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관세와 통상 분야에서 시작되어 최근 기술 경쟁으로 진화되고 있는 미중 전략경쟁을 중국의 입장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2001년 WTO 가입을 통해 중국은 미국 주도의 자유무역 질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관세와 통상 분야에서 시작되어 최근 기술 경쟁으로 진화되고 있는 미중 전략경쟁을 중국의 입장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2001년 WTO 가입을 통해 중국은 미국 주도의 자유무역 질서...
본 논문은 관세와 통상 분야에서 시작되어 최근 기술 경쟁으로 진화되고 있는 미중 전략경쟁을 중국의 입장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2001년 WTO 가입을 통해 중국은 미국 주도의 자유무역 질서의 일원으로 편입되었다. 2001년을 기점으로 GDP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율은물론이고, 대외 수출량, 대미 무역 흑자액 등이 급증하면서 대외 무역이 중국 경제 발전에서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무역을 통해 세계의 공장으로 그 위치를 확고히 했던 중국의 입장에서도 말 못 할 고민이 있었다. 개혁 개방 초기 기술 및 외환 부족 해결을 위해 시장을 매개로 기술을 교환하는 시장환기술(“以市场换技术”) 정책을 통해 대량의 외국인직접 투자(FDI)가 유입되었고, 중국의 무역 수출에서 외자 기업은 매우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은 중국판 “라틴아메리카화”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국내적으로는 자주창신을강조하는 산업정책을, 대외적으로는 “공격적인 법리주의 전략”을 통한 통상정책을 채택하였다. 중국은 자국 경제의 대외 의존이라는 취약성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산업정책과 통상정책을 결합한 전략을 구사했으나, 이는 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이자 패권국인 미국에 위협을 가하는 안보딜레마 상황을 만들어 냈다. 결국 중국의 산업정책과 통상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은 관세 전쟁을 개시했고, 이후 중국의 취약성이 더욱 높은 기술 분야로 전장을 이동시키고 있다. 미중 양국은 통상 및 기술 영역으로 전장을 이동하며 비전통 안보 영역에서 “군비경쟁(arms race)”를 진행하고 있는데, 미국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은 국가자본주의에서 당-정 자본주의(party-state capitalism)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재철, "현대 중국외교의 네트워킹 전략 연구: 집합, 위치, 설계 권력을 중심으로" 대외경제경책연구원 2019
2 장재은, "트럼프 ‘중국이 세계장악 원한다’ 중국제조2025 지목" 매일경제
3 우은식, "트럼프 WTO 흔들기 성공?… 美 거부권 행사로 항소기구 붕괴위기" NEW SIS
4 조철, "최근 중국 산업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 산업연구원 2019
5 베리 노튼, "중국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명인문화사 2021
6 박홍서, "중국의 기술 굴기와 미국의 대응 : 중국의 대미 취약성과 그 함의" 중국연구소 79 : 383-401, 2019
7 권홍매, "중국의 3대 무역 파트너 국가: 미국, 일본, 한국" KOTRA 해외시장뉴스
8 은종학, "중국과 혁신: 맥락과 구조, 이론과 정책 함의" 한울아카데미 2021
9 안치영, "중국공산당은 왜 권력을 다시 집중하는 것일까"
10 김윤희, "중국 외상투자 산업지도 목록 개정의 영향과 전망" 2007
1 허재철, "현대 중국외교의 네트워킹 전략 연구: 집합, 위치, 설계 권력을 중심으로" 대외경제경책연구원 2019
2 장재은, "트럼프 ‘중국이 세계장악 원한다’ 중국제조2025 지목" 매일경제
3 우은식, "트럼프 WTO 흔들기 성공?… 美 거부권 행사로 항소기구 붕괴위기" NEW SIS
4 조철, "최근 중국 산업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 산업연구원 2019
5 베리 노튼, "중국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명인문화사 2021
6 박홍서, "중국의 기술 굴기와 미국의 대응 : 중국의 대미 취약성과 그 함의" 중국연구소 79 : 383-401, 2019
7 권홍매, "중국의 3대 무역 파트너 국가: 미국, 일본, 한국" KOTRA 해외시장뉴스
8 은종학, "중국과 혁신: 맥락과 구조, 이론과 정책 함의" 한울아카데미 2021
9 안치영, "중국공산당은 왜 권력을 다시 집중하는 것일까"
10 김윤희, "중국 외상투자 산업지도 목록 개정의 영향과 전망" 2007
11 김용신, "중국 당-정 국가의 산업 부문 통제 기제 변화:계획과 시장의 중층적 배태" 아태지역연구센터 44 (44): 7-34, 2020
12 산업연구원, "중국 10대산업 진흥 계획과 우리 경제에 대한 시사점"
13 강지연, "제조강국으로 도약하는 중국"
14 연선옥, "볼보・벤츠・르노까지… 국내 車 시장에도 中 ‘지리 천하" 조선일보
15 지만수, "미중 무역분쟁과 한국의 대응" 2019
16 최병일, "미중 기술 패권경쟁의 위협과 기회, 제9회 Global Strategy Report 미중 기술, 경제패권 경쟁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2021-04"
17 조현숙, "마스크 최대생산 3M 두고도 품귀…제조강국 美 민낯 드러났다" 중앙일보
18 이승주, "경제·안보 넥서스(nexus)와 미중 전략 경쟁의 진화" 한국국제정치학회 61 (61): 121-156, 2021
19 오진우, "美. 중국산 마스크 등 100여개 의료용품 관세 면제" 연합인포맥스
20 뉴시스, "美, ‘관세폭탄’에도 작년 대중 무역적자 473조 원… 사상 최대" KITA 무역뉴스
21 北京大学国际战略研究院课题组, "技术领域的中美战略竞争:分析与展望" (123) : 2022
