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시아론의 변용(變容)과 지적 계보의 재조명: 학제간 논쟁의 유형과 궤적 분석 = Variations of ‘East Asia’ Discourse and Reflections on Epistemological Inquiry: the trajectory of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revisit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한국학계의 우세담론의 위상을 누렸던 「동아시아론」의 지적 계보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동아시아론은 학문적 범주를 설정하지 못한 채 다양한 담론적 변용을 낳게 되었다.
      근현대 이전에 동아시아는 타자를 상정하는 ‘우리’라는 의식을 공유한 적이 없이 초국가적 국가주의의 성향을 보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론의 지적 궤적을 살피기 위해 논쟁의 유형을 네 가지로 대별하여 그 성격을 성찰하였다. 그 중에서 기존 동아시아론과 연계하여, 서구국제사회론의 비판적 성찰을 통해 ‘동아시아 국제사회론’의 시각에 주목하고자 한다. 동아시아의 균열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동아시아 국제사회’를 지향하려는 에피스테메의 재현은 동아시아론의 실제(실천성)를 심화시키는데 보완적 기능을 할 것으로 본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한국학계의 우세담론의 위상을 누렸던 「동아시아론」의 지적 계보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동아시아론은 학문적 범주를 설정하지 못한 채 다양한 담론적 변용을 낳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학계의 우세담론의 위상을 누렸던 「동아시아론」의 지적 계보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동아시아론은 학문적 범주를 설정하지 못한 채 다양한 담론적 변용을 낳게 되었다.
      근현대 이전에 동아시아는 타자를 상정하는 ‘우리’라는 의식을 공유한 적이 없이 초국가적 국가주의의 성향을 보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론의 지적 궤적을 살피기 위해 논쟁의 유형을 네 가지로 대별하여 그 성격을 성찰하였다. 그 중에서 기존 동아시아론과 연계하여, 서구국제사회론의 비판적 성찰을 통해 ‘동아시아 국제사회론’의 시각에 주목하고자 한다. 동아시아의 균열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동아시아 국제사회’를 지향하려는 에피스테메의 재현은 동아시아론의 실제(실천성)를 심화시키는데 보완적 기능을 할 것으로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희식, "현대 일본의 아시아 외교 전략: 내재적 접근에서 외재적 접근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33-58, 2009

      2 장인성, "한국의 동아시아론과 동아시아 정체성: ‘동아시아의 새로운 상상’과 국제사회로서의 ‘동아시아’"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26 (26): 2005

      3 박상수, "한국발 ‘동아시아론’의 인식론 검토 : 동아시아 연구, ‘초국가적 공간’으로부터 접근하자" 아세아문제연구원 53 (53): 73-100, 2010

      4 김종태, "한국 언론에 나타난 한국, 중국, 일본의 정체성과 표상: 선진국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2 (22): 110-145, 2014

      5 김빛나 ; 하스이케 시게요 ; 조상식, "푸코의 에피스테메(épistémè) 구분에 따른 코메니우스 『세계도회』의 유형 분석" 한국교육철학학회 38 (38): 51-72, 2016

      6 임춘성, "포스트사회주의 중국과 그비판자들" 그린비 2021

      7 박이진, "탈냉전 이후 일본의 동아시아 담론 -일본의 귀환서사 연구지평-" 동아시아일본학회 (58) : 137-161, 2016

      8 최원식, "탈냉전 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 창작과 비평사 79 : 1993

      9 고성빈, "중국의 동아시아담론: ‘포아론(包亞論)’적 사유의 전개" 국제학연구소 18 (18): 63-109, 2009

      10 정문길, "주변에서 본 동아시아" 문학과 지성사 2004

      1 최희식, "현대 일본의 아시아 외교 전략: 내재적 접근에서 외재적 접근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9 (49): 33-58, 2009

      2 장인성, "한국의 동아시아론과 동아시아 정체성: ‘동아시아의 새로운 상상’과 국제사회로서의 ‘동아시아’"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26 (26): 2005

