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북~요서지역 북방계통 청동단검문화의 전개와 성격 -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Style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Hebei and Liaoxi Area of China: Focused on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Yuhuangmiao Cultu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in China, Shanrong (山戎) or Beirong (北戎) lived in the northern area of Yan (燕)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barbarian (Rongdi) groups called the Shanrong or Beirong resided in the mountainous areas north of Zhongyuan (中原), it is the area from the Mountain Taihang (太行山脈) to the Mountain Nuluerhu (努魯兒虎山脈). They shared similar Northern style bronze daggers culture, which encompassed people’s livelihood, cultural traits and others.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夏家店上層文化, especially Nanshangen culture pattern) and Yuhuangmiao culture (玉皇廟文化) developed mainly around Mountain Yanshan and Mountain Nuluerhu in the northern area of Ya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two material cultures wer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styles, including the upper tomb style, bronze dagger and pottery, but they shared common features in many aspects, including stone materialfilled tombs, some types of pottery, burial of live dog, lamb and cow with the dead, and two professions of farming and ranching at the same time.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Yuhuangmiao culture shared similar Northern style bronze daggers culture. The groups that were regarded as the same barbarians called the Rongdi (戎狄). They interacted with vassal states of Zhongyuan in various ways, mainly through sticks, sometimes through carrots.
      The name “Shanrong” itself is the term that refers to various local groups who were active around Ya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groups of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Yuhuangmiao culture were considered to be in the same Shanrong family.
      번역하기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in China, Shanrong (山戎) or Beirong (北戎) lived in the northern area of Yan (燕)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barbarian (Rongdi) groups called the Shanrong or Beirong resided in the mountainous areas n...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in China, Shanrong (山戎) or Beirong (北戎) lived in the northern area of Yan (燕)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barbarian (Rongdi) groups called the Shanrong or Beirong resided in the mountainous areas north of Zhongyuan (中原), it is the area from the Mountain Taihang (太行山脈) to the Mountain Nuluerhu (努魯兒虎山脈). They shared similar Northern style bronze daggers culture, which encompassed people’s livelihood, cultural traits and others.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夏家店上層文化, especially Nanshangen culture pattern) and Yuhuangmiao culture (玉皇廟文化) developed mainly around Mountain Yanshan and Mountain Nuluerhu in the northern area of Ya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two material cultures wer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styles, including the upper tomb style, bronze dagger and pottery, but they shared common features in many aspects, including stone materialfilled tombs, some types of pottery, burial of live dog, lamb and cow with the dead, and two professions of farming and ranching at the same time.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Yuhuangmiao culture shared similar Northern style bronze daggers culture. The groups that were regarded as the same barbarians called the Rongdi (戎狄). They interacted with vassal states of Zhongyuan in various ways, mainly through sticks, sometimes through carrots.
      The name “Shanrong” itself is the term that refers to various local groups who were active around Ya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groups of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Yuhuangmiao culture were considered to be in the same Shanrong fami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고대 문헌에는 춘추시대 연나라의 주변에서 산융 또는 북융이 활동하였으며, 심지어는 중원지역에서 여러 차례 전쟁까지 치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산융(또는 북융)으로 불린 집단들은 중원 이북의 산간지대에서 주로 거주하였는데, 태항산맥 북단에서 노로아호산맥에 걸친 지역이 그 후보지에 해당된다.
      이곳에서 확인되는 물질문화는 모두 북방계통 청동단검문화인데,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로 대표된다. 북방계통 청동단검문화는 춘추시기에 연산산맥에서 노로아호산맥에 걸친 산간지대에서 주로 유행했다. 두 물질문화는 상위 묘제, 동검, 토기 등의 양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서로 구별되는 것이지만, 석재 충전 분묘, 도관 등의 일부 토기 기종, 개·양·소의 순생, 농경과 목축을 겸업하는 생업 방식 등의 측면에서 보면 유사성도 적지 않게 확인된다. 이 유사성은 두 문화의 시공간적 중첩 또는 인접 관계 하에 나타나는 문화권의 차원에서이해된다.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의 주민들은 북방계통 물질문화를 바탕으로주변 지역과도 다양하게 교류하였는데, 특히 두 문화의 집단들이 강경책과 타협책을 구사하며 중원 제후국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은 두 문화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는 중원계통 청동무기와 청동예기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산융’이라는 이름 그 자체가 춘추시대 중원 북방이나 연나라의 주변에서 활동했던, 중원질서에 편입되지 않은 여러 비중원계 또는 비서주계 지역집단들을가리키는 명칭이다. 그 명칭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당시 중원 사람들은 산융집단의 정체성을 자세하게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산융 집단의 물질문화는 단일문화보다 유사 성향을 나타내는 문화권의 개념에서 접근하는 것이합당하다. 춘추 중기를 전후하여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의 주요 집단들은 대개 산융이나 그 일파로 인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중국 고대 문헌에는 춘추시대 연나라의 주변에서 산융 또는 북융이 활동하였으며, 심지어는 중원지역에서 여러 차례 전쟁까지 치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산융(또는 북융)으로 불린 집단들은 ...

