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 경험, 주관적 안녕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역량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한 집단괴롭힘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24986
2024
-
300
KCI등재
학술저널
89-10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 경험, 주관적 안녕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역량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한 집단괴롭힘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이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 경험, 주관적 안녕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역량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한 집단괴롭힘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의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결측치를 제외한 2,27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 경험은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지지, 사회적 역량과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사회적지지, 사회적 역량, 주관적 안녕감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역량은 유의미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집단괴롭힘 경험은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역량을 통해 주관적인 안녕감에 보호효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ultimultural youth, especially those who have experienced bullying. The data from the first year of the second multicultural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ultimultural youth, especially those who have experienced bullying. The data from the first year of the second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programme, with 2,271 participants, are utili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erience of bullying among multicultural youth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whereas social support, soci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showed positive correlation. Moreover,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us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bullying negatively impact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serve as mediating factors that can enhance it.
초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각된 동질성과 사회적 존재감이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확장형 온라인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시나리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장애 노인의 주거 특성과 차별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