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서지역 출토 상주(商周) 청동용기 연구 - 황하중류유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ronzewares Excavated from the Liaoxi Area in the Shang and Zhou dynasty: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ose from the Middle Stream Basin of the Yellow Riv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is bronzewares from burial sites of the Shang and Zhou dynasty period, which have been discovered in the Liaoxi area. Bronzewares are typically called “ritual bronze vessels” as they are usually used for sacrifices and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ritual vessels. During the Shang and Zhou period, bronzewares were found not just in the key regions like Anyang and Zhouyuan, but also in the surrounding areas, reflecting the local elements. In the Liaoxi area as well, quite a few bronzewares crafted either in the Zhongyuan or other regions under the impact of Zhongyuan have been unearthed. The first time that bronzewares ever appeared in the Liaoxi area was the early stage of late Shang and it was in the upper stream basin areas of the Liao River such as Tianbaotong, Xinniuboluo and Toupaizi burial sites. By contrast, most of the bronzewares from the basin of the Daxiaoling River are concentrated between late Shang and early Zhou and the first third of Western Zhou. Considering the shape and combination of the cultural artifacts from Western Zhou, they seem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Western Zhou culture, unlike those from the upper stream of the Liao River. Then, what led the bronzewares unearthed in the burial sites and tombs in the Liaoxi area to be buried in these places? Some previous literature based on various circumstances concluded that they were plundered from Yan and other vassal states. The bronzewares in the Liaoxi area, however, include not only a number of Zhongyuan bronzewares that could be explained by such conclusion, but also non- Zhongyuan bronzewares such as Toupaizi round ding and Huaerlou yan — vessels which seem to have been crafted in other regions imitating the central dynasty’s ritual bronze vessels — as well as bowl-shaped vessel from Beidong No. 2, duck-shaped zun, yan decorated with animal heads and hu with tubular ear from Machanggou, and rectangular ding from Shanwanzi. These non-Zhongyuan bronzewares suggest a possibility that at least some of them could have been made, not by master craftsmen from Zhongyuan, but by those who belonged to other culture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decisive evidence to confirm that they were crafted by artisans in the Liaoxi area. Furthermore, the bronzewares from the Liaoxi area themselves present regional differences by time. As such, it may warrant some caution in telling whether the three types of the bronzewares discussed in this study demonstrat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the bronze culture in the Liaoxi area.
      번역하기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is bronzewares from burial sites of the Shang and Zhou dynasty period, which have been discovered in the Liaoxi area. Bronzewares are typically called “ritual bronze vessels” as they are usually used for sacrifices a...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is bronzewares from burial sites of the Shang and Zhou dynasty period, which have been discovered in the Liaoxi area. Bronzewares are typically called “ritual bronze vessels” as they are usually used for sacrifices and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ritual vessels. During the Shang and Zhou period, bronzewares were found not just in the key regions like Anyang and Zhouyuan, but also in the surrounding areas, reflecting the local elements. In the Liaoxi area as well, quite a few bronzewares crafted either in the Zhongyuan or other regions under the impact of Zhongyuan have been unearthed. The first time that bronzewares ever appeared in the Liaoxi area was the early stage of late Shang and it was in the upper stream basin areas of the Liao River such as Tianbaotong, Xinniuboluo and Toupaizi burial sites. By contrast, most of the bronzewares from the basin of the Daxiaoling River are concentrated between late Shang and early Zhou and the first third of Western Zhou. Considering the shape and combination of the cultural artifacts from Western Zhou, they seem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Western Zhou culture, unlike those from the upper stream of the Liao River. Then, what led the bronzewares unearthed in the burial sites and tombs in the Liaoxi area to be buried in these places? Some previous literature based on various circumstances concluded that they were plundered from Yan and other vassal states. The bronzewares in the Liaoxi area, however, include not only a number of Zhongyuan bronzewares that could be explained by such conclusion, but also non- Zhongyuan bronzewares such as Toupaizi round ding and Huaerlou yan — vessels which seem to have been crafted in other regions imitating the central dynasty’s ritual bronze vessels — as well as bowl-shaped vessel from Beidong No. 2, duck-shaped zun, yan decorated with animal heads and hu with tubular ear from Machanggou, and rectangular ding from Shanwanzi. These non-Zhongyuan bronzewares suggest a possibility that at least some of them could have been made, not by master craftsmen from Zhongyuan, but by those who belonged to other culture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decisive evidence to confirm that they were crafted by artisans in the Liaoxi area. Furthermore, the bronzewares from the Liaoxi area themselves present regional differences by time. As such, it may warrant some caution in telling whether the three types of the bronzewares discussed in this study demonstrat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the bronze culture in the Liaoxi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상으로 하였다. 청동용기는 주로 祭祀에 사용되는 용구이고 禮器의 주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청동예기라고 불린다. 상주시기에는 안양과 주원처럼 핵심지역 이외의 주변지역에서 현지의 요소를 반영하는 청동용기가 발견되었는데, 요서지역에서도 중원에서 제작된 혹은 중원의 영향을 받아 타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청동기가 적지 않게 확인된다. 지금까지 요서지역에서 청동용기가 가장 먼저 출현한 시기는 적어도 상 후기 이른 단계로, 天寶同, 西牛 波羅와 頭牌子 窖藏坑 등 요하상류유역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다. 반면 대소릉하유역 출토 청동용기는 대부분 상말주초에서 서주 전기에 집중되어 있고, 기물의 형태와 조합으로 볼 때 요하상류와 달리 서주문화의 영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요서지역 窖藏坑과 墓에서 출토되는 청동기들은 어떤 원인으로 이곳에 매장된 것일까? 기존 연구결과처럼 여러 정황상 당시 燕과 기타 方國으로부터 약탈해 얻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요서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용기에는 위樓 甗과 같이 중앙 왕조의 청동예기를 모방하여 타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기물과 北洞 2호 출토 鉢形器, 馬廠溝 출토 鴨形尊, 獸面紋甗, 貫耳壺와山灣子 출토 方鼎 등 비중원계 청동기가 포함된다. 이 같은 청동기의 경우 적어도 일부는 중원에서 숙련된 장인이 아닌 다른 문화에 소속된 장인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요서지역의 장인에 의해 제작되었다고 단정할 만한 증거 또한 발견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요서지역 내에서도 지역별로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문에서 살펴본 세가지 유형의 청동기가 요서지역 청동문화 발전의 서로 다른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히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대상으로 하였다. 청동용기는 주로 祭祀에 사용되는 용구이고 禮器의 주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청동예기라고 불린다. 상주시기에는 안양과 주원처럼 핵심지역 이외의 주변지...