22 路风, "发展我国自主知识产权汽车工业的政策选择" 北京大学出版社 2005
23 조상홍, "中 ‘외상투자법’실행 후 외국인투자관리제도의 변화" KOTRA 해외시장뉴스
24 뉴시스, "“중국이 승리했다”…RCEP로 아・태 경제 주도권 잡은 중국" KITA 무역뉴스
25 최지선, "’中, 첨단산업 육성 ‘중국제조 2025’ 포기’… 무역협상 타결위해 美에 유화 제스처" 동아일보
26 김문성, "‘2차 무역전쟁’ 일어날까…미중 분쟁, 한국에도 ‘불똥’ 촉각" 연합뉴스
27 Farrel, Henry, "Weaponized Interdependence: How Global Economic Networks Shape State Coercion" 44 (44): 42-79, 2019
28 Li, Xiaojun, "Understanding China’s Behavioral Change in the WTO Dispute Settlement System" 52 : 1111-1137, 2012
29 USTR, "U.S. Trade Representative and the U.S. Department of Treasury respond to the “White Paper” issued by China on June 2, 2019"
30 Trump, Donald J., "Trump: The Art of the Deal" Ballantine Books 2015
31 Reuters, "Treasury Chief Mnuchin Slams Report that Trump Wants to Exit WTO" Reuters
32 Palimbo, Daniele, "Trade War: US-China Trade Battle in Charts" BBC News
33 Kim, Yongshin, "Thirty Years of China-U.S. Relations: Analytical Approaches and Contemporary Issues" Rowman and Littlefield-Lexington 19-35, 2010
34 CIA, "The World Factbook"
35 "The World Bank Data"
36 Drazner, Daniel W., "The Uses and Abuses of Weaponized Interdependenc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21
37 Gilboy, George J., "The Latin Americanization of China?" 103 : 256-261, 2004
38 Wu, Yiyun, "The Determinants and Effectiveness of Industrial Policy in China: A Study based on Five-Year Plans" 53 : 225-242, 2019
39 Haley, Usha C. V., "Subsidies to Chinese Industry: State Capitalism, Business Strategy, and Trade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0 김용신, "Rapid Growth Outside of Policy Intention : Market Transition, Industrial Policy, and the Rise of China’s Auto Industry" 한국정치학회 55 (55): 5-33, 2021
41 Pearson, Margaret, "Party-State Capitalism in China" 120 (120): 207-213, 2021
42 김유철 ; 김용신, "Institutional Origins of the US–China Trade War: The Concurrence of America's Limited Legal Leverage and China's Overproduction" 국제관계연구소 34 (34): 345-375, 2019
43 Feng, Kaidong, "Innov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 China: A Schumpeterian Perspective on China’s Economic Transformation" Routledge 2019
44 Eric Thun, "Industrial Policy, Chinese-Style: FDI, Regulation, and Dreams of National Champions in the Auto Sector" 동아시아연구원 4 (4): 453-490, 2004
45 USTR,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into China’s Acts, Policies, and Practices related to Technology Transfer, Intellectual Property, and Innovation under Section 301 of the Trade Act of 1974"
46 White House, "Economic Report of the President: Together with The Annual Report of the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47 WTO, "Disputes by Member"
48 Kroeber, Arthur, "China’s Economy: What Everyone Needs to Know"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9 Chen, Ling, "An Institutionalized Policy-Making Mechanism: China’s Return to Techno-Industrial Policy" 45 : 2138-2152, 2016
50 김용신, "1972년 中美 화해에 대한 “소련위협원인론”의 재고찰: 미-중-소 전략적 삼각관계 하의 중국 외교" 아태지역연구센터 42 (42): 7-52, 2019
아태 지역의 석유시장과 가스시장이 러시아의 에너지 전략에서 차지하는 위상의 변화
미국 트럼프정부와 바이든정부의 대중국 무역정책 비교: 왜 유사한 보호무역정책을 펴고 있을까?
중일 대륙붕 경계획정의 정치적 함의: 춘샤오/시라카바 석유가스전 공동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론의 변용(變容)과 지적 계보의 재조명: 학제간 논쟁의 유형과 궤적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57 | 0.933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