numbered Korean phoneme fluctuations which they read aloud. The Korean phoneme fluctuation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beginner words and advanced words). Each level consisted of 7
kinds of Korean phoneme fluctuation samples, totaling 140 samples. As with experiment 1, The learners in group 2 scored the highest in both speed and accuracy.
Chapter 6 details the way in which Korean Obstruent perception and Korean phoneme fluctuation can be effectively taught to Thai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Thai a)
consonant sounds, articulating method, and articulating location and b) tonal differences in the Thai language (mid tone and falling tone) and those in the Korean language we can see where differences in the two languages are.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s we can determine specific phonetic features that exist in the Korean language but are absent in the Thai language. In these cases, as the natural reference to the mother tongue is a hindrance, Thai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will typically have great
difficulty. I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mesuccessful greater care must be taken in ensuring the proper acquisition of these particular phonetic features. Results from experiments 1 and 2 (measuring learners’ ability to
overcome challenges relating to Korean obstruent perception and Korean phoneme fluctuation) show that focused study on Korean phonology is of great value to Thai learners of Korean. The results show that, in regards to pronunciation proficiency, the focused study of phonology in the first semester of Korean study can be of greater benefit to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than living experience in Korea. As predicted the study shows the benefit of correct study method.
목차 (Table of Contents)
1 Carroll, David W, "언어심리학", 박학사, 학지사, 2009
2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파주 : 태학사, 2011
3 백두현,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태학사, 2013
4 송해성, 임병빈, 이은표, "제2언어 습득론", 세진무역, 2008
5 조현용, "한국어 교육의 실제", 유씨엘아이엔씨, 2005
6 김중섭, "한국어 교육의 이해", 夏雨, 도서출판 하우, 2010
7 정환승, "현대 한국어 문법론", 삼지사, 2007
8 Ellis, Rod, "제2언어 습득의 이해", 경문사, 경문사, 2014
9 황종배, "제 2언어 습득론 개관", 경진문화사, 2004
10 김숙현, 최윤희, 정현숙, 박시순, 김혜숙, "문화 간 커무니케이션", 커무니케이션 북스, 2007
1 Carroll, David W, "언어심리학", 박학사, 학지사, 2009
2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파주 : 태학사, 2011
3 백두현,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태학사, 2013
4 송해성, 임병빈, 이은표, "제2언어 습득론", 세진무역, 2008
5 조현용, "한국어 교육의 실제", 유씨엘아이엔씨, 2005
6 김중섭, "한국어 교육의 이해", 夏雨, 도서출판 하우, 2010
7 정환승, "현대 한국어 문법론", 삼지사, 2007
8 Ellis, Rod, "제2언어 습득의 이해", 경문사, 경문사, 2014
9 황종배, "제 2언어 습득론 개관", 경진문화사, 2004
10 김숙현, 최윤희, 정현숙, 박시순, 김혜숙, "문화 간 커무니케이션", 커무니케이션 북스, 2007
11 조현용,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박이정, 박이정, 2000
12 김희숙, 무은주, "외국어습득원리의 이해", 한국문화사, 2011
13 박숙희, "「한국어 발음 교육론」", 역락, 역락, 2013
14 이광오, "한글글자의 지각과 발음",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329~334쪽, 1990
15 양순임, "학교 문법의 이해 말소리", 월인, 2013
16 임지룡, "「학교문법과 문법교육」", 박이정, 63~69쪽, 2005
17 김중섭,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듣기", 하우, 도서출판 하우, 2010
18 Sakoda, Kumiko, "제2언어 습득과 일본어교육", 제이앤씨, 제이앤씨, 2010
19 이정희,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박이정, 2005
20 최상진, "請誘와 視點, 경희대 국문과", 경희어문학, 제 17 집, 1998
21 김태경, "국어의 음운 체계 습득 과정",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9
22 김선정, 허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박이정, 2011
23 Forster, K. I., Taft, M., "Lexical storge and retriveval of prefixed word",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5, 607~620 쪽, 1975
24 정환승, "태국인의 한국어 발음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東南亞硏究, 제21권, 제1호, 37~59쪽, 2011
25 김중섭, "한국어능력시험 초급어휘 목록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6 김재연, 남기춘, 서창원, "한글 단어재인에서의 형태점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 학회 지: 실험 및 인지, vol 13, No. 1, 21~40쪽, 2001
27 박권생, "한글 단어 재인에 관여하는 정신 과정",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Vol 5, 40~55쪽, 1993
28 김은영,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4
29 이철재,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 현상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0 박이도, "세계화 시대의 모국어습득과 외국어학습", 한국문화사, 2000
31 정환승, "태국어와 한국어의 시간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태국학회논총, 제6권, 53~66쪽, 1996
32 최문석, "입출력 강화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3 김영선, "헌국어 교육 발음 교재의 구성 방식과 내용", 우리말연구 제18호 우리말학회, 237~260쪽, 2005
34 조현용, "가치 중심 한국어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 19-1", 국제한국어교육 학회, 1~19쪽, 2008
