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012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5.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Design Elements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Influencer

      • 형태사항

        vii, 81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허정윤
        참고문헌 : p. 72-76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3D technology,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and the genera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brought about positive conceptual changes to people's virtual reality.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of perception to people's virtual reality.
      Accordingly, the practical effect of the famous virtual influencer is being proven. In addition, companies are trending to obtain the effect of renewing their brand image by using 'virtual influencers' as model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design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an effective virtual influencer considering the 'Audience' and the advertis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nt creator designing the virtual influencer.
      In this study, through a case study of 'virtual influencers', the status of content creators, advertisers, and audiences who are stakeholders in 'virtual influencers' are analyzed, and through the arrangement of prior research on 'virtual influencers', The characteristics of a virtual influencer were derived and defined.
      For research methods, indepth interview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questionnaire a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ere used in parallel. So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Case study 1 attempted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recognize the persona of virtual influencer recognized by the audience. In case study 2, when producing virtual influencer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creators, a design strategy considering recipients and advertisers was derived. Finally, through the insights derived from the case studies, design elements for virtual influencer production were defined and virtual influencer content design wa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non-verbal factors of the virtual influencer perceived by the audience, fashion was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 recognizing the persona of the virtual influencer. Second, a stakeholder framework considering target audiences and advertisers was proposed to content creators. In addition, based on insights derived from case studies, design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identity in virtual influencer have been proposed.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is the study of design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virtual influenc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creators. A number of new virtual influencers are being built due to the positive examples of famous virtual influencers, but research on the effective production of virtual influencers has been insufficient. At this point, this study expects content creators to be able to collaborate with target audiences when creating virtual influencer and advertisers who want to use virtual influencer as a model, so that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virtual influencer design production.
      번역하기

      The development of 3D technology,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and the genera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brought about positive conceptual changes to people's virtual reality.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of perception to people's v...

      The development of 3D technology,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and the genera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brought about positive conceptual changes to people's virtual reality.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of perception to people's virtual reality.
      Accordingly, the practical effect of the famous virtual influencer is being proven. In addition, companies are trending to obtain the effect of renewing their brand image by using 'virtual influencers' as model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design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an effective virtual influencer considering the 'Audience' and the advertis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nt creator designing the virtual influencer.
      In this study, through a case study of 'virtual influencers', the status of content creators, advertisers, and audiences who are stakeholders in 'virtual influencers' are analyzed, and through the arrangement of prior research on 'virtual influencers', The characteristics of a virtual influencer were derived and defined.
      For research methods, indepth interview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questionnaire a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ere used in parallel. So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Case study 1 attempted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recognize the persona of virtual influencer recognized by the audience. In case study 2, when producing virtual influencer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creators, a design strategy considering recipients and advertisers was derived. Finally, through the insights derived from the case studies, design elements for virtual influencer production were defined and virtual influencer content design wa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non-verbal factors of the virtual influencer perceived by the audience, fashion was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 recognizing the persona of the virtual influencer. Second, a stakeholder framework considering target audiences and advertisers was proposed to content creators. In addition, based on insights derived from case studies, design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identity in virtual influencer have been proposed.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is the study of design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virtual influenc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creators. A number of new virtual influencers are being built due to the positive examples of famous virtual influencers, but research on the effective production of virtual influencers has been insufficient. At this point, this study expects content creators to be able to collaborate with target audiences when creating virtual influencer and advertisers who want to use virtual influencer as a model, so that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virtual influencer design prod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3D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소셜 네트워크를 서비스의 보편화는 사람들의 가상(Virtual)에 대한 긍정적인 관념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유명 가상 인플루언서의 실질적인 효과가 입증되고 있는 현황이며, 기업은 가상 인플루언서를 모델로 활용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쇄신하는 효과를 얻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를 디자인하는 콘텐츠 제작자 관점에서 수용자와 광고주를 고려한 효용성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인플루언서 사례 조사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 이해관계자인 콘텐츠 제작자, 광고주, 수용자의 현황을 분석하고, 가상 인플루언서 선행 연구 정리를 통해 수용자가 인지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을 도출하고 정의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질적연구 방법론인 인뎁스 인터뷰와 정량적 방법론인 설문법을 병행 활용하여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시사점을 실용적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사례연구 1에서는 수용자들이 인식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를 인식하는 주요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사례연구 2에서는 콘텐츠 제작자 관점에서 가상 인플루언서를 제작할 때, 수용자와 광고주를 고려한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연구에서 도출한 인사이트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를 정의하고 가상 인플루언서 콘텐츠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용자들이 인지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비언어적 요소 중 패션은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를 인식하는 주요 요소로 확인하였다. 둘째, 콘텐츠 제작자에게 타깃 수용자와 광고주를 고려한 이해관계자 프레임워크 제안하였다. 또한 사례연구에서 도출한 인사이트 기반으로 가상 인플루언서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디자인 요소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논제는 콘텐츠 제작자의 관점에서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이며, 이는 유명 가상 인플루언서의 긍정적인 사례로 인해 다수의 신규 가상 인플루언서가 제작되고 있으나, 가상 인플루언서의 효용성 있는 제작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였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본 연구는 콘텐츠 제작자가 가상 인플루언서를 제작할 때에 타깃 수용자 그리고 가상 인플루언서를 모델로 활용하고자 하는 광고주와의 협업이 가능한 효용성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 디자인 제작에 기초적인 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3D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소셜 네트워크를 서비스의 보편화는 사람들의 가상(Virtual)에 대한 긍정적인 관념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유명 가상 인플루언서의 실질적인 ...