      중국 고대 문헌에는 춘추시대 연나라의 주변에서 산융 또는 북융이 활동하였으며, 심지어는 중원지역에서 여러 차례 전쟁까지 치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산융(또는 북융)으로 불린 집단들은 중원 이북의 산간지대에서 주로 거주하였는데, 태항산맥 북단에서 노로아호산맥에 걸친 지역이 그 후보지에 해당된다.
      이곳에서 확인되는 물질문화는 모두 북방계통 청동단검문화인데,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로 대표된다. 북방계통 청동단검문화는 춘추시기에 연산산맥에서 노로아호산맥에 걸친 산간지대에서 주로 유행했다. 두 물질문화는 상위 묘제, 동검, 토기 등의 양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서로 구별되는 것이지만, 석재 충전 분묘, 도관 등의 일부 토기 기종, 개·양·소의 순생, 농경과 목축을 겸업하는 생업 방식 등의 측면에서 보면 유사성도 적지 않게 확인된다. 이 유사성은 두 문화의 시공간적 중첩 또는 인접 관계 하에 나타나는 문화권의 차원에서이해된다.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의 주민들은 북방계통 물질문화를 바탕으로주변 지역과도 다양하게 교류하였는데, 특히 두 문화의 집단들이 강경책과 타협책을 구사하며 중원 제후국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은 두 문화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는 중원계통 청동무기와 청동예기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산융’이라는 이름 그 자체가 춘추시대 중원 북방이나 연나라의 주변에서 활동했던, 중원질서에 편입되지 않은 여러 비중원계 또는 비서주계 지역집단들을가리키는 명칭이다. 그 명칭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당시 중원 사람들은 산융집단의 정체성을 자세하게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산융 집단의 물질문화는 단일문화보다 유사 성향을 나타내는 문화권의 개념에서 접근하는 것이합당하다. 춘추 중기를 전후하여 하가점상층문화와 옥황묘문화의 주요 집단들은 대개 산융이나 그 일파로 인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王立新, "龍頭山遺址的幾介問題" 1 : 2002

