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acques Defourny, "확장된 유럽에서의 사회적 기업 : 개념과 현실" 4 (4): 4-21, 2006
2 이해진, "한국의 사회적경제-제도화의 정치과정과 지역화 전략" 지역사회학회 16 (16): 135-180, 2015
3 신명호, "한국의 ‘사회적 경제’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5) : 11-46, 2009
4 채종헌,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95-225, 2012
5 김진욱, "일-가족 시간배분에 따른 가구유형과 변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1-54, 2012
6 장석인, "선진국의 사회적기업 국제비교: 유럽 3개국 (프랑스ㆍ독일ㆍ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3 (3): 79-95, 2012
7 신경희, "서울형 마을기업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2
8 이은애, "서울시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의 평가 및 개선 과제" 서울경제 14-23, 2012
9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서울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조성사업 성과보고서" 2015
10 이은애,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의 평가와 과제" 한국자치발전연구원 44-51, 2014
1 Jacques Defourny, "확장된 유럽에서의 사회적 기업 : 개념과 현실" 4 (4): 4-21, 2006
2 이해진, "한국의 사회적경제-제도화의 정치과정과 지역화 전략" 지역사회학회 16 (16): 135-180, 2015
3 신명호, "한국의 ‘사회적 경제’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5) : 11-46, 2009
4 채종헌,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95-225, 2012
5 김진욱, "일-가족 시간배분에 따른 가구유형과 변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1-54, 2012
6 장석인, "선진국의 사회적기업 국제비교: 유럽 3개국 (프랑스ㆍ독일ㆍ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3 (3): 79-95, 2012
7 신경희, "서울형 마을기업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2
8 이은애, "서울시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의 평가 및 개선 과제" 서울경제 14-23, 2012
9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서울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조성사업 성과보고서" 2015
10 이은애,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의 평가와 과제" 한국자치발전연구원 44-51, 2014
11 신경희, "서울시 사회적경제 사업체 연계발전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12 엄형식, "사회적기업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사회적 기업의 개념, 현황,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215-217, 2006
13 김영철, "사회적경제와 지역의 내발적 발전" 19 : 25-49, 2011
14 이상면, "사회적경제와 지역개발" 47 (47): 87-119, 2015
15 채종헌,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4
16 최조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사업의 진화론적 접근"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305-322, 2015
17 허준영, "사회적경제 공동체 지원체계 진단" 안전행정부 2013
18 김연정, "사회적 기업의 현황 및 정책분석: 한국, 일본, 유럽 및 미국의 노인고용창출을 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 15 (15): 189-210, 2012
19 정진철, "사회적 경제 현황과 발전적 개선 방안에 관한 소고" 한국비영리학회 13 (13): 3-18, 2014
20 이동석, "사회서비스 현금지급제도의 이용자 선택권 비교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8) : 49-74, 2015
21 이동석, "사회서비스 현금지급제도의 유형에 관한 국가비교 연구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성공회 대학교 2015
22 최영준, "사회과학에서 퍼지셋 활용의 모색: 퍼지 이상형 분석과 결합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5 (15): 307-336, 2009
23 김교성, "복지국가의 변화과정과 전략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129-164, 2011
24 김종일, "대륙복지국가의 활성화정책 추이에 관한 퍼지 집합 이념형 분석, 2000-2007"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253-284, 2010
25 장인봉, "공동생산자(Co-producer)로서 지방정부와 사회적 기업의 파트너십(Partnership) 형성과 전망"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299-320, 2008
26 강병준,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요인 분석 이해관계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4 (24): 5-46, 2014
27 칼 폴라니, "거대한 전환" 도서출판 길 2014
28 José Monzόn, "The Social Economy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2012
29 Christian Jetté, "Social Economy and Home Care Services in Quebec :Co-Production or Co-Construction?" 22 (22): 48-69, 2011
30 Charles Ragin, "Redesigning Social Inquiry : Fuzzy Sets and Beyon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31 Victor Pestoff, "Patterns of co-production in public services" 8 (8): 591-595, 2006
32 Charles Ragin, "Fuzzy-set Social Sc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33 Jon Kvist, "Fuzzy set ideal type analysis" 60 (60): 474-481, 2007
34 W. H. Voorberg, "A systematic review of co-creation and co-production" 17 (17): 1333-1357, 2015
35 행정자치부, "2015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
36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1-2015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 – 5년 성과 및 향후 과제"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