      대상으로 하였다. 청동용기는 주로 祭祀에 사용되는 용구이고 禮器의 주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청동예기라고 불린다. 상주시기에는 안양과 주원처럼 핵심지역 이외의 주변지역에서 현지의 요소를 반영하는 청동용기가 발견되었는데, 요서지역에서도 중원에서 제작된 혹은 중원의 영향을 받아 타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청동기가 적지 않게 확인된다. 지금까지 요서지역에서 청동용기가 가장 먼저 출현한 시기는 적어도 상 후기 이른 단계로, 天寶同, 西牛 波羅와 頭牌子 窖藏坑 등 요하상류유역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다. 반면 대소릉하유역 출토 청동용기는 대부분 상말주초에서 서주 전기에 집중되어 있고, 기물의 형태와 조합으로 볼 때 요하상류와 달리 서주문화의 영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요서지역 窖藏坑과 墓에서 출토되는 청동기들은 어떤 원인으로 이곳에 매장된 것일까? 기존 연구결과처럼 여러 정황상 당시 燕과 기타 方國으로부터 약탈해 얻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요서지역에서 출토된 청동용기에는 위樓 甗과 같이 중앙 왕조의 청동예기를 모방하여 타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기물과 北洞 2호 출토 鉢形器, 馬廠溝 출토 鴨形尊, 獸面紋甗, 貫耳壺와山灣子 출토 方鼎 등 비중원계 청동기가 포함된다. 이 같은 청동기의 경우 적어도 일부는 중원에서 숙련된 장인이 아닌 다른 문화에 소속된 장인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요서지역의 장인에 의해 제작되었다고 단정할 만한 증거 또한 발견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요서지역 내에서도 지역별로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문에서 살펴본 세가지 유형의 청동기가 요서지역 청동문화 발전의 서로 다른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히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吳鎭鋒, "金文人名彙編 (修訂本)" 中華書局 2006