      2 小林靑樹, "遼寧 式銅劍の起源に關する諸問題-小黑石溝遺蹟M8501墓出土短劍の觀察から-" 8 : 2008

      3 趙賓福, "遼西山地夏至戰國時期考古學文化時空檣架硏究的再檢討" 5 : 2007

      4 王立新, "遼西地區夏至戰國時期文化格局與經濟形態變遷" 3 : 2004

      5 田立坤, "遼西地區先秦時期馬具與馬車" 10 : 2017

      6 陳平, "略論“山戎文化”的族屬及相關問題" 3 : 1995

      7 靳楓毅, "論中國東北地區含曲刃靑銅短劍的文化遺存(下)" 1 : 1983

      8 김정열, "하가점상층문화에 보이는 중원식 청동예기의 연대와 유입 경위" 한국상고사학회 72 (72): 61-85, 2011

      9 배진영, "출토 자료로 본 고죽" 이화사학연구소 (33) : 283-300, 2006

      10 박대재, "중국 고문헌에 나타난 고대 조선과 예맥" 경인문화사 2013

      1 王立新, "龍頭山遺址的幾介問題" 1 : 2002

      2 小林靑樹, "遼寧 式銅劍の起源に關する諸問題-小黑石溝遺蹟M8501墓出土短劍の觀察から-" 8 : 2008

      3 趙賓福, "遼西山地夏至戰國時期考古學文化時空檣架硏究的再檢討" 5 : 2007

      4 王立新, "遼西地區夏至戰國時期文化格局與經濟形態變遷" 3 : 2004

      5 田立坤, "遼西地區先秦時期馬具與馬車" 10 : 2017

      6 陳平, "略論“山戎文化”的族屬及相關問題" 3 : 1995

      7 靳楓毅, "論中國東北地區含曲刃靑銅短劍的文化遺存(下)" 1 : 1983

      8 김정열, "하가점상층문화에 보이는 중원식 청동예기의 연대와 유입 경위" 한국상고사학회 72 (72): 61-85, 2011

      9 배진영, "출토 자료로 본 고죽" 이화사학연구소 (33) : 283-300, 2006

      10 박대재, "중국 고문헌에 나타난 고대 조선과 예맥" 경인문화사 2013

      11 김정열, "요하유역의 초기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2 이청규,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3 조진선, "요하문명의 확산과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14 천선행, "요하문명의 확산과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15 이종수, "요하문명의 확산과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16 이청규, "신화의 역사화" 진인진 2018

      17 이후석,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주변, in 토지 활용과 경관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2018

      18 姜仁旭, "북방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19 이후석, "북방계통 물질문화와 山戎·東胡" 湖南文化財硏究院 23 : 2017

      20 궈다순, "동북문화와 유연문명" 동북아역사재단 2008

      21 이청규, "다뉴경과 고조선" 단국대학교 출판부 2015

      22 강인욱, "기원전 9~3세기 요서지역의 고고학문화와 山戎·東胡" 백산학회 (106) : 31-60, 2016

      23 姜仁旭, "기원전 8~3세기 中國 北方 草原地帶의 銅劍文化-銅劍의 形式分類와 地域性을 중심으로, in 동북아시아의 초기금속기문화" 한국상고사학회 2004

      24 박준형, "기원전 7세기 중반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와 고조선의 위상" 백산학회 (106) : 61-87, 2016

      25 강인욱, "기원전 13~9세기 카라숙 청동기의 東進과 요동ㆍ한반도의 초기 청동기문화" 호서고고학회 (21) : 1-48, 2009

      26 배진영, "고대 북경과 燕文化" 한국학술정보 2009

      27 양재영, "고구려의 등장과 그 주변" 동북아역사재단 2010

      28 이후석, "고고학을 통해 본 초기고조선의 성장 과정 - 십이대영자문화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 숭실사학회 (38) : 5-46, 2017

      29 김종일, "고고학 자료의 역사학적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52) : 91-116, 2008

      30 김정열, "고고문화와 민족-중국학계의 시각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62) : 37-84, 2018

      31 이성주, "韓國 靑銅器時代 ‘社會’考古學의 問題"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8) : 7-24, 2006

