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바리공주>의 서사에 나타난 신격 부여의 조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국의 무속신화인 <바리공주>는 가장 완결된 형태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세계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95949
서울 : 성공회대학교, 2012
학위논문(석사) --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 미디어·문화연구 전공 , 2012년 2월
2012
한국어
302.23 판사항(21)
서울
iii, 76p.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바리공주>의 서사에 나타난 신격 부여의 조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국의 무속신화인 <바리공주>는 가장 완결된 형태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세계 영...
본 논문은 <바리공주>의 서사에 나타난 신격 부여의 조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국의 무속신화인 <바리공주>는 가장 완결된 형태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세계 영웅 신화가 갖추고 있는 전형적인 신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영웅 신화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하계로부터 무언가를 획득하여 귀환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웅이 하계에서 획득하려는 대상이 ‘재생’의 상징물이며, 그것을 현실세계에 무사히 이전시키는가가 신격을 부여하는 기호가 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신의 자격을 획득하려면 영웅은 하계를 방문하여 죽은 자를 재생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영웅은 스스로 하계에 갇혀 버리거나 죽은 자를 삶으로 귀환시키는 데 실패할 수도 있다. 반면 죽은 자를 재생시켜 현실로 귀환할 수도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신격을 획득하는 데 부족하며, 반드시 재생의 상징물인 ‘생명수’나 ‘꽃’을 가져와야 한다. 바리공주가 신격을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 때문이며, 재생의 상징물을 가져오는 것은 영웅 신화의 주인공이 신격을 부여받는 공통화소 중 하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