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행정기관, 기업체, 기관조직 등과 같은 단체 및 조직들이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단순한 업무의 한계를 뛰어넘어 과학적이고 체 계적인 조직적 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216659
완주 :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 태권도학과 스포츠·태권도 , 2025. 2
2025
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viii, 101 ; 26 cm
지도교수: 신상민
I804:45017-20000084079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서 행정기관, 기업체, 기관조직 등과 같은 단체 및 조직들이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단순한 업무의 한계를 뛰어넘어 과학적이고 체 계적인 조직적 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행...
현대사회에서 행정기관, 기업체, 기관조직 등과 같은 단체 및 조직들이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단순한 업무의 한계를 뛰어넘어 과학적이고 체
계적인 조직적 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행정 및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
임이 필요하게 되었다. 스포츠조직은 일반 사회조직과 마찬가지로 스포
츠 활동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구조화 과정으로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 스포츠기능의 다원화 및 스포츠행정 조직의 전문화 등이 요구되
고 있으며, 사회적, 시대적 변화에 적절히 대처해나가는 형태의 행정체제
를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위한 방법으
로 최근 멘토링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행정조직 구성원
의 멘토링 기능이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
문화와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와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 스
포츠행정조직 구성원이 속해 있는 조직의 직무여건을 높여 질적 개선하
는데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스포츠행정조직 구성원의 멘토링 기능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멘토링 기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행정조직 구성원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향관계를 파악
하고 스포츠행정조직 구성원의 멘토링 기능,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성
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스포츠행정조직 구성원의 멘토링 기능과 조직
문화,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스포츠행정조직의 발
전과 구성원의 처우개선,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스포츠행정조직에 근무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중국
호북성, 광둥성, 하남성, 산시성, 료녕성 5개 성별 70명씩 총 350명을 대
상으로 28부를 제외하고 최종 322부가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SPSS 28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
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멘토링기능 하위요인 역할모형기능, 심리사회적기능이 개발문화와 집단
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개발기능은 유의
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기능 하위요인 역할모형
기능이 집단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사회
적기능과 경력개발기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기능 하위요인 심리사회적기능이 집단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개발기능과 역할모형기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기능 하위요인 역할모형기능
과 사회심리사회적기능이 정서적몰입과 지속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개발기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멘토링기능 하위요인 사회심리사회적기능이 규범적몰입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개발기능과 역할모형
기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 하
위요인 합리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가 정서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문화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하위요인 개발문화와 합리문화가 규범적몰입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문화와 위계문화는 유의한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하위요인 개발문화, 합리문
화, 집단문화가 지속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문화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문화
하위요인 합리문화과 개발문화가 과업성과와 맥락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문화와 위계문화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문화 하위요인 정서적몰입과 규범
적몰입이 과업성과과 맥락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지속적몰입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멘토는 멘티가 스포츠행정조직 구성원으로서 심리적으로 안녕
감을 느낄 수 있게 도와주고 업무 외 관계에서도 호의적인 상호관계를
형성해야 할 것이며, 스포츠행정조직은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을 통해
불평불만을 최소화하여 멘토와 멘티간에 우호적인 관계가 형성될 수 있
도록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은 단기간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랜 시간 조직 구성원과의 상
호작용 속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장기적 관점에서의 전략 수립이 요구되
며,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을 함양시키
기 위해 시의성이 있는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고, 나아가서는 취득한 자
격증을 활용해 스포츠행정조직의 경영성과에 공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에 따른 긍정적 성과가 나타나게 되면 직원이 만족할만한 보상을 함으
로써 직원들이 자율적으로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스포츠행정조직의 조직에 대한 몰입을 높이는 것이 직무성과 제
고로 이어지므로, 조직 구성원의 신의를 바탕으로 한 조직몰입이 직무성
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전략적 방안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society,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such as administrative agencies, corporations, and institutional organizations need scientific and systematic organizational planning beyond the limits of simple tasks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a ...
In modern society,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such as administrative agencies, corporations, and institutional organizations need scientific and systematic organizational planning beyond the limits of simple tasks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a new paradigm of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is needed. Sports organizations, like general social organizations, are a process of structuring interactions that appear in sports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common goals, diversification of sports functions and specialization of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are required. As the need for an administrative system that appropriately copes with social and temporal changes arises, mentoring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achieve these goal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f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members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organization to which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members bel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f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members on organization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memb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performance,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members' mentoring functio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improvement of treatment of members, and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research on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members' mentoring functio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0 members of the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including 70 members of five genders in Hubei Province, Guangdong Province, Henan Province, Shaanxi Province, and Liaoning Province, China. SPSS 28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ole model function and psychosocial fun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entoring fun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but career development fun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Role model function, a sub-factor of mentoring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ulture, while psychosocial function and career development function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Psychosocial function, a sub-factor of mentoring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ulture, while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role model function and social psychosocial fun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entoring fun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but career development fun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ocial psychosocial function, a sub-factor of mentoring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ormative commitment, while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ird, ration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but group culture has no significant effect.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ormative commitment, while group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development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group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ous commitment, but hierarchical cultur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Fourth,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while group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Fifth, emotional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but continuous commi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the mentor should help the mentee to feel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member of the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nd form a favorable mutual relationship in the non-work relationship. The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should minimize the complaints by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members, It is considered that the direction should be sought so that a friendly relationship can be formed.,In addition, since it is not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in the long term because it is formed in the interaction with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fulfill the ability of the employees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voluntarily, And to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be immersed in the organization.,Increasing th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of the sports administration organization leads to the improvement of the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trategic measur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trust of the organization membe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