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원전 14~11세기 요서지역 토착문화와 중원문화의 상관성 검토 - 묘제 양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tag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Indigenous Culture of the Liaoxi Region and Zhongyuan Culture in the 14th-11th Century B.C.: Focusing on Comparison of Tomb Patter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digenous culture in the Liaoxi region in the 14th–11th century B.C.
      was represented by Weiyingzi culture. This study newly defines the culture of which characteristics and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cope of distribution, the culture was distributed restrictively to Dalinghe and Xiaolinghe basins. The period was assumed to be 13th–10th century B.C., which was characterized by a transition period of the Shang Dynasty and the Zhou Dynasty. Second, people of the culture did not have their own production technology for bronzeware. The ritual bronzeware in the Zhongyuan-line culture could be restrictively obtained through exchanges with the residents in Hebei who showed similar cultural characteristics. Third, although their means of living were recognized in a small-sized settlement, farming was rarely detected. Their primary means of living were hunting and cattle breeding. Fourth, they had a strong affinity to Gaotaishan cultur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omb systems and funeral ritual services. Fourth, compared with Lower Xiajiadian culture, which was prior to the Weiyingzi culture, it had a strong heterogeneous nature and discontinuity in consideration of means of living, burial characteristics and time discontinuity. Lastly, in the aspect of universal use of Habiankouyanli and boom of steppe-style accessories, part of Material Culture of the Steppe was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Weiyingzi culture. However, it was not considered that they used predatory means of living against neighbor groups due to the absence of bronze tools or weaponry.
      This study specifically demonstrates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Weiyingzi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it also investigates correlations with the culture in the Zhongyuan region through comparison of their tomb systems.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people in Weiyingzi culture were stuck to very conservative and unique tradition of their own, which was reflected in their tomb systems and funeral services. It was contrasted with foreign material culture, which they had to selectively accept for survival. Those aspects are shown in the fact that Habiankouyanli, a representative foreign earthenware, was not found in the grave goods, which reflected their spiritual culture; that although ritual bronzeware and bronze mirrors, foreign cultural elements, were contained in the list of grave goods, they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showing off the authority of the high class; that they decided their own post-mortem performances with self developed recognition on the post-mortem world by unifying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deceased in the tombs; and that they selected the post-mortem usages of main grave goods by putting them at the feet side of the deceased and defined the values of the goods by themselves.
      With that said, the Zhongyuan-line cultural aspects found in the Liaoxi region could be considered as a reaction of the indigenous culture against influx of foreign cultures, rather than direct advance of Zhongyuan power.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was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s in two regions of Liaoxi and Zhongyuan.
      번역하기

      Indigenous culture in the Liaoxi region in the 14th–11th century B.C. was represented by Weiyingzi culture. This study newly defines the culture of which characteristics and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cope of distributio...

