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통과 협력의 지역사 쓰기: 시사 편찬 과정과 특징에 대한 연구 = Writing Communicative and Cooperative Local History: A Study on Compil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ty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9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suggest sustainable communication methods as an alternatives to conflicts and negative communication among government and scholars as well as residents and village communities that occur during the compilation process of local history. For this, it analyzes the contents and achievements of local history research activities targeting the cases of compiling process of the history of Hwaseong City. Hwaseong Cit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to compile its local history, in attempts to investigate its community and residents’ lives. The research includes data collections through on-site surveys, oral history interview, and folklore. Hwaseong-si-sa (The History of Hwaseong city, 2018 and 2020) contains the recent changes of research direction and description of recording its local history. This book features the expansion of a local history compilation, by putting the description of the current lives and places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new types of village community at the forefront,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the historical records.
      The perspectives of external researchers are controversial but important because they could b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projects. As an external researcher coming from a different local community, I have been involved in the compilation project of the history of Hwaseong city. As an outsider, I could bring the different perspectives from local researchers, as I collaborated with internal residents for the local history compilation projects. My observations as an outsider include several important points and suggestions as follows. Most of all, I observed various factors affect the results of the local history compilation project.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compiling city history, those subjects who produce, distribute, and consume local history form various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ir goals and understanding. Additionally, even though residents are so important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local history, they are rather treated as passive subjects. It is because the local history project led by the local government are mainly focused on producing the visible outputs that highlight only positive aspects of the region. This results are the different standpoints from the academic measures.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several important directions of the compilation which will record local residents and village community in the center of the local history. First, in the local government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field research should be accentuated with its financial supports and various research opportunities both for researchers ad participants. Additionally, for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oral history projects, it is important to legislate ethical devices for a right-to-know and privacy protection. Third, in the beginning of research, careful prepar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whole process including from the data collection plan to the final production and its management and usage. Fourth, it is important to bring public atten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project through public exhibition. Fourth, by locating local residents and village community as subjects of the history and overcoming conflicts, the compilation project of the city history should realize the sustainable communication inviting the active participations of local governments, scholars, and residents.
      번역하기

      This article attempts to suggest sustainable communication methods as an alternatives to conflicts and negative communication among government and scholars as well as residents and village communities that occur during the compilation process of local...

      This article attempts to suggest sustainable communication methods as an alternatives to conflicts and negative communication among government and scholars as well as residents and village communities that occur during the compilation process of local history. For this, it analyzes the contents and achievements of local history research activities targeting the cases of compiling process of the history of Hwaseong City. Hwaseong Cit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to compile its local history, in attempts to investigate its community and residents’ lives. The research includes data collections through on-site surveys, oral history interview, and folklore. Hwaseong-si-sa (The History of Hwaseong city, 2018 and 2020) contains the recent changes of research direction and description of recording its local history. This book features the expansion of a local history compilation, by putting the description of the current lives and places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new types of village community at the forefront,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the historical records.
      The perspectives of external researchers are controversial but important because they could b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projects. As an external researcher coming from a different local community, I have been involved in the compilation project of the history of Hwaseong city. As an outsider, I could bring the different perspectives from local researchers, as I collaborated with internal residents for the local history compilation projects. My observations as an outsider include several important points and suggestions as follows. Most of all, I observed various factors affect the results of the local history compilation project.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compiling city history, those subjects who produce, distribute, and consume local history form various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ir goals and understanding. Additionally, even though residents are so important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local history, they are rather treated as passive subjects. It is because the local history project led by the local government are mainly focused on producing the visible outputs that highlight only positive aspects of the region. This results are the different standpoints from the academic measures.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several important directions of the compilation which will record local residents and village community in the center of the local history. First, in the local government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field research should be accentuated with its financial supports and various research opportunities both for researchers ad participants. Additionally, for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oral history projects, it is important to legislate ethical devices for a right-to-know and privacy protection. Third, in the beginning of research, careful prepar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whole process including from the data collection plan to the final production and its management and usage. Fourth, it is important to bring public atten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project through public exhibition. Fourth, by locating local residents and village community as subjects of the history and overcoming conflicts, the compilation project of the city history should realize the sustainable communication inviting the active participations of local governments, scholars, and resi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화성시의 시사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 및 마을공동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 연구활동의 내용과 성과를 살펴보고, 편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소통의 양상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화성시는 시사 편찬사업을 진행하며, 현지조사, 구술사, 민속학 등 질적연구를 통해 주민과 공동체에 대해 접근하고 파악하였다. 󰡔화성시사󰡕(2018, 2020)는 최근 지역사에 대한 연구 관점과 서술방식의 변화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동안 간과되었던 주민들의 현재 삶과 생활현장, 새로운 유형의 마을공동체 사례들을 전면에 드러냈으며, 역사 서술에서 주민을 아우르는 범위를 확장시켰다. 시사 편찬과정에서 이를 생산․유통․소비하는 주체들은 각자의 목표와 이해에 따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갖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타 지역 출신의 외부 연구자들이 내부 주민과 공동작업을 진행하면서 외부자의 관점과 시선은 장점이자 단점으로 작용한다. 주민들은 지역사 생산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지만, 출판물이 제작되거나 아카이브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는 수동적이며 주체적이지 못한 위치로 존재한다. 공공주도형의 지역사 프로젝트는 가시적인 성과를 중시하고, 지역의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려고 하다 보니 학계와 다른 잣대가 적용된다. 관(官), 연구자, 지역 주민과 마을공동체가 소통하고 협력하는 지역사 편찬 작업을 위해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해본다. 현실적인 조사․연구비 지원과 연구 기회의 확대를 통해 연구자들의 현장 조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구술생애사 작업 등에 참여한 당사자의 알 권리를 존중하고, 사생활 보호를 위한 윤리적 장치를 마련토록 한다. 자료 수집 기획 단계에서부터 결과물의 관리와 활용에 대해 충분한 고민이 전제되어야 한다. 주민 공람을 적극화하여 편찬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한다. 지역사 쓰기는 주민과 공동체가 활동의 주체로 보다 활발히 참여하고, 지자체와 학계, 주민이 함께 소통하고 협력하는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화성시의 시사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 및 마을공동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 연구활동의 내용과 성과를 살펴보고, 편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소통의 양상을 분...