      3D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소셜 네트워크를 서비스의 보편화는 사람들의 가상(Virtual)에 대한 긍정적인 관념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유명 가상 인플루언서의 실질적인 효과가 입증되고 있는 현황이며, 기업은 가상 인플루언서를 모델로 활용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쇄신하는 효과를 얻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를 디자인하는 콘텐츠 제작자 관점에서 수용자와 광고주를 고려한 효용성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인플루언서 사례 조사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 이해관계자인 콘텐츠 제작자, 광고주, 수용자의 현황을 분석하고, 가상 인플루언서 선행 연구 정리를 통해 수용자가 인지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을 도출하고 정의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질적연구 방법론인 인뎁스 인터뷰와 정량적 방법론인 설문법을 병행 활용하여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시사점을 실용적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사례연구 1에서는 수용자들이 인식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를 인식하는 주요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사례연구 2에서는 콘텐츠 제작자 관점에서 가상 인플루언서를 제작할 때, 수용자와 광고주를 고려한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연구에서 도출한 인사이트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를 정의하고 가상 인플루언서 콘텐츠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용자들이 인지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비언어적 요소 중 패션은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를 인식하는 주요 요소로 확인하였다. 둘째, 콘텐츠 제작자에게 타깃 수용자와 광고주를 고려한 이해관계자 프레임워크 제안하였다. 또한 사례연구에서 도출한 인사이트 기반으로 가상 인플루언서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디자인 요소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논제는 콘텐츠 제작자의 관점에서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이며, 이는 유명 가상 인플루언서의 긍정적인 사례로 인해 다수의 신규 가상 인플루언서가 제작되고 있으나, 가상 인플루언서의 효용성 있는 제작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였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본 연구는 콘텐츠 제작자가 가상 인플루언서를 제작할 때에 타깃 수용자 그리고 가상 인플루언서를 모델로 활용하고자 하는 광고주와의 협업이 가능한 효용성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 디자인 제작에 기초적인 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2
      • 1.2 연구 목적 4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5
      • 제 2장 이론적 고찰 6
      • 제 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2
      • 1.2 연구 목적 4
      • 1.3 연구 범위 및 방법 5
      • 제 2장 이론적 고찰 6
      • 2.1 가상 인플루언서의 관한 이해 7
      • 2.1.1 가상 인플루언서 개념 및 정의 7
      • 2.1.2 미디어 환경에 변화와 인플루언서의 등장 8
      • 2.1.3 가상 인플루언서 사례 9
      • 2.1.4 가상 인플루언서 광고 사례 18
      • 2.1.5 MZ세대 수용자 특성 22
      • 2.2 가상 인플루언서 선행 연구 24
      • 2.3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 28
      • 2.3.1 호기심(Curiosity) 28
      • 2.3.2 실재감(Reality) 29
      • 2.3.3 매력성(Attractiveness) 30
      • 2.3.4 상호작용(Interaction) 30
      • 2.3.5 신뢰성(Credibility) 31
      • 2.4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 32
      • 제 3장 연구 방법 34
      • 3.1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35
      • 3.1.1 연구 방법 및 대상 35
      • 3.2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본 가상 인플루언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36
      • 3.2.1 연구 방법 및 대상 36
      • 3.2.2 이해관계자 정의 37
      • 3.2.3 수용자 설문조사 37
      • 3.2.4 전문가 인뎁스 인터뷰 38
      • 제 4장 사례연구 40
      • 4.1 가상 인플루언서의 페르소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41
      • 4.1.1 페르소나 분석 요소 41
      • 4.1.2 Five-Factor Model 성격 분류 42
      • 4.1.3 가상 인플루언서 페르소나 인식 요소 평가 43
      • 4.1.4 가상 인플루언서 페르소나 인식 요소 평가 논의 및 결론 45
      • 4.2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본 가상 인플루언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46
      • 4.2.1 수용자 설문조사 분석 46
      • 4.2.2 콘텐츠 제작자 인터뷰 분석 49
      • 4.2.3 광고주 인터뷰 분석 55
      • 4.2.4 이해관계자 프레임워크 제안 및 결론 60
      • 제 5장 가상 인플루언서 디자인 요소 제안 63
      • 5.1 캐릭터의 정체성을 위한 요소 64
      • 5.2 비언어적 행동 분류 관점에서 디자인 요소 66
      • 5.3 가상 인플루언서 제작을 위한 디자인 요소 제안 67
      • 제 6장 결론 및 의의 68
      • 6.1 연구 결론 및 연구 의의 69
      • 6.2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71
      • 참고문헌 72
      • 영문초록 77
      • 부록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