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도권 내 미래형 대안교육의 방향성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Future Alternative Education within Public Educ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35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alternative education existing within the territory of public education system, wherein the role of alternative education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service to public educati...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alternative education existing within the territory of public education system, wherein the role of alternative education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service to public education. Based on the ques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education’s leading the innovation of public education system by providing the direction of future alternative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some of the examples of alternative schools are visited such as the Met School, Alt School, and Chungbuk Future alternative education model. Draw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es, the direction of future alternative educatio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model of futuristic alternative education is expected to not only focus on students‘ maladaptation, but need to be expanded in a direction that leads future experiments in education. Second, the model of future-oriented alternative education needs to put greater amount of emphasis on 'student-centered' curriculum reflecting the divers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learners. Third, the model of future-oriented alternative education is required to establish curriculum that is oriented to real life and local commun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advanced technology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imes. Although the educational ideologies and philosophies of public education and alternative education may vary by the spirit of the times, the ultimate goal is the same. What is desired of an alternative education is to move beyond qualitative change in public education to the innovation of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도권 내에서 이루어지는 대안교육이 공교육의 대항 주체로서의 역할에 주력하고 있는 현 단계의 제도권 내 대안교육의 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 터해 진행되었다. 이를 바탕으...

      본 연구는 제도권 내에서 이루어지는 대안교육이 공교육의 대항 주체로서의 역할에 주력하고 있는 현 단계의 제도권 내 대안교육의 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 터해 진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형 대안교육의 방향성을 수립함으로써 제도권 내의 대안교육이 공교육의 혁신을 주도하는 대안적 교육체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래형 대안교육의 우수사례로 메트스쿨, 알트스쿨, 충북미래형 대안교육 모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래형 대안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형 대안교육의 모델은 학생의 부적응에만 초점을 두는 ‘대상’ 중심의 대안교육에서 벗어나 근대학교의 한계를 넘어설 교육의 미래적 실험을 선도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미래형 대안교육의 모델은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학생 맞춤’ 교육과정을 보다 더 강조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미래형 대안교육의 모델은 지역사회와 연계한 실생활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미래형 대안교육의 모델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 형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공교육과 대안교육의 교육이념과 철학이 시대정신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대안교육이 기존 학교교육의 질적 변화를 거쳐 새로운 교육을 이끄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창수, "한국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서 비판교육학 논의"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77-487, 2021

      2 박창훈, "한국 기독교 대안학교의 발전과 전망" 한국종교사회학회 8 (8): 61-90, 2020

      3 이종연, "충북형 공립 대안고등학교 설립 방안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2018

      4 김광열,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학습 환경 차이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명지대학교 2015

      5 "위키백과"

      6 신혜민,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발전가능성 탐색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경기도교육연구원, "미래학교 체제 연구: 학습자 주도성을 중심으로"

      8 김성길,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 한국미래교육학회 1 (1): 57-64, 2011

      9 부산광역시교육청, "미국 공교육 우수 개혁 모델학교 방문 보고서" 2015

      10 김원호, "마이크로스쿨, 세상을 바꿀 것인가?" 50 (50): 9-15, 2016

      1 허창수, "한국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서 비판교육학 논의"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77-487, 2021

      2 박창훈, "한국 기독교 대안학교의 발전과 전망" 한국종교사회학회 8 (8): 61-90, 2020

      3 이종연, "충북형 공립 대안고등학교 설립 방안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2018

      4 김광열,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학습 환경 차이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명지대학교 2015

      5 "위키백과"

      6 신혜민,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발전가능성 탐색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경기도교육연구원, "미래학교 체제 연구: 학습자 주도성을 중심으로"

      8 김성길,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 한국미래교육학회 1 (1): 57-64, 2011

      9 부산광역시교육청, "미국 공교육 우수 개혁 모델학교 방문 보고서" 2015

      10 김원호, "마이크로스쿨, 세상을 바꿀 것인가?" 50 (50): 9-15, 2016

      11 김혜리, "대안학교의 교육특성과 대안교육 발전방안" 성균관대학교 2017

      12 이병환, "대안교육의 실천과 모색" 학지사 2009

      13 김병길, "대안교육에 있어서 ’대안‘의 범주화" 19 : 2001

      14 손종현, "대안교육과 학교기획: 그 실험정신의 구현" 교육연구소 25 (25): 213-237, 2019

      15 심대현, "대안교육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동아대학교 2018

      16 이종태, "대안교육 이해하기" 도서출판 민들레 2007

      17 공자원, "대안교육 실시학교 교육과정 연구" (3) : 169-201, 2014

      18 백종면, "대안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2000-2016)"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 (20): 117-140, 2016

      19 송순재, "공교육과 대안학교운동" (33) : 1997

      20 김도기, "고교학점제 도입 시 수업학급 및 시수 변화에 따른 필요 교원 규모 추산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1

      21 충청북도교육청, "「2021년. 대안교육」 운영 기본 계획" 2021

      22 하태욱, "‘대안교육 제도화의 흐름과 방향’" 2018

      23 교육부, "‘21.3월 기준 대안학교 및 대안교육 특성화중고등학교 현황" 2021

      24 Martinez, "Deeper Learning: How Eight Innovative Public Schools are Transforming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New Press 2014

      25 전라북도교육청, "2021학년도 전라북도 주요업무계획" 2021

      26 전라남도교육청, "2021학년도 전라남도 주요업무계획" 2021

      27 인천광역시교육청, "2021학년도 인천광역시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28 울산광역시교육청, "2021학년도 울산광역시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29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21학년도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30 경상북도교육청, "2021학년도 경상북도 주요업무계획" 2021

      31 경상남도교육청, "2021학년도 경남 학생생활교육 기본 계획" 2021

      32 경기도교육청, "2021학년도 경기도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33 강원도교육청, "2021학년도 강원도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34 서울특별시교육청, "2021년 서울특별시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35 부산광역시교육청, "2021년 부산광역시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36 대전광역시교육청, "2021년 대전광역시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37 충청남도교육청, "2021년 대안교육 주요업무계획" 2021

      38 대구광역시교육청, "2021년 대구광역시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39 광주광역시교육청, "2021년 광주광역시교육청 주요업무계획" 2021

      40 제주도교육청, "2021 제주교육"

      41 한석만, "'대안교육'의 재개념화와 한국의 대안교육"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