      이 글은 화성시의 시사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 및 마을공동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 연구활동의 내용과 성과를 살펴보고, 편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소통의 양상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화성시는 시사 편찬사업을 진행하며, 현지조사, 구술사, 민속학 등 질적연구를 통해 주민과 공동체에 대해 접근하고 파악하였다. 󰡔화성시사󰡕(2018, 2020)는 최근 지역사에 대한 연구 관점과 서술방식의 변화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동안 간과되었던 주민들의 현재 삶과 생활현장, 새로운 유형의 마을공동체 사례들을 전면에 드러냈으며, 역사 서술에서 주민을 아우르는 범위를 확장시켰다. 시사 편찬과정에서 이를 생산․유통․소비하는 주체들은 각자의 목표와 이해에 따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갖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타 지역 출신의 외부 연구자들이 내부 주민과 공동작업을 진행하면서 외부자의 관점과 시선은 장점이자 단점으로 작용한다. 주민들은 지역사 생산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지만, 출판물이 제작되거나 아카이브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는 수동적이며 주체적이지 못한 위치로 존재한다. 공공주도형의 지역사 프로젝트는 가시적인 성과를 중시하고, 지역의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려고 하다 보니 학계와 다른 잣대가 적용된다. 관(官), 연구자, 지역 주민과 마을공동체가 소통하고 협력하는 지역사 편찬 작업을 위해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해본다. 현실적인 조사․연구비 지원과 연구 기회의 확대를 통해 연구자들의 현장 조사를 활성화해야 한다. 구술생애사 작업 등에 참여한 당사자의 알 권리를 존중하고, 사생활 보호를 위한 윤리적 장치를 마련토록 한다. 자료 수집 기획 단계에서부터 결과물의 관리와 활용에 대해 충분한 고민이 전제되어야 한다. 주민 공람을 적극화하여 편찬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한다. 지역사 쓰기는 주민과 공동체가 활동의 주체로 보다 활발히 참여하고, 지자체와 학계, 주민이 함께 소통하고 협력하는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성시청 홈페이지"

      2 화성시사편찬위원회, "화성시사: 충효예의 고장"

      3 화성시사편찬위원회, "화성시사 1~20"

      4 "화성문화원 홈페이지"

      5 서울일보, "화성, 근현대 발전사 정리 ‘화성시사’ 발간"

      6 윤택림, "현대사와 박물관" 2020

      7 김선정, "현대사와 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20

      8 김태웅, "해방 이후 地方誌 편찬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 역사학연구소 (18) : 151-189, 2008

