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규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3-106, 2020
2 김연미, "팬데믹시대의 법윤리적 위기―생물학적 권리논변을 중심으로" 23 : 1-40, 2020
3 김대홍, "초등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사상적·실천적 탐색" 한국교육사상학회 29 (29): 23-48, 2015
4 양은주, "창조적 민주사회를 위한 듀이 교육과정론의 현재적 의미" 한국교육철학학회 40 (40): 65-91, 2018
5 정기섭,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이해와 실제" 강현출판사 2019
6 시사IN, "적나라하게 드러난 팬데믹 시대 교육 불평등"
7 노상우,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생태교육학" 교육과학사 2015
8 박준건, "생태학적 위기와 철학 : 올바른 자연이해를 위한 반성과 모색" 4 (4): 81-99, 1993
9 우석훈, "생태페다고지: 탈토건 시대를 여는 생태교육" 개마고원 2009
10 Rothenberg, D., "생각하는 것이 왜 고통스러운가요? - 산 위 오두막의 생태철학자아르네 네스와 20세기를 가로질러 나눈 대화" 낮은산 2011
1 황규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3-106, 2020
2 김연미, "팬데믹시대의 법윤리적 위기―생물학적 권리논변을 중심으로" 23 : 1-40, 2020
3 김대홍, "초등교육의 생태적 접근을 위한 사상적·실천적 탐색" 한국교육사상학회 29 (29): 23-48, 2015
4 양은주, "창조적 민주사회를 위한 듀이 교육과정론의 현재적 의미" 한국교육철학학회 40 (40): 65-91, 2018
5 정기섭,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이해와 실제" 강현출판사 2019
6 시사IN, "적나라하게 드러난 팬데믹 시대 교육 불평등"
7 노상우,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생태교육학" 교육과학사 2015
8 박준건, "생태학적 위기와 철학 : 올바른 자연이해를 위한 반성과 모색" 4 (4): 81-99, 1993
9 우석훈, "생태페다고지: 탈토건 시대를 여는 생태교육" 개마고원 2009
10 Rothenberg, D., "생각하는 것이 왜 고통스러운가요? - 산 위 오두막의 생태철학자아르네 네스와 20세기를 가로질러 나눈 대화" 낮은산 2011
11 오인탁, "새로운 학교교육문화운동: 대안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학지사 2006
12 양은주, "사회적 삶과 교육에서 목적의 문제: 듀이의 수단-목적 연속성 원리에 기초한 탐색" 한독교육학회 22 (22): 101-123, 2017
13 박이문, "문명의 미래와 생태학적 세계관" 당대 1997
14 김훈, "무서운 역병의 계절을 나며 희망의 싹을 보았다" 한겨레신문
15 이태영, "듀이의 철학적 어린이 이해와 ‘아동중심’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사상학회 29 (29): 107-135, 2015
16 양은주, "듀이의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에 근거한 ‘교육적 경험’의 원리" 22 : 63-79, 1999
17 박복선, "교육의 생태적 전환을 위하여" 4 : 70-80, 2011
18 정용주, "‘생태적 탈근대’로서 교육의 생태적 전환" 26 : 47-66, 2015
19 Dewey, J., "The Influence of Darwinism on Philosophy. The Middle Works vol. 4" Southern Illinois Univ. Press 1-109, 1910
20 Naess, A., "The Deep Ecological Movement: Some Philosophical Aspects" 8 (8): 10-31, 1986
21 Rorty, R., "Rorty and Pragmatism: The Philosopher Responds to His Critics" Vanderbilt Univ. Press 1-15, 1995
22 Dewey, J.,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The Middle Works vol. 12" 77-201, 1920
23 Hickman, L. A., "Reading Dewey: Interpretations for a Postmodern Generation" Indiana Univ. Press 1999
24 Dewey, J., "Logic: Theory of Inquiry. The Later Works vol. 12" 1938
25 Alhanen, K., "John Dewey's Ecology of Experience" Books on Demand 2018
26 Dewey, J., "Human Nature and Conduct. The Middle Works vol. 14" 1922
27 Dewey, J., "Experience and Nature. The Later Works vol. 1" 1925
28 Dewey, J., "Eperience and Education. The Later Works vol. 13" 1-60, 1938
29 Boyles, D., "Dewey, ecology, and education : Historical and conteporary debates over Dewey’s naturalism and(transactional)realism" 62 : 143-161, 2012
30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The Middle Works vol. 9" 1916
31 Dewey, J., "Art as Experience. The Later Works vol. 10" 1934
32 Jorgenson, S., "An Inquiry into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Dewey’s Ecological Thinking" 2014 (2014): 65-76, 2014
33 Browne, N, "Activating the"art of Knowing" : John Dewey, Pragmatist Ecology, and Environmental Writing" 11 (11): 1-24,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