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심지 급경사지에서 토석류 범람 특성 및 사방댐 기능 = Debris flow characteristics and sabo dam function in urban steep slo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98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bris flow disasters primarily occur in mountainous terrains far from cities. As such, they have been underestimated to cause relatively less damage compared with other natural disasters. However, owing to urbanization, several residential areas and major facilities have been built in mountainous regions, and the frequency of debris flow disasters is steadily increasing owing to the increase in rainfall with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s. Thus, the risk of debris flow is on the rise.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flooding and reduction measures for debris flow in areas designated as steep slope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securing independent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in South Korea and reflective of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update and improv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debris flow, depending on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argets for regions designated as steep slopes in South Korea, and develop an independent model to not only evaluate the impact of debris flow but also identify debris barriers that are optimal for mitigating damage.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two-dimensional debris flow model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debris barriers, the model’s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hydraulic model. Furthermore, a 2-D debris model was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ound the steep slopes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debris that directly reaches the damaged area.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debris delivered downstream were further analyz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height) and installation locations of the debris barriers employed to reduce the damag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is satisfactory; further, this study confirmed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of debris barriers in areas where the barriers were installed at a slope of 20° or more, which is the slope at which debris flows occur.
      번역하기

      Debris flow disasters primarily occur in mountainous terrains far from cities. As such, they have been underestimated to cause relatively less damage compared with other natural disasters. However, owing to urbanization, several residential areas and ...

      Debris flow disasters primarily occur in mountainous terrains far from cities. As such, they have been underestimated to cause relatively less damage compared with other natural disasters. However, owing to urbanization, several residential areas and major facilities have been built in mountainous regions, and the frequency of debris flow disasters is steadily increasing owing to the increase in rainfall with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s. Thus, the risk of debris flow is on the rise.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flooding and reduction measures for debris flow in areas designated as steep slope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securing independent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in South Korea and reflective of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update and improv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debris flow, depending on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argets for regions designated as steep slopes in South Korea, and develop an independent model to not only evaluate the impact of debris flow but also identify debris barriers that are optimal for mitigating damage.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two-dimensional debris flow model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debris barriers, the model’s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hydraulic model. Furthermore, a 2-D debris model was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ound the steep slopes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debris that directly reaches the damaged area.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debris delivered downstream were further analyz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height) and installation locations of the debris barriers employed to reduce the damag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is satisfactory; further, this study confirmed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of debris barriers in areas where the barriers were installed at a slope of 20° or more, which is the slope at which debris flows occu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의 토석류 재해는 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진 산지지형에서 주로 발생하여 다른 자연재해 보다 비교적 피해가 적은 재해로 저평가 되었다. 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심속 산지지형에 많은 주거지 및 주요 시설물 등이 건설되면서 많은 환경적 변화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증가로 토사재해의 발생 빈도가 꾸준히 증가 하고 있어 토석류에 대한 위험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급경사지로 지정된 지역에서 토석류 범람 특성 및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독자적인 방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와 여러 방재 정보의 업데이트 및 개량이 요구되며 우리나라 지형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독자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급경사지로 지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방재성능목표에 따른 토사 유출량을 산정하고 그에 따른 독자적인 모델을 개발하여 토석류 영향평가와 피해저감에 탁월한 사방댐의 기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사방댐 평가를 위해 개발한 2차원 토석류 모델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수리모형실험과의 비교 검증 결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로부터 모델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급경사지 주변의 지역적 특징을 고려하기 위해 평면 2차원 토석류 모델을 구축하여 직접 피해지역에 도달하는 토석류의 흐름 특성을 분석하였고, 피해저감을 위해 설치한 사방댐의 제원(높이) 및 설치장소에 따라 토석류가 하류로 전달되는 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방댐 설치장소가 토석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약 20° 이상의 지역에서는 사방댐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과거의 토석류 재해는 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진 산지지형에서 주로 발생하여 다른 자연재해 보다 비교적 피해가 적은 재해로 저평가 되었다. 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심속 산지지...

