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郭大順, "遼西窖藏商周靑銅器發見和硏究的新進展" 黃山書社 (1) : 1999
2 宋豫秦, "遼西下流域全新世沙質荒漠化過程的人地關係" 北京大學 1995
3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阜新平頂山石城址發掘報告" (5) : 1992
4 喀左縣博物館, "遼寧省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6) : 1974
5 遼寧省博物館工作隊, "遼寧朝陽縣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6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縣北洞村發見殷代靑銅器" (4) : 1973
7 이청규,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 42 : 1993
8 복기대, "위영자문화의 최근 성과와 해석" 11 : 1998
9 김정렬, "요하유역의 초기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0 이청규,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 郭大順, "遼西窖藏商周靑銅器發見和硏究的新進展" 黃山書社 (1) : 1999
2 宋豫秦, "遼西下流域全新世沙質荒漠化過程的人地關係" 北京大學 1995
3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阜新平頂山石城址發掘報告" (5) : 1992
4 喀左縣博物館, "遼寧省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6) : 1974
5 遼寧省博物館工作隊, "遼寧朝陽縣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6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縣北洞村發見殷代靑銅器" (4) : 1973
7 이청규,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 42 : 1993
8 복기대, "위영자문화의 최근 성과와 해석" 11 : 1998
9 김정렬, "요하유역의 초기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0 이청규,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1 천선행, "요하문명의 확산과 중국 동북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12 복기대, "요서지역의 청동기시대문화 연구" 백산 2002
13 조원진,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백산학회 (88) : 101-127, 2010
14 오강원, "비파형동검문화 십이대영자 단계 유물 복합의 기원과 형성과정" 단군학회 16 : 99-136, 2007
15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16 오대양, "고대산문화의 묘제와 장속특징에 대한 검토 ― 하가점하층문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동양학연구원 (66) : 149-177, 2017
17 배진영, "고대 북경과 연문화" 한국학술정보 2009
18 이후석, "고고학을 통해 본 초기고조선의 성장 과정 - 십이대영자문화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 숭실사학회 (38) : 5-46, 2017
19 임병태, "고고학상으로 본 예맥" 1 : 1991
20 董新林, "魏營子文化初步硏究" 北京大學 1993
21 董新林, "魏營子文化初步硏究" (1) : 2000
22 董新林, "靑果集" 知識出版社 1998
23 何漢南, "長安普渡村西周墓的發掘" (1) : 1957
24 王立新, "遼西區夏至戰國時期文化格局與經濟形態的演進" (3) : 2004
25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義縣向陽嶺靑銅時代遺址發掘報告" 13 : 2000
26 喀左縣文化館, "遼寧省喀左縣山灣子出土殷周靑銅器" (12) : 1977
27 建平縣文化館, "遼寧建平縣的靑銅時代墓葬及相關遺物" (8) : 1983
28 濱田耕作, "貔子窩"
29 喀左縣文化館, "記遼寧喀左縣后墳村發現的一組陶器" (1) : 1982
30 陳夢家, "西周銅器斷代(二)" 1955
31 韓巍, "西周墓葬的殉人與殉牲" 北京大學 2003
32 郭大順, "考古學文化論集 1" 文物出版社 1987
33 박대재, "箕子 관련 商周靑銅器 銘文과 箕子東來說" 한국고대학회 (32) : 111-149, 2010
34 町田章, "立命館文學" 1981
35 韓金秋, "白浮墓葬的微觀分析與總觀比較" (7) : 2008
36 韓建業, "略論北京昌平白浮M2墓主身分" (4) : 2011
37 韓嘉穀, "燕文化硏究論文集"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5
38 楊建華, "燕山南北商周之際靑銅器遺存的分群硏究" (2) : 2002
39 甌燕, "燕國開拓祖國北疆的歷史功績" (4) : 1999
40 熱河省博物館, "熱河凌源縣海島營子村發見的古代靑銅器" 8 : 1955
41 張長壽, "殷商時代的靑銅容器" (3) : 1979
42 齊文濤, "概述近年來山東出土的商周靑銅器" (5) : 1972
43 朱永剛, "東北靑銅文化的發展階段與文化區系" (2) : 1998
44 張博泉, "東北地方史稿" 吉林大學出版社 1985
45 甲元眞之, "東北アジアの考古學-天地" 六興出版 1990
46 陳光, "新中國考古五十年" 文物出版社 1999
47 唐蘭, "從河南鄭州出土的商代前期靑銅器談記" (7) : 1973
48 蘇赫, "從昭盟發現的大形靑銅器試論北方的早期靑銅文明" (2) : 1982
49 李伯謙, "張家園上層類型若干問題硏究" (2) : 1994
50 遼寧省博物館, "建平水泉遺址發掘簡報" (2) : 1986
51 오대양, "山東 岳石文化의 최근 연구동향과 쟁점-우리 상고문화의 영역에서 작용되는 몇 가지 문제에 관하여-" 한국상고사학회 101 (101): 35-64, 2018
52 朱永剛, "夏家店上層文化的初步硏究" 文物出版社 (1) : 1987
53 鄭紹宗, "夏商時期河北古代文化的初步分析" 文物出版社 4 : 1977
54 오강원, "商末周初大凌河 流域과 그 周邊地域의 文化 動向과 大凌河 流域의 靑銅괋器埋納遺構" 한국상고사학회 74 (74): 5-44, 2011
55 張明東, "商周墓葬比較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6
56 烏恩岳斯圖, "北坊草原考古學文化硏究" 科學出版社 2007
57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 "北京附近發現的西周奴隸殉葬墓" (5) : 1974
58 北京市文物管理處, "北京地區的又一重要考古收藏-昌平白浮西周木槨墓的啓示" (4) : 1976
59 晏琬, "北京, 遼寧出土銅器與周初的燕" (5) : 1975
60 박상빈, "北京 永定河流域의 청동기문화 연구 : 상호작용권역과 문화변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61 王夫想, "內蒙古林東塔子溝出土的羊首銅刀" (4) : 1994
62 韓嘉穀, "內蒙古東部區考古學文化硏究文集" 文物出版社 1990
63 齊曉光, "內蒙古東部區考古學文化硏究文集" 海洋出版社 1991
64 林澐, "內蒙古文物考古文集 1輯"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4
65 高美璿, "中國考古學年監 1984" 文物出版社 1985
66 趙賓福, "中國東北地域夏至戰國時期的考古學文化硏究" 吉林大學 2005
67 宮本一夫, "中國古代北疆史の考古學的硏究" 中國書店 2000
68 조진선, "中國 東北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古朝鮮의 位置 變動" 동양학연구원 (56) : 103-131, 2014
69 "《澧西發掘報告》讀後" (12) : 1964
70 박준형, "2000년 이후 국가별 쟁점과 전망: 고조선사 연구 동향" 동북아역사재단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