      3 박상수, "한국발 ‘동아시아론’의 인식론 검토 : 동아시아 연구, ‘초국가적 공간’으로부터 접근하자" 아세아문제연구원 53 (53): 73-100, 2010

      4 김종태, "한국 언론에 나타난 한국, 중국, 일본의 정체성과 표상: 선진국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2 (22): 110-145, 2014

      5 김빛나 ; 하스이케 시게요 ; 조상식, "푸코의 에피스테메(épistémè) 구분에 따른 코메니우스 『세계도회』의 유형 분석" 한국교육철학학회 38 (38): 51-72, 2016

      6 임춘성, "포스트사회주의 중국과 그비판자들" 그린비 2021

      7 박이진, "탈냉전 이후 일본의 동아시아 담론 -일본의 귀환서사 연구지평-" 동아시아일본학회 (58) : 137-161, 2016

      8 최원식, "탈냉전 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 창작과 비평사 79 : 1993

      9 고성빈, "중국의 동아시아담론: ‘포아론(包亞論)’적 사유의 전개" 국제학연구소 18 (18): 63-109, 2009

      10 정문길, "주변에서 본 동아시아" 문학과 지성사 2004

      11 김영호, "제국의 교차로에서 탈제국을 꿈꾸다" 2008

      12 김현성, "전후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전개와 인식의 변용"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7) : 301-325, 2009

      13 박삼헌, "전후 일본의 동아시아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일본학회 (99) : 393-404, 2014

      14 이삼성,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구성과 중국 :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중국의 구성적 역할" 한국정치학회 50 (50): 163-189, 2016

      15 이철호,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론과 중국 구성과 현실" 서울대 일본연구소 2012

      16 이성시, "일본 역사학계의 동아시아세계론에 대한 재검토 - 한국학계와의 대화로부터 -" 역사학회 (216) : 57-80, 2012

      17 김두진 ; 이내영, "유럽산업혁명과 동아시아 ‘대분기’(Great Divergence) 논쟁" 아세아문제연구원 55 (55): 39-73, 2012

      18 장인성, "영국학파 국제사회론과 근대 동아시아의 국제사회화에 관한 고찰: 동아시아 국제사회론의 구축을 위한 시론" 한국세계지역학회 27 (27): 359-387, 2009

      19 백영서, "연동하는 동아시아, 문제로서의 한반도 담론과 연대운동의 20년" 창작과비평사 39 (39): 2011

      20 신주백, "역사화해와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 선인 2014

      21 야마무로 신이치, "여럿이며 하나인 아시아" 창비 2003

      22 강진아, "세계체계와 국민국가의 회색지대 - 동아시아론의 성과와 한계 -" 인문과학연구소 (57) : 127-152, 2009

      23 이규수, "서구학문의 유입과 동아시아 지성의 변모" 선인 2012

      24 윤여일, "사상의 원점: 동아시아에서 동아시아를 생각하다" 창비 2014

      25 류준필, "분단체제론과 동아시아론" 아세아문제연구원 52 (52): 38-72, 2009

      26 이삼성, "분단체제 개념, 동아시아에 적용하려면 ‘대분단체제’가 적절" 한겨례신문

      27 백낙청, "백낙청 교수 “변혁적 중도주의 실천할 때" 연합뉴스

      28 윤여일, "민족문화론에서 동아시아론까지" 창비 2015

      29 장 즈창, "민족문화론에서 동아시아론까지" 창비 2015

      30 류준필, "민족문화론에서 동아시아론까지" 창비 2015

      31 임춘성, "민족문화론에서 동아시아론까지" 창비 2015

      32 최원식, "문학의 귀환" 창비 2001

      33 신채호, "동아시아인의 ‘동양’인식" 창비 2010

      34 리 따자오, "동아시아인의 ‘동양’인식" 창비 1997

      35 유희석, "동아시아의 ‘거대분단’과 한반도" 인문학연구원 (56) : 511-542, 2018

      36 백영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창비 2013

      37 양니엔췬, "동아시아란 무엇인가: 근대 이후 한중일의 아시아 想像의 차이와 그 결과"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50 : 2005