      Indigenous culture in the Liaoxi region in the 14th–11th century B.C.
      was represented by Weiyingzi culture. This study newly defines the culture of which characteristics and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cope of distribution, the culture was distributed restrictively to Dalinghe and Xiaolinghe basins. The period was assumed to be 13th–10th century B.C., which was characterized by a transition period of the Shang Dynasty and the Zhou Dynasty. Second, people of the culture did not have their own production technology for bronzeware. The ritual bronzeware in the Zhongyuan-line culture could be restrictively obtained through exchanges with the residents in Hebei who showed similar cultural characteristics. Third, although their means of living were recognized in a small-sized settlement, farming was rarely detected. Their primary means of living were hunting and cattle breeding. Fourth, they had a strong affinity to Gaotaishan cultur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omb systems and funeral ritual services. Fourth, compared with Lower Xiajiadian culture, which was prior to the Weiyingzi culture, it had a strong heterogeneous nature and discontinuity in consideration of means of living, burial characteristics and time discontinuity. Lastly, in the aspect of universal use of Habiankouyanli and boom of steppe-style accessories, part of Material Culture of the Steppe was involv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Weiyingzi culture. However, it was not considered that they used predatory means of living against neighbor groups due to the absence of bronze tools or weaponry.
      This study specifically demonstrates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Weiyingzi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it also investigates correlations with the culture in the Zhongyuan region through comparison of their tomb systems.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people in Weiyingzi culture were stuck to very conservative and unique tradition of their own, which was reflected in their tomb systems and funeral services. It was contrasted with foreign material culture, which they had to selectively accept for survival. Those aspects are shown in the fact that Habiankouyanli, a representative foreign earthenware, was not found in the grave goods, which reflected their spiritual culture; that although ritual bronzeware and bronze mirrors, foreign cultural elements, were contained in the list of grave goods, they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showing off the authority of the high class; that they decided their own post-mortem performances with self developed recognition on the post-mortem world by unifying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deceased in the tombs; and that they selected the post-mortem usages of main grave goods by putting them at the feet side of the deceased and defined the values of the goods by themselves.
      With that said, the Zhongyuan-line cultural aspects found in the Liaoxi region could be considered as a reaction of the indigenous culture against influx of foreign cultures, rather than direct advance of Zhongyuan power.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was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s in two regions of Liaoxi and Zhongyu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원전 14~11세기 요서지역의 토착문화는 魏營子文化로 대표되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분포범위는 大·小凌河流域으로 한정되며 중심연대는 상주 교체기, 하한연대는 기원전 10세기 무렵이다. 둘째, 해당문화의 구성원들은 자체적인 청동기 제작기술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그렇기에중원계 청동예기는 유사한 문화내용을 보이는 河北지역 주민집단과의 교류 속에서 제한적으로만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이들의 생계방식은 소규모의 정주생활이 인정되지만, 농경의 흔적은 극히 제한적이며, 수렵과 목축 위주의 생활방식을 유지하였다. 넷째, 묘제와 장속 특징 및 생활토기의 유사성에서 高臺山 文化와 친연성이 강하다. 다섯째, 당지의 선행문화인 夏家店下層文化와는 생계방식과 부장 특징 및 시간적 단절성 등 측면에서 고려할 때 상호 이질성과 비연속성이 강하다. 마지막으로 화변구연력의 보편적 사용과 초원계 장신구류의유행이라는 측면에서 魏營子文化의 형성과정에는 초원계 물질문화가 일정부분 개입되어 있다. 다만 그 핵심이 되는 청동 도구나 무기류가 부재한 점에서 주변집단에 대한 약탈적 생계방식은 고려될 수 없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위영자문화의 성격과 형성과정을 구체적으로 논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원지역과의 상관성 문제를 묘제 양상의 비교를 중심으로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묘제와 장속 특징에 반영된 魏營子文化人들의 정신문화 속에는 그들이 생존을 위해 선택적으로 받아들였을 외래계의 물질문화와 대비되어, 상당히 보수적이고 독특한 풍격의 전통이 고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래계 토기의 대표격인 화변구연력이 그들의 정신문화를 반영해주는 부장품 내역에는 포함되지 못한 점, 비록 청동예기나 동경 등 외래계 요소가 부장품내역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위세품의 성격이 강한 점, 주검의 두향을 통일시킴으로서 자신들의 사후인식과 행보를 결정하고 기원한 점, 중요 부장품을 발치쪽에 배치함으로서 그에 대한 사후 용도를 스스로 선택하고 그 가치를 재규정한점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정황에서 볼 때, 요서지역에서 확인되는 중원계 문화요소는 중원세력의 직접적인 진출이라기보다는 외래문화의 유입에 대한 토착문화의 대응으로서, 소위 요서와 중원 두 지역집단 간의 상호작용이나 문화변용의 측면에서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기원전 14~11세기 요서지역의 토착문화는 魏營子文化로 대표되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분포범위는 大·小凌河流域으로 한정되며 중심연대는 상주 교체기, 하한연...

