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에 대한 들뢰즈 사유의 이론적 재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840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영화와 관련된 개념과 이론에 대한 들뢰즈의 사유를 바탕으로 히치콕 영화를 이론적으로 재고찰했다. 이를 통해 영화가 사회과학과 예술학의 학문적 분파로서는 물론 철학으로서의 학문적 의의도 가질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들뢰즈는 히치콕이 지각, 행동, 감화-이미지를 틀 지우고 변형시킬 수 있는 정신-이미지를 영화에 활용함으로써 인물과 인물, 인물과 사건, 사건과 사건 사이의 추상적이고 자연적인 관계를 포함해 그 관계가 전개되는 방식도 이미지로 대상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들뢰즈는 히치콕 영화를 통해 정신-이미지가 영화의 의미를 전환시키고, 영화적 본질 또는 정신적 관계항으로서의 카메라가 이미지를 특정 형식으로 틀 지우는 동시에 그 이미지에 침투해 변형시킨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고는 들뢰즈의 영화에 대한 사유를 영화이론에 일반화하는데 적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논의의 한계로 제한하고 있지만, 영화와 철학의 관계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성찰의 계기로서 새로운 연구문제를 탐색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영화와 관련된 개념과 이론에 대한 들뢰즈의 사유를 바탕으로 히치콕 영화를 이론적으로 재고찰했다. 이를 통해 영화가 사회과학과 예술학의 학문적 분파로서는 물론 철학으로서의 ...

      본고는 영화와 관련된 개념과 이론에 대한 들뢰즈의 사유를 바탕으로 히치콕 영화를 이론적으로 재고찰했다. 이를 통해 영화가 사회과학과 예술학의 학문적 분파로서는 물론 철학으로서의 학문적 의의도 가질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들뢰즈는 히치콕이 지각, 행동, 감화-이미지를 틀 지우고 변형시킬 수 있는 정신-이미지를 영화에 활용함으로써 인물과 인물, 인물과 사건, 사건과 사건 사이의 추상적이고 자연적인 관계를 포함해 그 관계가 전개되는 방식도 이미지로 대상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들뢰즈는 히치콕 영화를 통해 정신-이미지가 영화의 의미를 전환시키고, 영화적 본질 또는 정신적 관계항으로서의 카메라가 이미지를 특정 형식으로 틀 지우는 동시에 그 이미지에 침투해 변형시킨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고는 들뢰즈의 영화에 대한 사유를 영화이론에 일반화하는데 적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논의의 한계로 제한하고 있지만, 영화와 철학의 관계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성찰의 계기로서 새로운 연구문제를 탐색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has conducted a theoretical re-inquiry on Gilles Deleuze’ thought about Alfred Hitchcock’ film based on the image of thought in relation with the concept and theory about film.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at film can acquire the academic significance as a philosophy including an academic denomination of social science and Arts. According to the findings, Gilles Deleuze appeared that A. Hitchcock used the mental-image which can transform the perception-image, the action-image, and the affection-image in film and make the relation including the way which it is developed between character and event. Also, as the mental-image can change the meaning of film, camera is the essence and mental referent. And the mental-image makes the other images a specific frame, permeates into image and transforms it. This paper sets limits to some problems that Deleuze’s thought about film generalizes to filmic theory, but has a importance to inquiry new research as a theoretical introspection for the practical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film and philosophy.
      번역하기

      This paper has conducted a theoretical re-inquiry on Gilles Deleuze’ thought about Alfred Hitchcock’ film based on the image of thought in relation with the concept and theory about film.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at film can...

      This paper has conducted a theoretical re-inquiry on Gilles Deleuze’ thought about Alfred Hitchcock’ film based on the image of thought in relation with the concept and theory about film.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at film can acquire the academic significance as a philosophy including an academic denomination of social science and Arts. According to the findings, Gilles Deleuze appeared that A. Hitchcock used the mental-image which can transform the perception-image, the action-image, and the affection-image in film and make the relation including the way which it is developed between character and event. Also, as the mental-image can change the meaning of film, camera is the essence and mental referent. And the mental-image makes the other images a specific frame, permeates into image and transforms it. This paper sets limits to some problems that Deleuze’s thought about film generalizes to filmic theory, but has a importance to inquiry new research as a theoretical introspection for the practical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film and philosoph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들뢰즈의 관점에서 본 히치콕 영화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들뢰즈의 관점에서 본 히치콕 영화
      • Ⅳ.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 Colebrook, 태학사 25-52, 2004

      2 Suzanne H, "철학과 영화-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여행" 열화당 31-, 2004

      3 박성수, "영화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9-10, 1996

      4 L. Giannetti, "영화의 이해" 현암사 61-, 1987

      5 D. Bordwell, "영화예술" 이론과 실천 99-, 1993

      6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121-, 1999

      7 P. P. Pasolini,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13-16, 1999

      8 S. Sharff, "영화 구조의 미학" 영화언어 18-19, 1991

      9 G. Deleuze, "시네마Ⅰ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139-148, 2002

      10 G. Deleuze, "들뢰즈와 영화" 문화과학사 122-126, 1998

      1 C. Colebrook, 태학사 25-52, 2004

      2 Suzanne H, "철학과 영화-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여행" 열화당 31-, 2004

      3 박성수, "영화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9-10, 1996

      4 L. Giannetti, "영화의 이해" 현암사 61-, 1987

      5 D. Bordwell, "영화예술" 이론과 실천 99-, 1993

      6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121-, 1999

      7 P. P. Pasolini,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13-16, 1999

      8 S. Sharff, "영화 구조의 미학" 영화언어 18-19, 1991

      9 G. Deleuze, "시네마Ⅰ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139-148, 2002

      10 G. Deleuze, "들뢰즈와 영화" 문화과학사 122-126, 1998

      11 G. Deleuze, "대담" 솔 75-, 1994

      12 장일, "기억의 이미지, 역사의 이미지:허우 샤오시엔, 들뢰즈, 시간-이미지" 성곡언론문화재단 13 (13): 71-94, 2005

      13 G. Deleuze, "What is Philosiphy" Columbia University Press

      14 G. Deleuze, "Cinema 2: The Time -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26-29, 1989

      15 G. Deleuze,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278-281,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