      과거의 토석류 재해는 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진 산지지형에서 주로 발생하여 다른 자연재해 보다 비교적 피해가 적은 재해로 저평가 되었다. 하지만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심속 산지지형에 많은 주거지 및 주요 시설물 등이 건설되면서 많은 환경적 변화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증가로 토사재해의 발생 빈도가 꾸준히 증가 하고 있어 토석류에 대한 위험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급경사지로 지정된 지역에서 토석류 범람 특성 및 저감대책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독자적인 방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와 여러 방재 정보의 업데이트 및 개량이 요구되며 우리나라 지형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독자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급경사지로 지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방재성능목표에 따른 토사 유출량을 산정하고 그에 따른 독자적인 모델을 개발하여 토석류 영향평가와 피해저감에 탁월한 사방댐의 기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사방댐 평가를 위해 개발한 2차원 토석류 모델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수리모형실험과의 비교 검증 결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로부터 모델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급경사지 주변의 지역적 특징을 고려하기 위해 평면 2차원 토석류 모델을 구축하여 직접 피해지역에 도달하는 토석류의 흐름 특성을 분석하였고, 피해저감을 위해 설치한 사방댐의 제원(높이) 및 설치장소에 따라 토석류가 하류로 전달되는 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방댐 설치장소가 토석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약 20° 이상의 지역에서는 사방댐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권수, "파랑 변화에 따른 동해안 맹방 해수욕장 연안 표사수지 파악" 한국해양공학회 33 (33): 564-572, 2019

      2 최신규, "슬릿트형 사방댐의 배치에 따른 토석류 흐름에 대한 영향: 축소모형실험 연구" 한국방재학회 15 (15): 223-228, 2015

      3 김연중, "가능 최대강수량에 의한 토석류 범람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48 (48): 115-126, 2015

      4 Shrestha, B. B., "Study on mitigation measures against debris flow disasters with driftwood" University of Kyoto 2009

      5 Kim, D-K.,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abo dam and application for real field by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University of Inje 2020

      6 Takahashi, T., "Stochastic model of blocking for a grid-type dam by large boulders in a debris flow" JSCE 45 : 703-708, 2001

      7 Nakagawa, H., "Sediment disasters caused by the heavy rainfall in the Camuri Grande River basin, Venezuela, 1999" Kyuto University 44 (44): 207-228, 1999

      8 Takahashi, T., "Routing debris flows with particle segregation" ASCE 118 (118): 1490-1507, 1992

      9 Honda, N., "Prediction of debris flow characteristics in mountainous torrents" ASCE 707-716, 1997

      10 Satofuka, Y., "Numerical simulation on a debris flow in a mountainous river with a sabo dam" 58 (58): 14-19, 2005

      1 김권수, "파랑 변화에 따른 동해안 맹방 해수욕장 연안 표사수지 파악" 한국해양공학회 33 (33): 564-572, 2019

      2 최신규, "슬릿트형 사방댐의 배치에 따른 토석류 흐름에 대한 영향: 축소모형실험 연구" 한국방재학회 15 (15): 223-228, 2015

      3 김연중, "가능 최대강수량에 의한 토석류 범람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48 (48): 115-126, 2015

      4 Shrestha, B. B., "Study on mitigation measures against debris flow disasters with driftwood" University of Kyoto 2009

      5 Kim, D-K.,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abo dam and application for real field by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University of Inje 2020

      6 Takahashi, T., "Stochastic model of blocking for a grid-type dam by large boulders in a debris flow" JSCE 45 : 703-708, 2001

      7 Nakagawa, H., "Sediment disasters caused by the heavy rainfall in the Camuri Grande River basin, Venezuela, 1999" Kyuto University 44 (44): 207-228, 1999

      8 Takahashi, T., "Routing debris flows with particle segregation" ASCE 118 (118): 1490-1507, 1992

      9 Honda, N., "Prediction of debris flow characteristics in mountainous torrents" ASCE 707-716, 1997

      10 Satofuka, Y., "Numerical simulation on a debris flow in a mountainous river with a sabo dam" 58 (58): 14-19, 2005

      11 National Institute for Land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NILIM), "Manual of technical standard for establishing sabo master plan for debris flow and driftwood"

      12 Takahashi, T., "Flood and sediment disasters triggered by 1999 rainfall in Venezuela; A river restoration plan for an alluvial fan" 23 (23): 65-82, 2001

      13 김승은, "FLO-2D 모형을 이용한 우면산 토석류 유동 수치모의" 대한토목학회 33 (33): 965-974, 2013

      14 Egashira, S., "Experimental study on the entrainment of bed material into debris flow" 26 (26): 645-650, 2001

      15 Osanai, N., "Design standard of control structures aginst debris flow in Japan" 5 (5): 307-314, 2010

      16 Korea Forest Service (KFS), "17yr+Vulnerability to landslides+designation+present.xlsx"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