      32 吳江原, "靑銅器時代 中國 東北地方의 主要種族 = 山戎族에 관한 硏究" 白山學會 53 : 1999

      33 王立新, "關于東胡遺存的考古學新探索" 2 : 2012

      34 小林靑樹, "遼寧靑銅器文化" 雄山閣 35 : 2016

      35 靳楓毅, "軍都山山戎文化墓地葬制與主要器物特徵" 1 : 1991

      36 陶宗治, "談玉皇廟文化的幾介問題" 1 : 2013

      37 吳江原, "西遼河上流域 靑銅短劍과 그 文化에 관한 硏究-銅劍의 系統과 使用集團 문제를 중심으로-" 韓國古代史學會 12 : 1997

      38 朱永剛, "西拉木倫河流域先秦時期文化遺存的編年與譜系硏究" 4 : 2006

      39 靳楓毅, "蘇秉琦與當代中國考古學" 科學出版社 2001

      40 史廣峰, "薊縣張家園商周遺存的族屬問題" 4 : 2002

      41 林澐, "環渤海考古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知識出版社 1995

      42 滕銘予, "玉皇廟文化的發現與硏究" 4 : 2011

      43 洪猛, "玉皇廟文化初步硏究" 吉林大學 2014

      44 韓嘉穀, "燕文化硏究論文集" 文物出版社 1995

      45 小田木治太郞, "燕山地域の北方靑銅器文化墓の編年" 96 (96): 2012

      46 洪猛, "淺探冀北地區夏家店上層文化遺存" 3 : 2014

      47 滕銘予, "東周時期冀北山地玉皇廟文化的中原文化因素" 4 : 2014

      48 中村大介, "東北亞 靑銅器․初期鐵器時代 首長墓 副葬遺物의 展開" 한국상고사학회 75 (75): 75-108, 2012

      49 石川岳彦, "東北アジア靑銅器時代の年代" 雄山閣 35 : 2016

      50 林澐, "早期北方系靑銅器的幾介年代問題"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 : 1994

      51 王立新, "探東胡遺存的一介新線索" 3 : 2005

      52 朱永剛, "慶祝張忠培先生七十歲論文集" 科學出版社 2004

      53 李明華, "從靑銅短劍看早期草原靑銅文化的傳播" 2 : 2011

      54 韓嘉穀, "從軍都山東周墓地談山戎·胡·東胡的考古學文化歸屬"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 : 1994

      55 邵會秋, "從夏家店上層文化靑銅器看草原金屬之路" 10 : 2015

      56 石川岳彦, "彌生時代の考古學2: 彌生文化誕生" 同成社 2009

      57 姜仁旭, "小黑石溝로 본 하가점상층문화의 새로운 인식" 韓國靑銅器學會 4 : 2009

      58 馮金忠, "孤竹國硏究的回顧與思考" 3 : 2014

      59 朱永剛, "大,小凌河流域含曲刃靑銅短劍遺存的考古學文化及相關問題" 2 : 1997

      60 姜仁旭, "夏家店上層文化의 형성과 유라시아의 초원문화, in 동북아시아의 청동기시대-동검과 묘제를 중심으로-" 서울경기고고학회 2005

      61 김동일, "夏家店上層文化의 冀北地域 流入과 그 意味, in 고고학으로 본 고조선" 한국고고학회 2017

      62 劉國祥, "夏家店上層文化靑銅器硏究" 4 : 2000

      63 朱永剛, "夏家店上層文化的初步硏究" 文物出版社 1 : 1987

      64 井中偉, "夏家店上層文化的分期與原流" 12 : 2012

      65 楊建華, "夏家店上層文化在中國北方靑銅器發展中的傳承作用" 7 : 2008

      66 靳楓毅, "夏家店上層文化及其族屬問題" 2 : 1987

      67 오강원, "商末周初大凌河 流域과 그 周邊地域의 文化 動向과 大凌河 流域의 靑銅괋器埋納遺構" 한국상고사학회 74 (74): 5-44, 2011

      68 烏恩岳斯圖, "北方草原考古學文化硏究" 科學出版社 2007

      69 楊建華, "再論玉皇廟文化" 2 : 2003

      70 劉觀民, "內蒙古東部地區靑銅時代的兩種文化" 1 : 1981

      71 朱鳳瀚, "中國靑銅器綜論" 上海古籍出版社 2009

      72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中國考古學 兩周卷"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4

      73 林澐, "中國東北系銅劍初論" 2 : 1980

      74 이청규, "中國東北地域과 韓半島의 合鑄式 銅柄 銅劍ㆍ鐵劍에 對하여" 백산학회 (97) : 5-43, 2013

      75 宮本一夫, "中國古代北疆史の考古學的硏究" 中國書店 2000

      76 강인욱, "中國 오르도스(顎爾多斯) 靑銅器의 槪念과 初期硏究에 대한 檢討 -骨董學에서 新中國 成立以前까지" 중국사학회 (48) : 311-348, 2007

      77 정대영, "中國 河北省北部 “玉皇廟文化”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37) : 91-120, 2004

      78 中村大介, "中國 東北地方과 韓半島의 靑銅器時代 竝行關係, in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의 청동기시대" 한국청동기학회 2009

      79 吳江原, "中國 東北地域 세 靑銅短劍文化의 文化地形과 交涉關係" 韓國古代學會 20 : 2004

      80 孫璐, "中國 東北地域 先秦時代 車馬具의 登場과 變遷" 한국고고학회 (81) : 5-3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