      기원전 14~11세기 요서지역의 토착문화는 魏營子文化로 대표되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분포범위는 大·小凌河流域으로 한정되며 중심연대는 상주 교체기, 하한연대는 기원전 10세기 무렵이다. 둘째, 해당문화의 구성원들은 자체적인 청동기 제작기술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그렇기에중원계 청동예기는 유사한 문화내용을 보이는 河北지역 주민집단과의 교류 속에서 제한적으로만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이들의 생계방식은 소규모의 정주생활이 인정되지만, 농경의 흔적은 극히 제한적이며, 수렵과 목축 위주의 생활방식을 유지하였다. 넷째, 묘제와 장속 특징 및 생활토기의 유사성에서 高臺山 文化와 친연성이 강하다. 다섯째, 당지의 선행문화인 夏家店下層文化와는 생계방식과 부장 특징 및 시간적 단절성 등 측면에서 고려할 때 상호 이질성과 비연속성이 강하다. 마지막으로 화변구연력의 보편적 사용과 초원계 장신구류의유행이라는 측면에서 魏營子文化의 형성과정에는 초원계 물질문화가 일정부분 개입되어 있다. 다만 그 핵심이 되는 청동 도구나 무기류가 부재한 점에서 주변집단에 대한 약탈적 생계방식은 고려될 수 없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위영자문화의 성격과 형성과정을 구체적으로 논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원지역과의 상관성 문제를 묘제 양상의 비교를 중심으로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묘제와 장속 특징에 반영된 魏營子文化人들의 정신문화 속에는 그들이 생존을 위해 선택적으로 받아들였을 외래계의 물질문화와 대비되어, 상당히 보수적이고 독특한 풍격의 전통이 고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래계 토기의 대표격인 화변구연력이 그들의 정신문화를 반영해주는 부장품 내역에는 포함되지 못한 점, 비록 청동예기나 동경 등 외래계 요소가 부장품내역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위세품의 성격이 강한 점, 주검의 두향을 통일시킴으로서 자신들의 사후인식과 행보를 결정하고 기원한 점, 중요 부장품을 발치쪽에 배치함으로서 그에 대한 사후 용도를 스스로 선택하고 그 가치를 재규정한점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정황에서 볼 때, 요서지역에서 확인되는 중원계 문화요소는 중원세력의 직접적인 진출이라기보다는 외래문화의 유입에 대한 토착문화의 대응으로서, 소위 요서와 중원 두 지역집단 간의 상호작용이나 문화변용의 측면에서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郭大順, "遼西窖藏商周靑銅器發見和硏究的新進展" 黃山書社 (1) : 1999

      2 宋豫秦, "遼西下流域全新世沙質荒漠化過程的人地關係" 北京大學 1995

      3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阜新平頂山石城址發掘報告" (5) : 1992

      4 喀左縣博物館, "遼寧省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6) : 1974

      5 遼寧省博物館工作隊, "遼寧朝陽縣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6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縣北洞村發見殷代靑銅器" (4) : 1973

      7 이청규,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 42 : 1993

      8 복기대, "위영자문화의 최근 성과와 해석" 11 : 1998

      9 김정렬, "요하유역의 초기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0 이청규,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 郭大順, "遼西窖藏商周靑銅器發見和硏究的新進展" 黃山書社 (1) : 1999

      2 宋豫秦, "遼西下流域全新世沙質荒漠化過程的人地關係" 北京大學 1995

      3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阜新平頂山石城址發掘報告" (5) : 1992

      4 喀左縣博物館, "遼寧省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6) : 1974

      5 遼寧省博物館工作隊, "遼寧朝陽縣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6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縣北洞村發見殷代靑銅器" (4) : 1973

      7 이청규,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 42 : 1993

      8 복기대, "위영자문화의 최근 성과와 해석" 11 : 1998

      9 김정렬, "요하유역의 초기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0 이청규,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1 천선행, "요하문명의 확산과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12 복기대, "요서지역의 청동기시대문화 연구" 백산 2002

      13 조원진,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백산학회 (88) : 101-127, 2010

      14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 십이대영자 단계 유물 복합의 기원과 형성과정" 단군학회 16 : 99-136, 2007

      15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16 오대양, "고대산문화의 묘제와 장속특징에 대한 검토 ― 하가점하층문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동양학연구원 (66) : 149-177, 2017

      17 배진영, "고대 북경과 연문화" 한국학술정보 2009

      18 이후석, "고고학을 통해 본 초기고조선의 성장 과정 - 십이대영자문화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 숭실사학회 (38) : 5-46, 2017

      19 임병태, "고고학상으로 본 예맥" 1 : 1991

      20 董新林, "魏營子文化初步硏究" 北京大學 1993

      21 董新林, "魏營子文化初步硏究" (1) : 2000

      22 董新林, "靑果集" 知識出版社 1998

      23 何漢南, "長安普渡村西周墓的發掘" (1) : 1957

      24 王立新, "遼西區夏至戰國時期文化格局與經濟形態的演進" (3) : 2004

      25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義縣向陽嶺靑銅時代遺址發掘報告" 13 : 2000