      2 김정열,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조원진,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백산학회 (88) : 101-127, 2010

      4 이유표, "요서 출토 상말주초 족씨(族氏) 명문(銘文)에 대한 일고찰" 동북아역사재단 (63) : 125-175, 2019

      5 陝西省考古硏究所, "高家堡戈國墓" 三秦出版社 1994

      6 殷瑋璋, "靈石商墓與丙國銅器" 7 : 1990

      7 麟游縣博物館, "陝西省麟游縣出土商周靑銅器" 10 : 1990

      8 王光永, "陝西省岐山縣發現商代銅器" 12 : 1977

      9 陝西周原考古隊, "陝西扶風莊白一號西周靑銅器窖藏發掘簡報" 3 : 1978

      10 陝西省博物館, "陝西岐山賀家村西周墓葬" 1 : 1976

      1 吳鎭鋒, "金文人名彙編 (修訂本)" 中華書局 2006

      2 김정열,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조원진,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백산학회 (88) : 101-127, 2010

      4 이유표, "요서 출토 상말주초 족씨(族氏) 명문(銘文)에 대한 일고찰" 동북아역사재단 (63) : 125-175, 2019

      5 陝西省考古硏究所, "高家堡戈國墓" 三秦出版社 1994

      6 殷瑋璋, "靈石商墓與丙國銅器" 7 : 1990

      7 麟游縣博物館, "陝西省麟游縣出土商周靑銅器" 10 : 1990

      8 王光永, "陝西省岐山縣發現商代銅器" 12 : 1977

      9 陝西周原考古隊, "陝西扶風莊白一號西周靑銅器窖藏發掘簡報" 3 : 1978

      10 陝西省博物館, "陝西岐山賀家村西周墓葬" 1 : 1976

      11 陝西省考古硏究所, "陝西出土商周靑銅器(三)" 文物出版社 1980

      12 安志敏, "關于安陽後崗殉葬圓坑的說明" 1 : 1960

      13 陝西省文物管理委員會, "長安普渡村西周墓的發掘" 1 : 1957

      14 鄭紹宗, "長城地帶發現的北方式靑銅刀子及其有關問題" 4 : 1994

      15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鄭州商代銅器窖藏" 科學出版社 1999

      16 閻宏斌, "郾城縣出土一批商代靑銅器" 8 : 1987

      17 喀左縣文化館, "遼寧省喀左縣山灣子出土殷周靑銅器" 12 : 1977

      18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縣北洞村發現殷代靑銅器" 4 : 1973

      19 喀左縣文化館, "遼寧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6 : 1974

      20 遼寜義縣文物保管, "遼寜義縣發現商周銅器窖藏" 2 : 1982

      21 孫思賢, "遼寜義縣發現商周銅器窖藏" 2 : 1982

      22 遼寜省博物館文物工作隊, "遼寜朝陽縣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23 遼寜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寜喀左縣高家洞商周墓" 4 : 1998

      24 克什克騰旗文化館, "遼寜克什克騰旗天寶同發現商代銅甗" 5 : 1977

      25 劉一曼, "論安陽後崗殷墓"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26 王立新, "論克什克騰旗喜鵲溝銅鑛遺址及相關問題" 4 : 2015

