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성인환자의 낙상 후 손상 영향요인 양 이 정 (간호학 전공) (지도교수: 고 영)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만 19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성인환자의 낙상 후 손상 영향요인 양 이 정 (간호학 전공) (지도교수: 고 영)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만 19세 ...
국문초록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성인환자의 낙상 후 손상 영향요인
양 이 정
(간호학 전공)
(지도교수: 고 영)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만 19세 이상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후 발생한 낙상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입원 환자의 낙상 후 손상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9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B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만 19세 이상 성인 환자 중 입원 시 낙상을 경험한 환자 전수이다.
수집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 의학적 요인, 낙상 관련 위험요인,
낙상 손상 분류 특성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기술하였고, 낙상 손상 분류와의 관련성은 카이제곱와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낙상 경험 성인 환자의 입원 시와 낙상 발생 직전 낙상 위험평가 점수의 변화와
낙상 손상 분류와의 관계는 McNeamar’s 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중증 손상 낙상 발생률이 높았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낙상 및 손상 위험이 높아졌다. 약물복용에서는 베타차단제 복용 환자에서 낙상 후 손상 중증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입원 시와 낙상 전 낙상 위험사정도구 점수의 통계적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낙상 위험사정 분류군에는
입원 시와 낙상 전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p<.030), 이는 경미한 손상 또는 중증 손상군에서의 나타났다(p<.012). 셋째, 중증 낙상 사례를 분석한 결과, 진료과로는 합병증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인 내분비내과에서 중증 손상 발생률이
높았으며 정형외과는 재활치료 기간 중 보행 장애가 있는데도 ‘스스로 할 수 있다’라는 환자의 잘못된 인식으로 중증 손상 낙상이 발생하였다. 비뇨기과는 고령의 배뇨장애가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하였다는 환자 특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낙상 발생 원인의 측면에서는 산소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인지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 중증 낙상은 아니지만 다빈도 낙상발생 대상자였다.
대부분 낙상이 발생하는 장소는 병실로, 70% 이상이 병실 내에서 발생하고 있었고 침대에서 내려오거나 올라가려다가,
침대에서 내려와서 걷다가 발생하였다. 전체 낙상 발생의 32.3%가 환자의 부주의(16.1%), 미끄러짐(11.3%),
걸림(4.8%)으로 발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상자의 질환 특성과 관련된 낙상은 중증 손상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학제 팀을 구성하여 중증 낙상이 발생하는 진료과별로 낙상 사례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매일 정확한 낙상 위험평가를 수행하여 낙상 위험평가의 변화 정도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낙상 발생 장소 대부분이 병실이었으므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병실 내에서의 인력배치,
병실 생활에서 발생가능한 부주의 사고를 줄이기 위한 교육,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주요어: 손상 낙상,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낙상 위험사정도구, 환자안
전간호활동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