35 김길동,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6 서정목, "(영어와 독일어의)역사비교언어학과 대조언어학",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9
37 신정아, "태국 대학 내 한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부산외국어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8 Hillenbrand, J., Flege, J., "Limits on Phonetics Accuracy in Foreign Languag speech Production", Jou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76(3), 706~719쪽, 1984
39 미첼, 로저먼드, "제2언어 학습론 우리는 외국어를 어떻게 배우는가", 에피스테메, 에피스 테마, 2013
40 김정숙, "한국어 교수법의 일반 월리,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한국문화사, 2008
41 김정숙,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이중언어학 47", 이중언어 학회, 333~352쪽, 2011
42 권성미, "한국어 발음 습득 연구 모음 중심의 실험을성학적 연구", 박이정, 2009
43 윤정기, "효율적인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분석, 어문연구", 제69호 어문연구학회, 37~59쪽, 2011
44 왕단, "중국어의 한국어 고급 읽기 교재 분석 연구, 국어교육 137", 한국어 교육학회, 417~449쪽, 2012
45 Coltheart, M., Ziegler, J., Rastler, K., Perry, C., Langdon, R., "DRCL A dual route cascaded model of visual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aloud", Psychological Review, vol. 108, 204~256쪽., 2001
46 Coltheart, M., Rastle, K., "Serial Processing in Reading Aloud: Evidence for Dual-Route Models of Reading", 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0, 1197~1211쪽, 1994
47 고아두, "한국 영어조기 교육정책 형성과정 연구 역사제도주의적 접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8 최상진, "文章意味 構成要素의 意味關係에 대하여, 韓國語文敎育硏究會", 語文硏究, 제103호, 1999
49 최재수, "한자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심성어휘집 및 단어 재인 경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0 이광오, "한글 글자열의 음독과 음운규칙,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제8권 제1호, 1~23쪽, 1996
51 Frost, R., "Torword a strong phonological theory of visual word recognition: True issues and trials", Psychological Bullatin, 123(1), 71~99쪽, 1987
52 이광오, "한국어 음절의 표기빈도와 형대소빈도가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제20권, 제3호, 309~333쪽, 2009
53 이정희, 김지영, "내용 중심 한국어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1~232쪽, 2010
54 Frost, R., Katz, L., Bentin, S., "Strategies for visual word recognition and orthographical depth: A multilingual comparis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rychology: Human perception & Performance, 13, 104~115쪽, 1987
55 Bohn, O., Jang, S., Flege, J., "Effects of experience on non-native speakers’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cademic Press, Journal of Phonetics 25, 437~470쪽, 1997
56 김연이, "한국어 치조 마찰음 발음 교육 연구 –중국인 초급 학스자를 대상으 로-", 경희대하교 대악원 석사학위논문, 2011
57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9~143쪽, 2003
58 이광오, 배성봉 ( Sung Bong Bae ), 정진갑 ( Jin Gab Jung ), "표기 체계와 시각적 단어 인지: 한자어의 인지에서 형태소의 표상과 처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실험, 제19권, 제4호, 313~327쪽, 2007
59 이정희, "인식 조사를 통한 한국어 구어 유창성의 개념 및 요인 연구, 한국어교육 21-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3~204쪽, 2010
60 이광오, "한글 단어인지과정에서 표기법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검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26-39쪽, 1993
61 Snow, C., "M. Hoefnagel-H hle, ‘School-age second language learners’, access to simplified lingquistic input", Language Learning 32: 411~430쪽, 1978
62 조은주,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산출 연구, 이화여자 대하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3 아몬랏, "카타위, 태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두 장애음의 발음 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4 송영숙, "태국 대학생의 한국어 학습실태분석을 통한 한국어 지도방안, 한남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5 이앗누이, "깐짜나,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정도부사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6 변웅걸, "파닉스 체계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연구 –영어권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67 Krashen, S., "The Monitor Model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R. C. Gingras (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1~26쪽), Arlinton", Va: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1978
68 최정일, "한국어 외래어 표기 오류 분석 및 활용 방안 –한국어 태국어 외래어 표기법을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69 노미연, "태국의 한국어 교육 현황, 한국어문학연구 제53집, 97~121쪽. Larprungrueng, Soontaree(2007), 한국 신문 헤드라인에 나타난 은유 표현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박사학위논문, 2009
70 Singleton, D., "A critical look at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In Singleton, D. and Lengyel, Z. (eds), the age facto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1~29쪽, 1995
71 김지형, "제2분과 : 개인발표 2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청각 인지 반응 –자음의 자음의 발음에 대한 한국인 화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2013, 138~148쪽,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