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예비군 병사 진급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onReserveForcesPrivatePromotion System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37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world security environment is that tendency of intimidation on national security is getting various and complicated. Especially after 9.11 terror, the possibility of an all out war between countries is decreased but super-national and non-nat...

      Nowadays world security environment is that tendency of intimidation on national security is getting various and complicated. Especially after 9.11 terror, the possibility of an all out war between countries is decreased but super-national and non-national intimidation (ex. Terror, Spread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s increasing. On such a security environment, each country continues to endeavor to maximize the profit of their countries and they pursue the benefit for safety and peace of international society with strategic alliance and restraint each other. Moreover aspect of world’s future war will be a total war mobilized whole resources of the country. Therefore efficient use of the reserve forces will be an important factor that governs the national security. Accordingly today, advanced nations use important forces for the standing army to make use of defensive resources efficiently and also they augment weight of reserve forces gradually. Korea is building up the reserve forces by project named [National Defense Renovation 2020] as trend of world’s security environment too. In other word, they make the reserve forces strong by development of mobilization system and institution and they complement the law, system and organization to be able to guarantee the capability of reserve forces in case of emergency.
      In this side suggestion, of scheme of promotion system for reserve forces has very important meaning to make the reserve forces stronger as the object of national defense renovation. Historically, the nation had the promotion and promotion system to secure many elite director and smooth command system for using loyal troops, special commissioned officer, Hoguggoon(Nation defense forces), and commissioned officer in fieldand also, US and Israel advanced countries for reserve forces give the opportunity of promotion in proportion as a soldier in active service to reserve officer, noncommissioned officer, and private all. However, currently Korean reserve force’s promotion is restricted to some officer and noncommissioned officer but no private rank. The main problem attendant up on this situation is that difficulty of lower command system for reserve force caused of mobilized private substitution for insufficiency of qualified platoon leader of homeland defense and mobilized squad leader. Now the ratio of private for platoon leader of homeland defense is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 but usually, it is about 15%~60%. This designation rate is caused by difference of available resources of the city and farm area and, in peacetime there is difficulty on use the company of reserve forces during the training of homeland defense tactical plan and also when they are mobilized for homeland defense in wartime, they have a lot of restraint to command 30~50 soldiers as the first class director with received instruction from the company commander of reserve force. The appointment rate of private is about 90%~100% but the designation ratio of mobilized squad leader i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 The reason why the proportion comes like above is that the almost noncommissioned officers appointed as a staff sergeant are transferred as a sergeant first class, so there is not the squad leader of a staff sergeant rank and the person designated noncommissioned officer is a little as need of the squad leader. For that reason, in wartime squad leader mobilized to active service unit is restricted to command 10 squad members with the received instruction from a platoon leader. Of course, we can consider that the private mobilized commander can be very nice to command his party with talent and good leadership, but if the country promote him and give the authority through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mend, they will be able to settle an efficient command system of the reserve forces.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country applies the current promotion regime restricted to the reserve officer and noncommissioned officer rank to mobilized private rank, so then they settle the difficulty of lower command system. Moreover, they supply the lack of need of squad leaders in wartime, so they need to suggestion of development plane to secure the elite commander. The first of the solution is improvement of the current system of promotion honors, for the second betterment of promotion system of reserve officer. In other words, country applies the honor promotion system for some field grade officer and the reserve officer promotion for some sergeant first class or over and under a major to private rank too. The procedure of selection is a plane that selects person who pass the regular physical examination and complete the regular course from qualified elite finally, then the chief of the general of the each military authorities appoint the private and promote to one rank higher.
      The expectable effect due to this plan is that, the first, in peacetime and wartime, the command system is improved by supply the elite person for insufficient first class commander second, making the reserve forces stronger as trend of national defense renovation third, increasing the volition of duty through the inspiring the morale of the soldiers in active service and reserve forces by promotion.
      At the result if country select talented reserve forces and systemize this plan well without extra training of new sources, by extra budget and effort for securing a lot of first class commander for reserve military forces organization, in anytime they can establish the smooth and efficient command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세계 안보환경은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의 성격이 다양·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9·11테러 이후 국가 간 전면전의 가능성은 줄었으나 테러, 대량살상무기 확산 등 초국가적·비국가적 �...

