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외 음악대학 성악전공 교과과정 분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1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 평가를 통해서 대학의 변화를 요구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자체적인 대학 구조 변화와 교육의...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 평가를 통해서 대학의 변화를 요구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자체적인 대학 구조 변화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 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이는 예술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예술대학 가운데 음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클래식 분야의 음악대학에서도 여러 가지 시도들을 통해서 변화하고 발전하기 위한 노력 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대학 성악전공 교과과정을 개선하고 개발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는 데, 먼저 국내 음악대학의 교과과정 사례들을 분석하여 음악 이론과 실기 교육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 지를 확인하였고 어떠한 새로운 과목들이 개발·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또한, 해외 음악대학 사례 분석을 통해서도 국내 음악대학에 비해 매우 다양한 분야의 수업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예술 산업 현장에 필요한 실제적 교과목들이 운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외 음악대학 성 악전공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고 국내 음악대학에서도 보다 실무적이고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교과목 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약 100여 년의 역사를 통해 만들어진 국내 음악대 학의 교과과정은 실연자 위주의 교육 과정으로 다채롭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오랜 시간 많은 훌 륭한 음악인을 배출해 낸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면 졸업 후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있 어 매우 제한적이기도 한 것이다. 연주자 양성을 위한 현 교과과정에서 클래식 분야의 보다 다양한 예술 인 인재양성을 위해 음악대학 성악전공 교과과정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 고찰해보고 빠르게 변화하 는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종합 예술인을 키워내기 위한 교과과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음악대학 성악전공의 교과과정 분석을 통해 현재 국내 음악대학 교과과정이 공연 산 업 현장에 필요한 직무 능력과 예술인으로서의 심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과과정으로 개선·발전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resulting from a low birth rat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requesting the changes of universities by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ssessment. Thus, universities has been trying various plans to rai...

      With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resulting from a low birth rat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requesting the changes of universities by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ssessment. Thus, universities has been trying various plans to raise the educational quality and structural reform for their competitive power, and art college is no exception. Especially, music colleges of classic branch organizing one set of music in art college try to change and progress through various trials.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to improve and develop the vocal arts curriculum of college of music, analysing the curriculum cases of domestic colleges of music and identifying how music theory and practical skills are conducted, and checking out what new subject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foreign colleges of music, it is verified that domestic colleges of music have lower cases for various fields than those of foreign colleges and they have more practical subjects for art industry scenes. Based on these analysis, comparison analysis for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colleges of music are carried out, and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t working-level, real, and practical subjects in domestic colleges of music are reconfirmed. The curriculum of domestic colleges of music with over 100 years of history has mainly multicorrelated curriculum centered on performers, which is true it has generated a lot of great musicians through those educational cours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ose have been limited factors, on the other hand, for graduates to select their careers for the future. I want to suggest the curriculum to raise the synthetic artists in the fast changing modern society, considering how the curriculum of vocal arts in college of music will be conducted to train art talents in various classic fields from current curriculum for training perform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Ⅱ. 국내 음악대학 교과과정 분석
      • 국문초록
      • Ⅰ.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Ⅱ. 국내 음악대학 교과과정 분석
      • 2.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 2.2. 추계예술대학 음악대학
      • 2.3. 충남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 2.4. 창원대학교 음악학과
      • 2.5. 계명대학교 음악공연 예술대학
      • 2.6.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과
      • Ⅲ. 해외 음악대학 교과과정 분석
      • 3.1. 줄리어드 음악대학
      • 3.2. 이스트만 음악대학
      • 3.3. 동부 일리노이 음악대학
      • 3.4.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 3.5. 로버트 슈만 국립음악원
      • 3.6. 우랄 무소르그스키 국립음악원
      • Ⅳ. 음악대학 성악전공 교과과정 제안
      • 4.1. 요구 분석
      • 4.2. 국내외 교과과정 비교분석
      • 4.3. 인재양성 모델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창식, "확장적 공연 예술인 양성을 위한 대학 교과목 개발연구-성악 전공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2 조부환, "한국 음악전공자의 유학 후 실태와 새로운 유학모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3) : 157-170, 2011

      3 "충남대학교 홈페이지"

      4 "추계예술대학교 홈페이지"

      5 "창원대학교 음악학과 홈페이지"

      6 韓沙霖, "중국 성악전공 대학생의 직관적 사고가 공감능력을 매개로 연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7 (17): 205-220, 2019

      7 "줄리어드 음악대학 홈페이지"

      8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9 "이스트만 음악대학 홈페이지"

      10 정환호,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과 진로선택 및 진로장벽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 신창식, "확장적 공연 예술인 양성을 위한 대학 교과목 개발연구-성악 전공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2 조부환, "한국 음악전공자의 유학 후 실태와 새로운 유학모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3) : 157-170, 2011

      3 "충남대학교 홈페이지"

      4 "추계예술대학교 홈페이지"

      5 "창원대학교 음악학과 홈페이지"

      6 韓沙霖, "중국 성악전공 대학생의 직관적 사고가 공감능력을 매개로 연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7 (17): 205-220, 2019

      7 "줄리어드 음악대학 홈페이지"

      8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9 "이스트만 음악대학 홈페이지"

      10 정환호,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과 진로선택 및 진로장벽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1 "우랄 무소르그스키 국립음악원 홈페이지"

      1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 분야 일자리 특징 및 인력 정책 방향"

      13 허지연, "여성선교사의 고등음악교육과 한국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 찾기" 음악연구소 22 (22): 1-43, 2018

      14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15 "산타체칠리아 국립음악원 홈페이지"

      16 "사람인"

      17 류수진, "비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인증제 고찰: 대학별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85-404, 2021

      18 "부산대학교 음악학과 홈페이지"

      19 신민준, "멀리 있지 않은 현장 연계: 예술대학의 사회적 역할 제고와 문화기관의 역할 찾기" 2021

      20 "맨해튼 음악대학 홈페이지"

      21 "맨에스 음악대학 홈페이지"

      22 "동부 일리노이 음악대학 홈페이지"

      23 김송림,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따른 재정지원제한대학의 조직 변화 분석" 한독교육학회 25 (25): 1-26, 2020

      24 박선욱, "대학구조개혁과 예술계 학과의 변화 - 교육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예술연구소 (12) : 41-70, 2015

      25 교육부, "대학 구조개혁 평가결과 발표"

      26 "공연예술통합전산망"

      27 "계명대학교 음악공연예술대학 홈페이지"

      28 "QSUNIVERSIT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Society of Acting Studies -> Journal of Acting &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