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1328, after the death of the Emperor Taiding, El‑Temür and Bayan ascended the descendants of Emperor Wuzong to the throne and seized power through the civil war between two capitals. However, El‑Temür took more power and honor by feeding Kos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2394
최윤정 (경북대학교)
2023
Korean
대원제국 ; 고려왕권 ; 양도내전 ; 엘테무르 ; 명종 ; 문종 ; 바얀 ; 충혜왕 ; 왕고 ; 이제현 ; 안축 ; 乞比色目表 ; 請同色目表 ; Yuan Empire ; Goryeo Kingship ; The Civil War between Two Capitals ; El Temür ; Mingzong ; Wenzong ; Bayan ; King Chunghye ; Wang Go ; Treat Goryeo as Semuren ; Lee Je-hyun ; Ahn chuk
KCI등재
학술저널
41-92(5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328, after the death of the Emperor Taiding, El‑Temür and Bayan ascended the descendants of Emperor Wuzong to the throne and seized power through the civil war between two capitals. However, El‑Temür took more power and honor by feeding Kosi...
In 1328, after the death of the Emperor Taiding, El‑Temür and Bayan ascended the descendants of Emperor Wuzong to the throne and seized power through the civil war between two capitals. However, El‑Temür took more power and honor by feeding Kosila(Emperor Mingzong) with poisoned alcohol and establishing Toq‑Temür(Emperor Wenzong). As a result, Bayan became envious and loathed El‑Temur's power.
El Temür's power gave the Goryeo crown prince(King Chunghye), who was in the capital at the time, the throne and the status of a Son-in-Law [of the Emperor]. El‑Temür treated the King Chunghye like his own son. However, after El‑Temur's death, Bayan suppressed the El‑Temür family's attempt to depose the Emperor Togon‑Temür' and seized new power. Bayan took issue with King Chunghye's immorality and lust. In particular, Bayan exacerbated the political attack on King Chunghye by saying that Wang Go(王暠) was worthy of becoming King of Goryeo. After King Chungsuk's death, Bayan deliberately hindered King Chunghye's succession to the throne.
In november 1339, King Chunghye was taken to the Yuan capital for questioning after the rape of Princess Gyeonghwa and suppression of the uprising of Chojok. The purpose of two writings(請表) by Lee Je-hyun and Ahn chuk ‘Treat Goryeo as Semuren(色目人)’ was to relieve King Chunghye from being sentenced to Tattoo(刺字), and would have been written in late January and early February 1340. In short, the two writings show the political status and status of the Goryeo royal authority in Bayan's Ag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준, "한국중세정치제도사연구" 一潮閣 1985
2 권용철, "원대 중후기 정치사 연구" 온샘 2019
3 윤은숙, "아유시리다라의 冊寶禮를 둘러싼 大元帝國 말기의 권력쟁탈" 역사연구소 (98) : 67-98, 2019
4 김경래, "심양왕에 대한 일고찰" 6 : 1988
5 "려원왕실통혼의 성립과 특징—원공주출신왕비의 가계를 중심으로" 24・25 : 1989
6 고병익, "동아교섭사의 연구" 서울대출판부 1970
7 이명미, "고려・원 왕실통혼의 정치적 의미" 49 : 2003
8 이명미,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 - 「乞比色目表」와 「請同色目表」 -" 한국역사교육학회 (37) : 51-99, 2020
9 이정신, "고려 충혜왕의 행적과 정치적 입장"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3) : 199-228, 2010
