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교사 요인의 영향 = The Effect of Teacher Factor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fter Elementary School Entr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6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교사 요인의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의 초등학교 입학 직후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교사 요인의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의 초등학교 입학 직후 학교적응 수준과 그 이후 4년 동안 변화 정도를 2수준 다층성장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시점 학교적응에 대해서 교사-아동 관계와 아동의 교사 선호도가 아동의 성별, 부모학력, 가구소득, 학습준비도 등을 통제한 후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후 학교적응의 변화에 대해서는 교사-아동 관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른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배경,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학습준비도 등이 초등학교 입학 직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그 이후에는 주된 영향 요인이 교육활동 속에서 직접 경험하게 되는 교사와 아동의 관계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초 전환기 아동들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itudinally the effect of teacher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using the data from PSKC(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level of school adjust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itudinally the effect of teacher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using the data from PSKC(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grade 1 and the slope of grade 1 to grade 4 were analyzed through two-level growth mode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students' preference for teachers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school adjustment, even after controlling children's gender, parents’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and school readiness. Also,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slope of school adjustment, while parent-child interactions, learn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school readiness) is functioned positively. The influence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maintained when the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Although family background,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mmediately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he main factor becom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at children experience directly in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8

      2 황매향,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 교육연구소 7 (7): 187-203, 2006

      3 허혜경, "학교학습준비도 개념의 진화와 효과적인 유아-초등교육 전이" 한국교육개발원 34 (34): 73-98, 2007

      4 연은모, "학교준비도 잠재계층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및 심리적 특성 차이 검증: 부모, 교사의 중다 평정 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41-50, 2020

      5 이희정,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53-278, 2010

      6 박은주,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부모, 친구,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4 (4): 285-310, 2005

      7 오원석,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과 관계 인식, 자기 효능감 및 소진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87-211, 2009

      8 이진숙,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333-358, 2004

      9 정연아,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유형과 초등학교 시기의 학교적응과의 관계: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75-895, 2019

      10 최지영, "취학 전 교육기관 유형과 아동의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초기 적응 비교"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65-286, 2012

      1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2018

      2 황매향,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 교육연구소 7 (7): 187-203, 2006

      3 허혜경, "학교학습준비도 개념의 진화와 효과적인 유아-초등교육 전이" 한국교육개발원 34 (34): 73-98, 2007

      4 연은모, "학교준비도 잠재계층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및 심리적 특성 차이 검증: 부모, 교사의 중다 평정 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41-50, 2020

      5 이희정,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53-278, 2010

      6 박은주,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부모, 친구,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4 (4): 285-310, 2005

      7 오원석,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과 관계 인식, 자기 효능감 및 소진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87-211, 2009

      8 이진숙,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1 (11): 333-358, 2004

      9 정연아,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유형과 초등학교 시기의 학교적응과의 관계: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75-895, 2019

      10 최지영, "취학 전 교육기관 유형과 아동의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초기 적응 비교"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65-286, 2012

      11 김현주,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학생 관계와 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 적응연구" 22 (22): 49-71, 2015

      12 김민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 분석: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303-328, 2018

      13 전업숙, "초등학생의 학습부진 여부가 학생과 교사 상호 간의 역할기대 및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433-458, 2013

      14 이정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261-276, 2004

      15 김진미,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99-719, 2019

      16 지은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담임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 비교" 20 (20): 83-101, 2004

      17 장영애,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가정관련 변인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91-102, 2009

      18 김흘,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학생 간 인간관계 및 학생의 학교생활스트레스 연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0 (10): 127-148, 2016

      19 이귀옥, "초등학교 고학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변인 탐색" 217-218, 2015

      20 김은설,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한국발달지원학회 7 (7): 19-34, 2018

      21 김충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아동, 부모, 교사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8 (28): 171-187, 2019

      22 김민진,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81-210, 2008

      23 김충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157-172, 2018

      24 김미래,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교사효능감,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및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13-630, 2020

      25 최지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199-210, 2003

      26 좌현숙,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28, 2012

      27 장경문,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가 남녀 초등학생의 자존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43-261, 2011

      28 배정이, "중학생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8 (38): 454-464, 2008

      29 김현주,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영향" 30 (30): 125-148, 2007

      30 이윤미,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경험" 14 (14): 99-117, 2007

      31 박희숙, "유아 학습준비도 관련 변인 탐색 : 가족 외적 환경과 가족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137-157, 2012

      32 장혜진, "아동 개인 및 가정환경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기 초 학교적응 차이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95-122, 2014

      33 전현희,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157-177, 2019

      34 오새니, "성별에 따른 유아기 발달이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8 (28): 135-149, 2019

      35 민미희,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73-89, 2015

      36 이귀옥, "성별, 자아탄력성, 학습습관과 부모양육방식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95-322, 2017

      37 원지영,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25-150, 2009

      38 신명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217-246, 2010

      39 오희정,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3-38, 2019

      40 이지훈,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13-25, 2013

      41 강상진, "다층모형" 학지사 2016

      42 정경용, "군집분석을 활용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유형 분류와 영향요인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2) : 119-143, 2012

      43 김정원, "교사의 학생 이해 및 소통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44 김종백, "교사-학생 애착관계 도구의 표준화와 학생요인에 따른 교사-학생 관계의 차별적 효과 분석" 한국연구재단 2012

      45 이은아김, "교사-학생 관계 증진 훈련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337-358, 2015

      46 김수정,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7

      47 김진성, "교사-아동 관계가 학업수행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을 매개변수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3 (33): 1-17, 2020

      48 김수정,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라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변인 간 관련성에서 차이: 양육효능감, 자아개념 그리고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85-105, 2012

      49 김은정,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 부모-자녀 관계 그리고청소년 자녀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부모-자녀 관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34-162, 2007

      50 Rimm-Kaufmann, S. E., "Teacher's judgement of problems in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15 (15): 147-166, 2000

      51 MacCallum, R. C., "Studying Multivariate Change Using Multilevel Models and Latent Curve Models" 32 : 215-253, 1997

      52 Pianta, R. C., "School readiness : A focus on Children, Families, Communities, and Schools" Educational Research Service 2002

      53 Lakhani, P., "School Adjust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7 (7): 333-348, 2017

      54 Snow, K. L., "Measuring School Readiness : Conceptu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17 (17): 7-41, 2006

      55 Gaynor, A. K., "Development toward School Readiness : A Holistic Model" 195 (195): 27-40, 2017

      56 Murphey, D. A.,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community assessment of school readiness" 4 (4): 1-18, 2002

      57 Janus, 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arly Development Instrument(EDI) : A measure of children’s school readiness" 39 (39): 1-22, 2007

      58 Pianta, R. C., "Adult-child relationship processes and early schooling" 8 : 11-26,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4 1.84 1.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2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