      27 彭裕商, "西周靑銅器年代綜合硏究" 巴蜀書社 2003

      28 陳公柔, "西周靑銅器分期斷代硏究" 文物出版社 1999

      29 王世民, "西周靑銅器分期斷代硏究" 文物出版社 1999

      30 陳夢家, "西周銅器斷代(二)" 10 : 1955

      31 徐天進, "西周王朝的發祥之地-周原: 周原考古綜述" 科學出版社 5 : 2003

      32 郭大順, "考古學文化論集(一)" 文物出版社 1987

      33 박대재, "箕子 관련 商周靑銅器 銘文과 箕子東來說" 한국고대학회 (32) : 111-149, 2010

      34 熱河省博物館籌備組, "熱河陵源縣海島營子村發現的古代靑銅器" 8 : 1955

      35 朱幟, "河南舞陽縣陸續發現商代文物" 3 : 1987

      36 朱幟, "河南舞陽縣吳城北高遺址出土銅爵" 5 : 1984

      37 楊澍, "河南臨汝出土西周早期靑銅器" 12 : 1985

      38 王文男, "河南正阳县出土商代铜器" 12 : 1992

      39 安陽市文物工作隊, "河南安陽郭莊村北發現一座殷墓" 10 : 1991

      40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安陽工作隊, "河南安陽市殷墟劉家莊北地 2010~2011年 發掘簡報" 12 : 2012

      4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安陽工作隊, "河南安陽市殷墟劉家莊北地 2008年 發掘簡報" 7 : 2009

      42 岳洪彬, "殷墟靑銅禮器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6

      43 楊錫璋, "殷墟靑銅容器的分期" 3 : 1983

      44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殷墟靑銅器" 文物出版社 1985

      45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殷墟發掘報告 1958~1961" 文物出版社 1987

      46 石璋如, "殷墟最近之重要發現附論小屯地層" 2 : 1947

      47 岳洪彬, "殷墟新出土靑銅器" 雲南人民出版社 2008

      48 王源, "從靈石旌介商墓靑銅器觀族氏銘文與紋飾的關係" 4 : 2016

      49 蘇赫, "從昭盟發現的大型其他器試論北方的早期靑銅文明" 2 : 1982

      50 羅西章, "從周原考古論西周農業" 1 : 1995

      51 長水, "岐山賀家村出土的西周銅器" 6 : 1972

      52 魏凡, "就出土靑銅器探索遼寧商文化問題" 5 : 1983

      53 盧連成, "寶鷄弓魚國墓地" 文物出版社 1988

      54 孟憲武, "安陽殷墟考古硏究" 中州古籍出版社 2003

      55 杜金鵬, "安陽後崗殷代圓形葬坑及其相關問題" 6 : 2007

      56 劉克甫, "安陽後崗圓形祭坑年代的商討" 9 : 1961

      57 安陽市博物館, "安陽大司空村殷代殺殉坑" 1 : 1978

      58 郭沫若, "安陽圓坑墓中鼎銘考釋" 1 : 1960

      59 孟憲武, "安陽三家莊發現商代窖藏靑銅器" 12 : 1985

      60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安陽工作隊, "安阳小屯村北的两座殷代墓" 4 : 1981

      61 北京大學考古學系商周組, "天馬-曲村(1980~1989)" 科學出版社 2000

      62 송호정, "大凌河流域 殷周 靑銅禮器 사용 집단과 箕子朝鮮" 한국고대사학회 (38) : 5-36, 2005

      63 李亨求, "大凌河流域의 殷末周初 靑銅器文化와 箕子 및 箕子朝鮮" 5 : 1991

      64 範楏杰, "四川彭縣西周窖藏銅器" 6 : 1981

      65 遼寜省文物考古硏究所, "喀左縣博物館, 喀左和尚沟墓地" 2 : 1989

      66 오강원, "商末周初大凌河 流域과 그 周邊地域의 文化 動向과 大凌河 流域의 靑銅괋器埋納遺構" 한국상고사학회 74 (74): 5-44, 2011

      67 史念海, "周原的歷史地理與周原考古" 2 : 1978

      68 朱鳳瀚, "古代中國靑銅器" 南開大學出版社 1995

      69 晏琬, "北京·遼寜出土銅器與周初的燕" 5 : 1975

      70 王龍正, "匍鴨銅盉與頫聘禮" 4 : 1998

      71 王夫想, "內蒙古林東塔子溝出土的羊首銅刀" 4 : 1994

      72 吉林大學邊疆考古硏究中心, "內蒙古克什克騰旗喜鵲溝遺址發掘簡報" 9 : 2014

      73 朱鳳瀚, "中國靑銅器綜論" 上海古籍出版社 2009

      74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安陽工作隊, "1973年 安陽小屯南地發掘簡報" 1 : 1975

      75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安陽工作隊, "1969~1977年 殷墟西區墓葬發掘報告" 1 :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