10 김광철, "고려 충혜왕의 왕위계승" 28 : 1995
1 김성준, "한국중세정치제도사연구" 一潮閣 1985
2 권용철, "원대 중후기 정치사 연구" 온샘 2019
3 윤은숙, "아유시리다라의 冊寶禮를 둘러싼 大元帝國 말기의 권력쟁탈" 역사연구소 (98) : 67-98, 2019
4 김경래, "심양왕에 대한 일고찰" 6 : 1988
5 "려원왕실통혼의 성립과 특징—원공주출신왕비의 가계를 중심으로" 24・25 : 1989
6 고병익, "동아교섭사의 연구" 서울대출판부 1970
7 이명미, "고려・원 왕실통혼의 정치적 의미" 49 : 2003
8 이명미,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 - 「乞比色目表」와 「請同色目表」 -" 한국역사교육학회 (37) : 51-99, 2020
9 이정신, "고려 충혜왕의 행적과 정치적 입장"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3) : 199-228, 2010
10 김광철, "고려 충혜왕의 왕위계승" 28 : 1995
11 이강한, "고려 충혜왕대 무역정책의 내용 및 의미" 한국중세사학회 (27) : 45-93, 2009
12 이승한, "고려 충선왕의 심양왕 피봉과 재원 정치활동" 2 : 1988
13 森平雅彦, "高麗王家とモンゴル皇族の通婚關係に關する覺書" 67 (67): 2008
14 北村秀人, "高麗時代の瀋王についての一考察" 24 (24): 1973
15 張東翼, "高麗後期外交史硏究" 一潮閣 1994
16 김혜원, "高麗後期 瀋王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7 "高麗墓誌銘集成" 587-591,
18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출판부 1993
19 노명호, "高麗史節要" 집문당 2016
20 "高麗史"
21 金塘澤, "高麗 忠惠王과 元의 갈등" 142 : 1994
22 김호동, "高麗 後期 ‘色目人論’의 背景과 意義" 역사학회 (200) : 277-303, 2008
23 森平雅彦, "駙馬高麗國王の成立-元朝における高麗王の地位についての豫備的考察" 17 (17): 1998
24 吳艳红, "關於元代出軍的兩個問題" (3) : 1999
25 "謹齋先生文集"
26 曾代僞, "蒙元流刑考辨" (5) : 2004
27 陳高華, "祝賀贺楊玖敎授八十壽辰中國史論集" 天津古籍出版社 1994
28 "益齋亂藁"
29 王 頲, "燕鐵木兒的軍事政變與明文禪替" 3 : 2002
30 陳高華, "滋溪文稿" 中華書局 1997
31 "東維子文集"
32 이명미, "忠肅王代 國王位 관련 논의와 국왕 위상" 한국중세사학회 (36) : 271-304, 2013
33 최윤정, "征東行省과 國王丞相 - 쿠빌라이의 전쟁과 고려왕권 -" 역사학회 (254) : 121-170, 2022
34 任崇岳, "庚申外史箋証" 중주고적출판사 1991
35 "宋文憲公集" 人民文學出版社 2014
36 권용철, "大元제국 시기 至順 원년(1330)의 정변 謀議와 그 정치적 영향" 중앙아시아학회 23 (23): 101-125, 2018
37 윤은숙, "大元帝國 말기 奇皇后의 內禪시도" 한국몽골학회 (47) : 1-26, 2016
38 권용철, "大元帝國 末期 政局과 고려 충혜왕의 즉위, 복위, 폐위" 고려사학회 (56) : 65-107, 2014
39 喜 蕾, "北元昭宗愛猷識里達臘生年考辦" (4) : 2000
40 丸龜金作, "元・高麗關係の一齣—瀋王に就いて" 18 : 1934
41 烏云高娃, "元朝與高麗關係硏究" 蘭州大學出版社 2012
42 馮修青, "元朝的流放刑" (4) :
43 鈕希强, "元朝兩都之戰硏究" 西北師範大學 2010
44 傅光森, "元朝中葉中央權力結構與政治生態" 國立中興大學歷史學系 2008
45 "元史"
46 陳高華, "元典章" 天津古籍出版社, 中華書局 2011
47 張金銑, "元兩都之戰及其社會影響" (5) : 2006
48 張沛之, "元代色目人家族及其文化傾向硏究" 天津古籍出版社 2009
49 馬 娟, "元代欽察人燕鐵木兒事迹考論" 10 : 2005
50 張沛之, "元代土土哈家族探硏" 8 : 2002
51 馬 娟, "元代回回人倒剌沙事迹考論" (4) : 2002
52 蕭啓慶, "元代史新探" 新文豊出版公司 1983
53 武 波, "元代刑法体系中的出軍制度探析" (2) : 2006
54 최윤정, "元代 兩都內戰(1328)과 동북지역 —요양행성과 동도제왕 세력의 향배 및 세력 浮沈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46) : 119-149, 2014
55 진현경, "元代 중·후기 대칸위 정쟁과 낭기야다이 - 四川 일대의 향배를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150 : 143-177, 2023
56 岡田英弘, "元の瀋王と遼陽行省" 14 : 1959
57 여치호, "元 仁宗 시기 토가치(脱火赤)의 반란과 킵착인 중쿠르(牀兀兒)의 정치 활동" 동양사학회 (156) : 59-102, 2021
58 최윤정, "14세기 초(1307∼1323) 元 政局과 고려 - 1320년 충선왕 토번유배 원인 재론" 역사학회 (226) : 287-320, 2015
59 이익주, "14세기 전반 고려・원 관계와 정치세력 동향—충숙왕대의 심왕옹립운동을 중심으로" 9 : 2000
60 최윤정, "13~14세기 몽골과 고려의 부마들 ― 통혼의 정치적 의미와 고려왕권의 성격 재론 ―" 중앙아시아학회 24 (24): 83-118, 2019
61 최윤정, "1356년 공민왕의 ‘反元改革’ 재론" 대구사학회 130 : 243-280, 2018
조선시대 衆子奉祀를 둘러싼 인식의 변화― 18세기 후반 정탁 후손의 봉사권 분쟁 자료를 중심으로 ―
중국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민족담론 분석― 뤼전위(呂振羽)의 민족사 연구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