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서 출토 상말주초 족씨(族氏) 명문(銘文)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Clan Insignias of Late Shang and Early Zhou period excavated from Liaox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s well known, there have been a number of excavations of Central plains-style bronze ritual vessels stemming from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at the ruins of the Liaoxi (遼西) region since the 1950s.
      Some scholars interpret these excavations as an active advance of Cental plains culture to this region. However, it is a conclusion drawn based on a few fragmentary materials and leaves much room for discussion.
      A great proportion of the bronze ritual vessels excavated in the Liaoxi region have clan insignias (族氏 銘文), from whi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were fabricated by adhrents from the Yin-Shang dynasty, given that the people of Zhou did not leave clan insignias, as demonstrated by Zhang Mao-rong (張懋鏞) in his hypothesis that the Zhou people do not use clan insignia (周人不用族徽說).
      Over the long period during which the Yin-Shang dynasty was gradually replaced by the Zhou dynasty, the Zhou court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control the Yin adherents. First, it appointed Yin- Shang royal families to control Yin adherents. Second, it displaced the Yin adherents to Zongzhou (宗周) or Chengzhou (成周) to control them directily. Third, it appointed feudal lords to control the Yin adherents dispersed across the Zhou territory. It was in this context that Central plains-style bronze vessels of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are found in the Liaoxi region. Classification of the related clan insignias shows how the Yin adherents moved northwards when various feudal lords, such as Wei (衛), Xing (邢), Yan (燕), were given the authority to rule them. It also gives clues leading to the assumption that bronze vessels came to the northern regions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clans. This is also indicative of temporary success of Zhou’s advance into northern regions.
      However, Zhou’s northern campaign seems to have failed towards the middle of the Western Zhou period, judging from the absence of Central plains-style cultural remains in and around Beijing (北京). It is presumably due to the resistance by the Upper Zhangjiayuan culture (張家園上層文化) and the Weiyingzi culture (魏營子文化) that thrived in the Northern Hebei (河北) and Liaoxi region, respectively.
      In other words, excavations of Central plains-style bronze ritual vessels of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in the Liaoxi region may be ascribed to the defence of indigenous culture against the intrusion of Central plains culture rather than to the active advance of Central plains culture to the Liaoxi region.
      번역하기

      As is well known, there have been a number of excavations of Central plains-style bronze ritual vessels stemming from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at the ruins of the Liaoxi (遼西) region since the 1950s. Some scholars interpret these excavation...

      As is well known, there have been a number of excavations of Central plains-style bronze ritual vessels stemming from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at the ruins of the Liaoxi (遼西) region since the 1950s.
      Some scholars interpret these excavations as an active advance of Cental plains culture to this region. However, it is a conclusion drawn based on a few fragmentary materials and leaves much room for discussion.
      A great proportion of the bronze ritual vessels excavated in the Liaoxi region have clan insignias (族氏 銘文), from whi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were fabricated by adhrents from the Yin-Shang dynasty, given that the people of Zhou did not leave clan insignias, as demonstrated by Zhang Mao-rong (張懋鏞) in his hypothesis that the Zhou people do not use clan insignia (周人不用族徽說).
      Over the long period during which the Yin-Shang dynasty was gradually replaced by the Zhou dynasty, the Zhou court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control the Yin adherents. First, it appointed Yin- Shang royal families to control Yin adherents. Second, it displaced the Yin adherents to Zongzhou (宗周) or Chengzhou (成周) to control them directily. Third, it appointed feudal lords to control the Yin adherents dispersed across the Zhou territory. It was in this context that Central plains-style bronze vessels of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are found in the Liaoxi region. Classification of the related clan insignias shows how the Yin adherents moved northwards when various feudal lords, such as Wei (衛), Xing (邢), Yan (燕), were given the authority to rule them. It also gives clues leading to the assumption that bronze vessels came to the northern regions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clans. This is also indicative of temporary success of Zhou’s advance into northern regions.
      However, Zhou’s northern campaign seems to have failed towards the middle of the Western Zhou period, judging from the absence of Central plains-style cultural remains in and around Beijing (北京). It is presumably due to the resistance by the Upper Zhangjiayuan culture (張家園上層文化) and the Weiyingzi culture (魏營子文化) that thrived in the Northern Hebei (河北) and Liaoxi region, respectively.
      In other words, excavations of Central plains-style bronze ritual vessels of the late Shang/early Zhou period in the Liaoxi region may be ascribed to the defence of indigenous culture against the intrusion of Central plains culture rather than to the active advance of Central plains culture to the Liaoxi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주지하다시피, 1950년대 이후로 중국 요서지역에서는 商末周初 중원계 靑銅 禮器가 적잖이 출토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중원문화의 적극적 요서 진출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몇몇 단편적 자료만 가지고 내린 결론으로, 재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요서 출토 청동예기는 族氏 銘文이 새겨진 것이 많은데, 張懋鏞 선생이 ‘周 人不用族徽說’에서 밝힌 바와 같이, 周族은 대체로 족씨 명문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통해, 요서 출토 청동예기는 殷遺民이 제작했을 가능성이 크다.
      상주 교체기, 주왕실은 은유민을 통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정책을 시행하였다. 첫째, 殷商 王族을 책봉하여 은유민을 통제하게 하였고, 둘째, 은유민을 周의 도읍인 宗周 혹은 成周로 이주시켜 周王이 직접 통제하였으며, 셋째, 諸侯를 각지에 冊封하여 은유민을 통제하게 하였다. 요서 출토 상말주초중원계 청동예기의 출현 또한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관련 족씨 명문을 정리한 결과, 衛·邢·燕 등 제후가 책봉될 때 여러 은유민들이 북쪽으로이동한 정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러 족씨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청동기가 북쪽으로 흘러들어왔을 가능성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주의 북방 진출이 일시적으로 성과를 거두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주의 북방 공략은, 서주 중기 이후 좌절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북경 및 그 주변에 중원문화유적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당시 하북 북부에 있었던 張家園上層文化와 요서지역에 있었던 魏營子文化의 대응에 결국북방 진출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곧 요서지역에서 商末周初 중원계 靑銅禮器가 출토된 것은, 중원문화의적극적인 요서 진출이라기보다는 중원문화의 진출에 대한 토착문화의 대응이라는 요인 때문일 것이다.
      번역하기