      38 고성빈, "동아시아담론에 대한 비평적 회고와 전망 : ‘의지적 낙관주의’와 ‘미래사적 방법론’의 활용" 아세아문제연구원 61 (61): 9-58, 2018

      39 전인갑, "동아시아, 하나의 중심과 다부중심의 지역질서 – 동아시아 개념의 재구축 시론 -" 역사학회 (221) : 87-115, 2014

      40 박상수, "동아시아, 인식과 역사적 실재: 전시기(戰時期)에 대한 조명" 아연출판부 2014

      41 하세봉, "동아시아 역사상, 그 구축의 방식과 윤곽" 역사학회 (200) : 1-31, 2008

      42 쑨거, "동아시아 시각의 인식론적 의의" 아세아문제연구원 52 (52): 13-56, 2009

      43 임태홍,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동아시아문화포럼 2002

      44 윤여일, "동아시아 담론의 형성과 이행: 학술지를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57 (57): 72-109, 2014

      45 홍원식, "동아시아 담론의 어제와 오늘" 예문동양사상연구원 14 : 2006

      46 한기형, "동아시아 담론과 민족주의 신채호의 논의와 관련하여" 한국사학사학회 (3) : 255-280, 2001

      47 이동연, "동아시아 담론 형성의 갈래들 비판적 검토" 문화과학사 51 : 2007

      48 이삼성,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성격에 관한 일고: '대분단체제'로 본 동아시아" 극동문제연구소 22 (22): 41-83, 2006

      49 장인성, "동아시아 국제사회와 동아시아 상상" 서울대 출판문화원 2017

      50 장인성, "동아시아 국제사회론을 찾아서: 방법론적 성찰" 국제문제연구소 29 (29): 2008

      51 하영선, "동아시아 공동체: 신화와 현실" EAI 2008

      52 박승우,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 리뷰"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1 (1): 2011

      53 고야스 노부쿠니, "동아 대동아 동아시아: 근대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역사비평사 2003

      54 전재성, "동북아의 불완전한 주권국가들과 복합적 무정부상태" 국제문제연구소 26 : 2017

      55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4 (14): 106-145, 2006

      56 이와사키 미노루 ; 정지영 ; 이타가키류타, "기억으로 동아시아 생각하기―‘동아시아 기억의 장’ 탐색" 역사문제연구소 (102) : 285-311, 2013

      57 미야지마 히로시,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58 강상중, "공간: 아시아를 묻는다" 한울 2007

      59 강상중, "공간: 아시아를 묻는다" 한울 2007

      60 김성환, "華夷 너머의 相生 - 中華 관념이 해체된 동아시아는 가능한가?" 중국학연구소 (28) : 253-287, 2010

      61 김승욱, "“동아시아사”의 공간적 맥락-교과서 서술과 관련하여-" 한국중국학회 (67) : 183-213, 2013

      62 이우창, "‘서구 근대’의 위기와 한국 동아시아 담론의 기이한 여정 민족문학론에서 반민주주의론까지, 1989-2017" 인문학연구소 83 : 58-116, 2017

      63 조은, "‘동아시아 가족’이 있는가?" 문학과지성사 2000

      64 Bull, Hedley, "The Anarchial Society: A Study of Order in World Politics" Columbia University 1977

      65 Hagström, Linus, "Narrative Power: how storytelling shpaes East Asian international politics" 32 (32):

      66 Foucault, Michel, "Language, Counter-Memory, Practice: Selected Essays and Interviews" Cornell Univeristy Press 1977

      67 Wight, Martin, "International Theory: The Tree Traditions" Holmes & Meier 1992

      68 Lee, Sungsi, "How Shall We Study East Asia?" Jimoondang 2017

      69 Buzan, Barry, "From International Society to World Society?: English School Theory and the Social Structure of Glob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70 Sawayanagi, Masataro, "Asianism" 10 (10): 1921

      71 Amsden, Alice, "Asia's next giant :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1989

      72 정종현, "'동아시아' 담론의 문제와 가능성-30년대 '동양'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9 : 39-69,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7 0.93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