      9 김동철 ; 문재원 ; 차윤정 ; 하세봉, "한국학에서 지역연구의 방법론과 과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27-249, 2009

      10 허영란, "한국 구술사의 현황과 대안적 역사쓰기" 역사문제연구소 (102) : 312-331, 2013

      1 "화성시청 홈페이지"

      2 화성시사편찬위원회, "화성시사: 충효예의 고장"

      3 화성시사편찬위원회, "화성시사 1~20"

      4 "화성문화원 홈페이지"

      5 서울일보, "화성, 근현대 발전사 정리 ‘화성시사’ 발간"

      6 윤택림, "현대사와 박물관" 2020

      7 김선정, "현대사와 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20

      8 김태웅, "해방 이후 地方誌 편찬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 역사학연구소 (18) : 151-189, 2008

      9 김동철 ; 문재원 ; 차윤정 ; 하세봉, "한국학에서 지역연구의 방법론과 과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27-249, 2009

      10 허영란, "한국 구술사의 현황과 대안적 역사쓰기" 역사문제연구소 (102) : 312-331, 2013

      11 이창식, "지역학 연구와 구술자료 활용" 역사문화학회 19 (19): 7-38, 2016

      12 김광철, "지역사 연구의 경향과 과제" 동아대학교석당전통문화연구원 2005

      13 허홍범, "지역사 연구와 지방지 편찬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2003

      14 허영란, "지역사 연구와 수원시사"편찬의 의의" 수원박물관 2014

      15 울산저널i, "지역박물관 따로 또 같이"

      16 배은희, "지역 구술기록의 생산과 관리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2018

      17 윤택림, "지방지와 구술사 : 경기남부 지방지를 중심으로" 한국구술사학회 2012

      18 차철욱, "지방성 연구의 이론적 검토 - 지방사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1) : 195-222, 2009

      19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역사문화학회 20 (20): 347-381, 2017

      20 김명옥, "우리 마을을 기록합니다" 선인 2021

      21 윤택림,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아서: 동탄 신도시 사례 연구" 한국구술사학회 8 (8): 11-57, 2017

      22 박미선, "시・군지 편찬 현황과 구성상의 특징― 2000년 이후 전라남도 시・군지를 중심으로 ―" 호남학연구원 (65) : 183-215, 2019

      23 뉴시스, "시흥시사 편찬- ‘시흥의 모든 것 한눈에’"

      24 김영선 ; 오효정 ; 이정은, "시민참여형 공모전을 활용한 민간기록물 수집 활성화 방안: 전주 시민기록관의 기록물 수집공모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21 (21): 37-60, 2021

      25 "수원문화원 홈페이지"

      26 정재정, "서울의 역사적 위상과 시사편찬위원회의 역할 - 서울과 서울시민의 근현대 경험을 話頭로 삼아 -" 서울역사편찬원 (74) : 207-231, 2009

      27 윤택림,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16

      28 추명희, "발안마을의 장소성과 현재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구술사학회 12 (12): 9-54, 2021

      29 손동유,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65) : 89-108, 2020

      30 김미연, "문화정책논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31 인인화락, "문화읽기: 수원시사 편찬 성과와 의의, 여전히남은 과제"

      32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아르케 2005

      33 박승희, "대구시사 편찬의 방향과 생활사·구술사 구성 방안"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16 (16): 19-37, 2017

      34 화성시사편찬위원회, "구술자료 조사·수집보고서" 화성시사편찬위원회 2016

      35 김귀옥, "구술사연구 방법과 실천" 한울아카데미 2014

      36 윤택림, "과천 신도시의 주민되기 - 구술생애사를 통한 지역정체성의 형성 분석 -" 역사문화학회 11 (11): 307-348, 2008

      37 최정은, "공동체에게 다가가기: 공동체아카이브, 복수의 주체의 가능성- 동탄 신도시 원주민 구술기록 수집을 사례로" 한국구술사학회 8 (8): 59-91, 2017

      38 김경아,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방법의 의미와 가치" 한국역사교육학회 (39) : 7-60, 2021

      39 이하나, "공공역사 논의의 한국적 맥락과 공공역사가들" 역사문제연구소 (136) : 389-421, 2021

      40 민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적용" 한국역사교육학회 (40) : 125-162, 2021

      41 이원명, "鄕土서울" 서울역사편찬원 2009

      42 선영란, "(서평) '새로운 역사학'과 '새로 쓴 지방지'" 역사문화학회 5 (5): 291-315,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42 0.81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