      26 喀左縣文化館, "遼寧省喀左縣山灣子出土殷周靑銅器" (12) : 1977

      27 建平縣文化館, "遼寧建平縣的靑銅時代墓葬及相關遺物" (8) : 1983

      28 濱田耕作, "貔子窩"

      29 喀左縣文化館, "記遼寧喀左縣后墳村發現的一組陶器" (1) : 1982

      30 陳夢家, "西周銅器斷代(二)" 1955

      31 韓巍, "西周墓葬的殉人與殉牲" 北京大學 2003

      32 郭大順, "考古學文化論集 1" 文物出版社 1987

      33 박대재, "箕子 관련 商周靑銅器 銘文과 箕子東來說" 한국고대학회 (32) : 111-149, 2010

      34 町田章, "立命館文學" 1981

      35 韓金秋, "白浮墓葬的微觀分析與總觀比較" (7) : 2008

      36 韓建業, "略論北京昌平白浮M2墓主身分" (4) : 2011

      37 韓嘉穀, "燕文化硏究論文集"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5

      38 楊建華, "燕山南北商周之際靑銅器遺存的分群硏究" (2) : 2002

      39 甌燕, "燕國開拓祖國北疆的歷史功績" (4) : 1999

      40 熱河省博物館, "熱河凌源縣海島營子村發見的古代靑銅器" 8 : 1955

      41 張長壽, "殷商時代的靑銅容器" (3) : 1979

      42 齊文濤, "概述近年來山東出土的商周靑銅器" (5) : 1972

      43 朱永剛, "東北靑銅文化的發展階段與文化區系" (2) : 1998

      44 張博泉, "東北地方史稿" 吉林大學出版社 1985

      45 甲元眞之, "東北アジアの考古學-天地" 六興出版 1990

      46 陳光, "新中國考古五十年" 文物出版社 1999

      47 唐蘭, "從河南鄭州出土的商代前期靑銅器談記" (7) : 1973

      48 蘇赫, "從昭盟發現的大形靑銅器試論北方的早期靑銅文明" (2) : 1982

      49 李伯謙, "張家園上層類型若干問題硏究" (2) : 1994

      50 遼寧省博物館, "建平水泉遺址發掘簡報" (2) : 1986

      51 오대양, "山東 岳石文化의 최근 연구동향과 쟁점-우리 상고문화의 영역에서 작용되는 몇 가지 문제에 관하여-" 한국상고사학회 101 (101): 35-64, 2018

      52 朱永剛, "夏家店上層文化的初步硏究" 文物出版社 (1) : 1987

      53 鄭紹宗, "夏商時期河北古代文化的初步分析" 文物出版社 4 : 1977

      54 오강원, "商末周初大凌河 流域과 그 周邊地域의 文化 動向과 大凌河 流域의 靑銅괋器埋納遺構" 한국상고사학회 74 (74): 5-44, 2011

      55 張明東, "商周墓葬比較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6

      56 烏恩岳斯圖, "北坊草原考古學文化硏究" 科學出版社 2007

      57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 "北京附近發現的西周奴隸殉葬墓" (5) : 1974

      58 北京市文物管理處, "北京地區的又一重要考古收藏-昌平白浮西周木槨墓的啓示" (4) : 1976

      59 晏琬, "北京, 遼寧出土銅器與周初的燕" (5) : 1975

      60 박상빈, "北京 永定河流域의 청동기문화 연구 : 상호작용권역과 문화변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61 王夫想, "內蒙古林東塔子溝出土的羊首銅刀" (4) : 1994

      62 韓嘉穀, "內蒙古東部區考古學文化硏究文集" 文物出版社 1990

      63 齊曉光, "內蒙古東部區考古學文化硏究文集" 海洋出版社 1991

      64 林澐, "內蒙古文物考古文集 1輯"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4

      65 高美璿, "中國考古學年監 1984" 文物出版社 1985

      66 趙賓福, "中國東北地域夏至戰國時期的考古學文化硏究" 吉林大學 2005

      67 宮本一夫, "中國古代北疆史の考古學的硏究" 中國書店 2000

      68 조진선, "中國 東北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古朝鮮의 位置 變動" 동양학연구원 (56) : 103-131, 2014

      69 "《澧西發掘報告》讀後" (12) : 1964

      70 박준형, "2000년 이후 국가별 쟁점과 전망: 고조선사 연구 동향" 동북아역사재단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