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자단기사채제도의 법적 쟁점과 과제 = Legal Issues on Electronic Short-Term Bo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13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January 2013, electronic short-term bond(hereinafter “ESTB”) has been introduced in a type of corporate bonds registrated on electronic account book. ESTB has been invented to replace the function of commercial paper(CP) which has various probl...

      In January 2013, electronic short-term bond(hereinafter “ESTB”) has been introduced in a type of corporate bonds registrated on electronic account book. ESTB has been invented to replace the function of commercial paper(CP) which has various problems, i.e. issuing physical note, lack of transparency, shortage of transferability generated by prohibition of splitting endorsement. Accordingly, ESTB has the same marketability as CP does, holding characteristics of unsecured debenture with a maturity less than one-year.
      In this ESTB system, existing CP's legal form should be converted from promissory note to bond, and all processes of issuing and circulation would be digitalized. The transformation is plausible because the nature of ESTB coincide with CP's economic substance. On the contrary, the digitalization remains to be reviewed or improved in legal and operational domains in that ESTB is the first electronic bond on Revised Commercial Code of 2011.
      The most important issue is a relationship between ESTB and CP. Though ESTB has been introduced to replace CP, the needs of issuing companies will keep going for a while in spite of several restrictions on it. In this case, we can’t achieve the goals to enhance the transparency and stability of money market and to activate the circulation of short-term bond. So,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the regulation on ESTB and CP such as securities statement. In addition, it is considerable to unify the market and products in short-term bond market by abolishing CP on the Capital Market Act. As I see it, we made sure of CP’s problems sufficiently prior to this, and it's great alternatives has been supplied to companies and inves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철영, "전자등록제도 하에서의 사채관리에 관한 검토" 한국상사법학회 30 (30): 215-252, 2011

      2 허항진, "전자단기사채제도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2011

      3 손영화, "전자단기사채 활성화를 위한 법적 과제, In 회사법제의 운영과 IT기술이응용" 2012

      4 안수현,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에 관한 법제도적 문제" 한양법학회 (29) : 481-511, 2010

      5 박철영, "기업어음의 사채화" (37) : 2009

      6 성희활, "기업어음(Commercial paper : CP)의 법적 문제" 법학연구소 13 (13): 45-74, 2010

      7 허항진, "기업어음(CP)시장의 개편방안에 대한 법적 소고" 한국증권법학회 10 (10): 269-317, 2009

      8 犬飼重仁, "電子コマ-シヤルペ-パ-のすべて" 東洋經濟新聞社 2004

      9 高橋康文, "逐條解說 短期社債等振替法" 金融財政事情硏究會 2002

      10 高橋康文, "逐條解說 新社債株式等振替法" 金融財政事情硏究會 2006

      1 박철영, "전자등록제도 하에서의 사채관리에 관한 검토" 한국상사법학회 30 (30): 215-252, 2011

      2 허항진, "전자단기사채제도의 이해" 한국학술정보 2011

      3 손영화, "전자단기사채 활성화를 위한 법적 과제, In 회사법제의 운영과 IT기술이응용" 2012

      4 안수현,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에 관한 법제도적 문제" 한양법학회 (29) : 481-511, 2010

      5 박철영, "기업어음의 사채화" (37) : 2009

      6 성희활, "기업어음(Commercial paper : CP)의 법적 문제" 법학연구소 13 (13): 45-74, 2010

      7 허항진, "기업어음(CP)시장의 개편방안에 대한 법적 소고" 한국증권법학회 10 (10): 269-317, 2009

      8 犬飼重仁, "電子コマ-シヤルペ-パ-のすべて" 東洋經濟新聞社 2004

      9 高橋康文, "逐條解說 短期社債等振替法" 金融財政事情硏究會 2002

      10 高橋康文, "逐條解說 新社債株式等振替法" 金融財政事情硏究會 2006

      11 小林憲一, "社債等登錄法" 第一法規 1974

      12 黑沼悅郞, "社債等の振替に關する法律について, In 證券のペ-パーレス化の理論と實 務" (272) : 2003

      13 森まどか, "社債のイベント․リスクに關する法的硏究, In 社債權者保護の法理" 中央經濟社 2009

      14 早川撤, "短期社債等の振替に關する法律と證券決濟システム" (1217) : 2002

      15 김이수, "企業어음 電子化의 法的 基盤에 관한 硏究" 법학연구소 47 (47): 301-327,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OMMERCIAL LAW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상사법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3 0.979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