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컴퓨터는 정서(emotion)를 소유할 수 있는가? = Can Computer Possess Emo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4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uring Machine which was introduced as the first concept of computational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aradigm which became the fundamental frame of cognitive science suggested positive answers to the argument, 'is the thinking machine possible?' Especially, the endeavor to approach human mind using computer metaphor is considered as a very valid way so far. The implementation of human mind must be accomplished through not only the computational model of cognition but also the computational model of emotion.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right answer to the question 'can computer possess emotion?',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researches related with emo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The reviews of the researches on the attributes of emotion and, e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were performed in the view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main issue of the implementation of emotion is actually the matter of possibility of the computational modeling of emotion, therefore, the researches on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theories related to the computational modeling of emotion were reviewed in the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inal opinion on the belief that computer can possess emotion can be valid was suggested. Possessing emotion assumes deep understanding of various situations and cultural contexts. Therefore, the question 'can computer possess emotion?' should be solved, combined with the question 'is the thinking machine possible?'
      번역하기

      The Turing Machine which was introduced as the first concept of computational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aradigm which became the fundamental frame of cognitive science suggested positive answers to the argument, ...

      The Turing Machine which was introduced as the first concept of computational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aradigm which became the fundamental frame of cognitive science suggested positive answers to the argument, 'is the thinking machine possible?' Especially, the endeavor to approach human mind using computer metaphor is considered as a very valid way so far. The implementation of human mind must be accomplished through not only the computational model of cognition but also the computational model of emotion.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right answer to the question 'can computer possess emotion?',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researches related with emo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The reviews of the researches on the attributes of emotion and, e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were performed in the view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main issue of the implementation of emotion is actually the matter of possibility of the computational modeling of emotion, therefore, the researches on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theories related to the computational modeling of emotion were reviewed in the study.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inal opinion on the belief that computer can possess emotion can be valid was suggested. Possessing emotion assumes deep understanding of various situations and cultural contexts. Therefore, the question 'can computer possess emotion?' should be solved, combined with the question 'is the thinking machine possi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지능의 계산적 모형을 최초로 제시한 튜링기계(Turing Machine)와 인지과학의 모태가 된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적 패러다임은 ‘생각하는 기계는 가능한가?’라는 논쟁에 많은 긍정적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특히 컴퓨터라는 메타포를 이용하여 인간의 ‘마음(mind)’에 접근하려는 노력은 현재까지도 매우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마음의 구현은 인간의 인지(cognition)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서(emotion)적 문제에 대한 계산적 모형의 제시를 통해 완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인지과학과 인지심리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서와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컴퓨터가 과연 정서를 소유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서의 속성, 특히 정서와 인지와의 상호관계를 고찰하고, 정서에 대한 정보처리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을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컴퓨터를 통한 정서의 구현 문제는 결국 정서가 계산적으로 구현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이므로, 정서의 계산적 모형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과 이에 관련된 연구들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검토된 연구들을 토대로 과연 컴퓨터가 정서를 소유한다는 것이 타당성 있는 믿음인지에 대한 견해를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정서를 소유한다는 것은 다양한 상황과 문화적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며, 따라서 ‘컴퓨터가 정서를 소유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결국, ‘생각하는 기계는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의 해답과 함께로만 제시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인공지능의 계산적 모형을 최초로 제시한 튜링기계(Turing Machine)와 인지과학의 모태가 된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적 패러다임은 ‘생각하는 기계는 가능한가?’라는 논쟁에 많은 긍정적 ...

      인공지능의 계산적 모형을 최초로 제시한 튜링기계(Turing Machine)와 인지과학의 모태가 된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적 패러다임은 ‘생각하는 기계는 가능한가?’라는 논쟁에 많은 긍정적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특히 컴퓨터라는 메타포를 이용하여 인간의 ‘마음(mind)’에 접근하려는 노력은 현재까지도 매우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마음의 구현은 인간의 인지(cognition)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서(emotion)적 문제에 대한 계산적 모형의 제시를 통해 완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인지과학과 인지심리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서와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컴퓨터가 과연 정서를 소유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서의 속성, 특히 정서와 인지와의 상호관계를 고찰하고, 정서에 대한 정보처리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을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컴퓨터를 통한 정서의 구현 문제는 결국 정서가 계산적으로 구현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이므로, 정서의 계산적 모형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과 이에 관련된 연구들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검토된 연구들을 토대로 과연 컴퓨터가 정서를 소유한다는 것이 타당성 있는 믿음인지에 대한 견해를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정서를 소유한다는 것은 다양한 상황과 문화적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며, 따라서 ‘컴퓨터가 정서를 소유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결국, ‘생각하는 기계는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의 해답과 함께로만 제시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신호, "한국의 정서 및 동기심리학 연구: 개관 및 문헌정리" 1 (1): 119-154, 2000

