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려 <귀호곡>과 종묘제례악 <형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Gwihogok in Goryeo Dynasty and Hyungga in Jongmyojerye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14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wihogok(歸乎曲) is one of Korea old traditional song(Gayo, 歌謠) which might be composed in Goryeo Dynasty. Its lyric and music have been written in Akjanggasa(『樂章歌詞』), Akhakpyungo(『樂學便考』) and Siyonghyang-akbo(『時用...

      Gwihogok(歸乎曲) is one of Korea old traditional song(Gayo, 歌謠) which might be composed in Goryeo Dynasty. Its lyric and music have been written in Akjanggasa(『樂章歌詞』), Akhakpyungo(『樂學便考』) and Siyonghyang-akbo(『時用鄕樂譜』). This music must be handed down to some musics in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studied how Gwihogok is transmitted into Joseon music, especially in Jongmyojeryeak(宗廟祭禮樂) through the comparison music of Kwihogok with those of Hyungkwang(King Sejong in Joseon) and Hyungga(King Sejo) in Jongmyojeryeak(Botaepyung). This Hyungga is passed down and performed until now. Hyunggwang was played as one of Hoyryeak which was played as ritual music when Executives gathered altogether in palace. Hyungga, which was composed in King Sejo by extracting the melody from Gwihogok and adding new lyrics on it, was played in Jongmyojerye. Hyungga is handed down as written in music score of Daeakhubo, Sogakwonbo, Siyongmubo and Akjangyoram. Similarly, It is found that Yunghwa, Youngkwan, Hyukjung and Chongyu are excerpted from Pungipsong, Seokyungbyulgok, Manjeonchun and Chongsanbyulgok, respectively in part or all. From this research it is proved the origin of Hyungga from Gwihogok(Gasir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귀호곡(歸乎曲)>은 고려시대 작자 미상의 가요로 『악장가사(樂章歌詞)』, 『악학편고(樂學便考)』에는 가사가 전해져 오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는 가사와 악보가 전해져 내...

      <귀호곡(歸乎曲)>은 고려시대 작자 미상의 가요로 『악장가사(樂章歌詞)』, 『악학편고(樂學便考)』에는 가사가 전해져 오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는 가사와 악보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 글은 고려 <귀호곡>과 조선 세종 때의 <형광>, 세조이후 현재까지의 내려오는 종묘제례악 <보태평>중 <형가>와의 비교를 통하여 고려 <귀호곡>의 선율이 현재까지 어떻게 전승되는지를 밝힌 논문이다.
      조선 세종 때의 <형광>은 고려 때 <귀호곡>의 선율을 그대로 발췌하여 종묘와 조회에 사용하였고, 세조 때의 <형가> 역시 세종 때 <형광>의 일부 선율을 발췌한 곡이다. 고려의 <귀호곡>과 세종 때의 <형광>이 관련이 있고, 세종 때의 <형광>이 세조 때의 <형가>와 관련이 있다면, 고려의 <귀호곡> 역시 세조이후 현재에도 연주되고 있는 종묘제례악 중의 <형가>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형가>가 수록된 세조실록악보, 대악후보, 속악원보 인편과 신편, 시용무보, 악장요람, 종묘제례악(이왕직아악부, 현행) 악보와 고려의 <귀호곡>을 비교분석하여 고려의 <귀호곡>의 선율이 현재에도 남아서 종묘제례악 중의 <형가>에 전승되어 연주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선, "<가시리>의 編詞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학회 (41) : 231-256, 2010

      2 이소라, "형가·집녕·용광과 그 관련곡: 世祖實錄樂譜 및 時用鄕樂譜·琴合字譜·大樂後譜를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3 전통음악연구회, "한국음악 제2집" 세신문화사 1981

      4 장사훈, "풍입송, In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5 장사훈, "증보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1994

      6 문숙희, "종묘제례악의 원형과 복원" 學古房 2011

      7 국립국악원, "종묘제례악, In 국악전집 제8집" 1980

      8 이종숙, "종묘제례악 일무의 왜곡과 실제" 민속원 2012

      9 병와 이형상, "악학편고" 형설출판사 1976

      10 국립국악원, "악장요람" 2004

      1 이정선, "<가시리>의 編詞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학회 (41) : 231-256, 2010

      2 이소라, "형가·집녕·용광과 그 관련곡: 世祖實錄樂譜 및 時用鄕樂譜·琴合字譜·大樂後譜를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3 전통음악연구회, "한국음악 제2집" 세신문화사 1981

      4 장사훈, "풍입송, In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5 장사훈, "증보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1994

      6 문숙희, "종묘제례악의 원형과 복원" 學古房 2011

      7 국립국악원, "종묘제례악, In 국악전집 제8집" 1980

      8 이종숙, "종묘제례악 일무의 왜곡과 실제" 민속원 2012

      9 병와 이형상, "악학편고" 형설출판사 1976

      10 국립국악원, "악장요람" 2004

      11 "악장가사"

      12 국립국악원, "시용향악보" 1979

      13 김룡, "시용무보의 편찬연대와 시용무보 속에 나타난 술어 구성체제의 특징" 한국음악사학회 1998

      14 국립국악원, "시용무보" 1981

      15 국립국악원, "속악원보" 1983

      16 이혜구, "세종장헌대왕실록 22, 2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17 "세종실록"

      18 "보태화지악"

      19 이왕직아악부, "보태화지악"

      20 장사훈, "만전춘형식고, In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21 국립국악원, "대악후보" 1979

      22 이유원, "국역임하필기" 민족문화추진회 2000

      23 권대영, "고추이야기" 효일 2011

      24 차주환, "고려사악지" 을유문화사 1982

      25 정경란, "고려 청산별곡(靑山別曲)의 현대적 습용(襲用)" 고조선단군학회 26 (26): 383-456, 2012

      26 정경란, "고려 야심사의 조선 종묘제례악 전승"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27 강대구, "가시리연구" 청람어문학회 1995

      28 정혜원, "가시리소고, In 한국 고전시가의 내면미학" 신구문화사 2001

      29 남상숙, "宗廟祭禮樂譜 考察" 한국음악사학회 (31) : 5-38, 2003

      30 朴判洙, "『時用鄕樂譜』소재 <三城大王>과 <儺禮歌>선율 연구 : <翰林別曲>과의 비교에 기하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9 1.00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