      오늘날 세계 안보환경은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의 성격이 다양·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9·11테러 이후 국가 간 전면전의 가능성은 줄었으나 테러, 대량살상무기 확산 등 초국가적·비국가적 위협이 증대되는 양상으로 그 특징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안보환경 속에서 각국은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고자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서 전략적인 연제와 견제를 병행하며 실리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세계의 장차전 양상은 국가의 모든 자원이 동원되는 국가 총력전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예비전력의 효율적인 운용은 국가 안보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선진 각국은 국방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상비전력은 긴요전력 위주로 운용하면서, 예비전력의 비중을 점차 늘려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세계안보 환경 추세에 맞게 『국방개혁 2020』을 통한 예비전력 분야를 강화 하고 있다. 즉, 동원체계와 동원제도의 발전을 통해 예비군을 정예화하고 유사시 그 역량을 보장할 수 있도록 법·제도·조직을 보완하고 훈련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예비군의 진급제도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 역시 국방개혁 추진방향에 맞는 예비군을 정예화 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역사적으로 의병, 특별임관 장교, 호국군, 현지임관 장교의 운용에 있어, 국가는 원활한 지휘체계와 유능한 다수의 지휘자를 확보하기 위해 진급 및 계급제도를 두었다. 또한 예비전력의 선진국인 미국과 이스라엘은 예비역 장교, 부사관, 병사출신 모든 계급에 현역에 준한 진급의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우리나라 예비군 진급은 일부 장교 및 부사관 계급에만 한정되어 있고 병사계급은 적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른 주된 문제점은 전시 자격요건을 갖춘 초급지휘자인 향방소대장과 동원분대장의 부족소요를 병사로 동원지정 충원함으로 인한 예비군 하부 지휘체계의 어려움이다. 현재 향방소대장의 병사 지정율은 지역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약 15~60%가 보직되어 있다. 이는 도시와 농촌 지역의 가용자원에 따라 지정율이 상이한 것으로 평시 예비군 중대에서 향방작계훈련간 운용적인면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전시 그들이 향방동원 되었을 시 초급지휘자로서 예비군중대장의 지시를 받아 약 30~50명 되는 병력을 지휘하는 데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동원분대장 또한 지역에 따라 다소 상이 하겠지만 병사 지정율은 약 90~100%이다. 그 이유는 하사로 임관한 부사관들 대부분이 중사로 전역하여 하사급 분대장이 거의 없다는 것과 분대장 소요만큼 부사관 임관자가 적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시 병력동원되어 현역 부대로 동원된 분대장은 소대장의 지시를 받아 분대원 10명을 지휘하는 것에는 많은 제한이 있다. 물론 병사로 지정된 지휘자가 유능하고 리더십이 강해 훌륭하게 제대를 지휘 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그를 국가가 소정의 보수교육을 통해 진급시켜 그 권한을 부여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예비군 지휘체계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현행 예비역 장교 및 부사관 계급에만 한정되어 있는 진급제도를 병사출신 계급에도 적용하여, 예비군 하부 지휘체계의 어려움을 해소 하고 전시 부족소요를 충당하여 능력 있는 지휘자를 다수 확보하기 위한 발전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그 방안의 첫 번째는 현행 실시되고 있는 명예 진급제도 개선, 두 번째는 예비역 간부 진급제도 개선이다. 즉, 일부 영관급 장교를 대상으로 실시 중인 명예진급 제도와, 중사 이상 소령이하 실시중인 예비역 간부 진급제도를 병사 계급에도 적용하는 것이다. 그 선발절차는 자격요건을 갖춘 우수한 인원을 진급 심의와 규정된 신체검사 및 소정의 보수교육을 이수한 대상자를 최종 선발하여 각 군 참모총장이 임명장을 부여함과 동시에 일계급 진급시키는 방안이다.
      그로인한 기대 효과는 첫째 전·평시 부족한 초급 지휘자를 능력있는 자로 다수 충원하여 지휘체계가 개선되는 것, 두 번째 국방개혁 추진방향에 맞는 예비군이 정예화 되는 것, 세 번째 진급을 통한 현역병사 및 예비군 사기를 고양시켜 근무의욕을 증진시키는 활력소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예비군부대의 초급 지휘자를 다수 확보하는데 별도의 예산과 노력을 통해 새로운 자원을 양성하지 않고도, 우수한 예비군을 선발하여 이를 잘 제도화 한다면 전·평시 원활하고 효율적인 지휘체계를 확립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3
      • 제2장 시대적 요구에 맞는 예비군의 변화 = 4
      • 제1절 전략 환경의 변화와 국방개혁 = 4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3
      • 제2장 시대적 요구에 맞는 예비군의 변화 = 4
      • 제1절 전략 환경의 변화와 국방개혁 = 4
      • 1.전략 환경의 변화 = 4
      • 2.국방개혁 추진방향 = 7
      • 제2절 시대적 요구에 맞는 예비군 역할 정립 = 8
      • 1.우리나라 예비군 제도 = 8
      • 2.외국의 예비군 제도 = 14
      • 3.새로운 예비군 역할 정립 = 16
      • 제3절 진급제도를 통한 예비군 정예화 = 19
      • 1.진급의 중요성 = 19
      • 2.역사적 사례를 통한 진급제도의 필요성 = 22
      • 3.진급제도가 주는 시사점 = 29
      • 제3장 예비군 진급제도 실태 = 30
      • 제1절 우리나라 예비군 진급제도 = 30
      • 1.간부 진급제도 = 30
      • 2.병사 진급제도 = 32
      • 3.소결론 = 33
      • 제2절 외국의 예비군 진급제도 = 34
      • 1.미국 = 34
      • 2.이스라엘 = 36
      • 3.소결론 = 40
      • 제3절 예비군부대 지휘자 = 41
      • 1.향방소대장 = 41
      • 2.동원분대장 = 44
      • 3.소결론 = 46
      • 제4장 예비군 병사 진급제도 발전방안 = 49
      • 제1절 진급제도의 필요성 = 49
      • 제2절 진급제도 개선시 고려사항 = 50
      • 제3절 명예 진급제도 개선 = 51
      • 제4절 예비역 간부 진급제도 개선 = 53
      • 제5절 진급자 관리 및 운영 = 56
      • 제5장 결론 = 59
      • ABSTRACT = 61
      • 참고문헌 =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