      주지하다시피, 1950년대 이후로 중국 요서지역에서는 商末周初 중원계 靑銅 禮器가 적잖이 출토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중원문화의 적극적 요서 진출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

      주지하다시피, 1950년대 이후로 중국 요서지역에서는 商末周初 중원계 靑銅 禮器가 적잖이 출토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중원문화의 적극적 요서 진출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몇몇 단편적 자료만 가지고 내린 결론으로, 재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요서 출토 청동예기는 族氏 銘文이 새겨진 것이 많은데, 張懋鏞 선생이 ‘周 人不用族徽說’에서 밝힌 바와 같이, 周族은 대체로 족씨 명문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통해, 요서 출토 청동예기는 殷遺民이 제작했을 가능성이 크다.
      상주 교체기, 주왕실은 은유민을 통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정책을 시행하였다. 첫째, 殷商 王族을 책봉하여 은유민을 통제하게 하였고, 둘째, 은유민을 周의 도읍인 宗周 혹은 成周로 이주시켜 周王이 직접 통제하였으며, 셋째, 諸侯를 각지에 冊封하여 은유민을 통제하게 하였다. 요서 출토 상말주초중원계 청동예기의 출현 또한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관련 족씨 명문을 정리한 결과, 衛·邢·燕 등 제후가 책봉될 때 여러 은유민들이 북쪽으로이동한 정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러 족씨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청동기가 북쪽으로 흘러들어왔을 가능성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주의 북방 진출이 일시적으로 성과를 거두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주의 북방 공략은, 서주 중기 이후 좌절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북경 및 그 주변에 중원문화유적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당시 하북 북부에 있었던 張家園上層文化와 요서지역에 있었던 魏營子文化의 대응에 결국북방 진출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곧 요서지역에서 商末周初 중원계 靑銅禮器가 출토된 것은, 중원문화의적극적인 요서 진출이라기보다는 중원문화의 진출에 대한 토착문화의 대응이라는 요인 때문일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町田章, "立命館文學" 立命館大學 人文學會 1981

      2 김정열,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 탐구를 위한 서주시기 東夷·夷族 관련 출토자료 집성" 2011

      4 오대양, "기원전 14~11세기 요서지역 토착문화와 중원문화의 상관성 검토 - 묘제 양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63) : 11-69, 2019

      5 오강원, "고조선 위치비정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 48 : 1997

      6 蔣剛, "關於圍坊三期文化和張家園上層文化的再認識" 5 : 2010

      7 林永昌, "遼西地區銅器窖藏性質再分析" 34 : 2007

      8 孫思賢, "遼寧義縣發現商周銅器窖藏" 2 : 1982

      9 喀左縣文化館, "遼寧省喀左縣山灣子出土殷周靑銅器" 12 : 1977

      10 喀左縣文化館, "遼寧省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4 : 1974

      1 町田章, "立命館文學" 立命館大學 人文學會 1981

      2 김정열,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3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동아시아 문명의 기원 탐구를 위한 서주시기 東夷·夷族 관련 출토자료 집성" 2011

      4 오대양, "기원전 14~11세기 요서지역 토착문화와 중원문화의 상관성 검토 - 묘제 양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63) : 11-69, 2019