      2 이수정, "정서정보에 대한 의식적/비의식적 처리" 연세대학교 1998

      3 이홍철, "정서의 계산주의 모형,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성원사 291-310, 1994

      4 Searle, J. R., "인지과학과 인공지능" 1987

      5 Lazarus, R. S, "Thoughts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37 (37): 1019-1024, 1982

      6 Ohman, A., "The psychophysiology of emotion : an evolutionary-cognitive perspective" 2 : 79-127, 1987

      7 Heider, F.,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ley 1958

      8 Taylor, S. E., "The interface of cognitive and social psychology, In Cognition, social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Erlbaum 189-211, 1981

      9 Leventhal, H., "The Relationship of emotion to cognition: A Functional approach to a semantic controversy" 1 (1): 3-28, 1987

      10 de Sousa, R., "The Rationality of Emotion" The MIT Press 1987

      1 안신호, "한국의 정서 및 동기심리학 연구: 개관 및 문헌정리" 1 (1): 119-154, 2000

      2 이수정, "정서정보에 대한 의식적/비의식적 처리" 연세대학교 1998

      3 이홍철, "정서의 계산주의 모형,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성원사 291-310, 1994

      4 Searle, J. R., "인지과학과 인공지능" 1987

      5 Lazarus, R. S, "Thoughts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37 (37): 1019-1024, 1982

      6 Ohman, A., "The psychophysiology of emotion : an evolutionary-cognitive perspective" 2 : 79-127, 1987

      7 Heider, F.,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ley 1958

      8 Taylor, S. E., "The interface of cognitive and social psychology, In Cognition, social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Erlbaum 189-211, 1981

      9 Leventhal, H., "The Relationship of emotion to cognition: A Functional approach to a semantic controversy" 1 (1): 3-28, 1987

      10 de Sousa, R., "The Rationality of Emotion" The MIT Press 1987

      11 Johnson-Laird, Philip N., "The Computer and the Mind : An Introduction to Cognitive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12 Forgas, J. P., "Strange couples : Mood effects on judgments and memory about prototypical and atypical relationships" 21 : 747-765, 1995

      13 Isen, A. M, "Positive affect, cognitive processes, and social behavior" 20 : 203-253, 1987

      14 Osgood, C. E., "On the why and wherefores of E, P, and A" 12 : 194-199, 1969

      15 Simon, H. A., "Motivational and emotional controls of cognition" 74 : 29-39, 1967

      16 Schwarz, N., "Mood, misattribution, and judgments of well-being : Informative and directive functions of affective states" 45 : 513-523, 1983

      17 Bower, G. H., "Mood and memory" 36 : 129-148, 1981

      18 Mandler, G., "Mind and Emotion" John Wiley & Sons, Inc 1975

      19 Izard, C. E., "Four systems for emotion activation : Cognitive and noncognitive processes" 100 : 68-90, 1993

      20 Zajonc, R. B, "Feeling and Emotion" 35 (35): 151-175, 1980

      21 Nissenbaum, H. F., "Emotion and Focus" CSLI 1985

      22 Leventhal, H., "Emotion : Today's problem" 37 : 565-610, 1986

      23 Oatley, K, "Editorial : Cognitive science and understanding of emotions" 3 : 209-216, 1987

      24 Teasdale, J. D., "Differential effects of induced mood on retrieval of pleasant and unpleasant events from episodic memory" 88 : 248-257, 1979

      25 Osgood, C. E., "Cross-cultural universals of affective meanin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75

      26 Festinger, L., "Conflict, decision, and dissonanc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27 Pylyshyn, Z. W., "Computing in Cognitive Science, In Foundations of Cognitive Science" 49-91, 1989

      28 Simon, H. A., "Comments" Erlbaum 333-342, 1982

      29 Evans, Dylan, "Can robot have emotions?" 11 (11): 2-5, 2004

      30 Izard, C. E., "Basic emotions, relations among emotions, and emotion-cognition relations" 99 : 561-565, 1992

      31 Teasdale, J. D., "Affect, cognition, and chang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