      5 오강원, "고조선 위치비정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 48 : 1997

      6 蔣剛, "關於圍坊三期文化和張家園上層文化的再認識" 5 : 2010

      7 林永昌, "遼西地區銅器窖藏性質再分析" 34 : 2007

      8 孫思賢, "遼寧義縣發現商周銅器窖藏" 2 : 1982

      9 喀左縣文化館, "遼寧省喀左縣山灣子出土殷周靑銅器" 12 : 1977

      10 喀左縣文化館, "遼寧省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4 : 1974

      11 喀左縣文化館, "遼寧省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4 : 1974

      12 王成生, "遼寧喀左縣高家洞商周墓" 4 : 1998

      13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縣北洞村發現殷代靑銅器" 4 : 1973

      14 克什克騰旗文化館, "遼寧克什克騰旗天寶同發現商代銅甗" 5 : 1977

      15 尹小燕, "遷安縣發現商代器物" 1 : 1996

      16 羅振玉, "貞松堂集古遺文" 北京圖書館出版社 2003

      17 張昌平, "論隨州羊子山新出噩國靑銅器" 11 : 2011

      18 侯仁之, "論北京建城之始" 3 : 1990

      19 韓嘉穀, "論北京地區爲‘其’國(族)故地" 1 : 1995

      20 王國維, "觀堂集林 (附別集)" 中華書局 1959

      21 陳夢家, "西周銅器斷代" 中華書局 2004

      22 민후기, "西周王朝의 晉, 豫, 燕 지역의 封建 - 山西, 河南, 河北, 北京, 遼寧, 天津, 內蒙古 지역 遺址와 銘文 출토지의 분석 -" 동양사학회 (134) : 1-63, 2016

      23 陳光, "西周燕國文化初論" 1 : 2000

      24 張海, "西周建‘侯’制度與邊域政治地理硏究" 北京大學 2017

      25 任偉, "西周封建考疑"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4

      26 이유표, "西周 金文에 보이는 ‘秦夷’와 『繫年』의 ‘商奄之民’" 동양사학회 (135) : 123-158, 2016

      27 이유표, "西周 초기 ‘箕子’의 朝鮮 冊封 가능성 검토: 諸侯 冊封 양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34) : 65-97, 2017

      28 배진영, "西周 前期 燕國의 成立과 姬燕文化의 형성" 73 : 2001

      29 葛英會, "箕子朝鮮과 周代燕·㠱" 11 : 2012

      30 박대재, "箕子 관련 商周靑銅器 銘文과 箕子東來說" 한국고대학회 (32) : 111-149, 2010

      31 韓嘉穀, "燕文化硏究論文集"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5

      32 韓嘉穀, "燕史源流的考古學考察" 天津市歷史博物館 1984

      33 李廷儉, "熱河凌源海島營子村發現的古代靑銅器" 8 : 1955

      34 張禮艶, "灃西地區殷遺民的社會地位及其變遷" 2 : 2013

      35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滕州前掌大墓地" 文物出版社 2005

      36 胡秉華, "滕州前掌大商代墓葬" 3 : 1992

      37 黃鳳春, "湖北隨州葉家山新出西周曾國銅器及相關問題" 11 : 2011

      38 李學勤, "淸華大學藏戰國楚竹簡(貳)" 中西書局 2011

      39 李宗山, "河北省遷安縣出土兩件商代銅器" 6 : 1996

      40 江蘇省文物管理委員會, "江蘇省丹徒縣煙墩山出土的古代靑銅器" 5 : 1955

      41 王長豐, "殷周金文族徽整理與硏究" 鄭州大學 2006

      42 李朝遠, "東方考古 4" 科學出版社 2008

      43 張博泉, "東北地方史稿" 吉林大學出版社 1985

      44 甲元眞之, "東北アジアの考古學-天池" 六興出版 1990

      45 陳槃, "春秋大事表列國爵姓及存滅表譔異"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1997

      46 唐蘭, "從河南鄭州出土的商代前期靑銅器談起" 3 : 1973

      47 蘇赫, "從昭盟發現的大型靑銅器試論北方的早期靑銅文明" 2 : 1982

      48 李學勤, "從新出靑銅器看長江下游文化的發展" 8 : 1980

      49 張禮艶, "從墓葬材料看豐鎬地區西周時期的人群構成" 2 : 2015

      50 王震中, "山東半島 초기 해양문명과 春秋戰國 시기 韓中日 삼국의 해양 실크로드" 수선사학회 (59) : 1-17, 2017

      51 陳絜, "宜侯吳簋與宜地地望" 3 : 2018

      52 李學勤, "孤竹試論" 2 : 1983

      53 蔣剛, "太行山兩翼北方靑銅文化的演進及其與夏商西周文化的互動" 吉林大學 2006

      54 北京大學考古學系商周組, "天馬-曲村" 科學出版社 2000

      55 이형구, "大陵河流域의 殷末周初 靑銅器文化와 箕子 및 箕子朝鮮" 5 : 1991

      56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喀左和尙溝墓地" 2 : 1989

      57 劉緖, "商왕조의 東方 經略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9) : 2011

      58 徐昭峰, "商王朝東征與商夷關係" 2 : 2012

      59 吳鎭烽, "商周靑銅器銘文曁圖像集成續編" 上海古籍出版社 2016

      60 吳鎭烽, "商周靑銅器銘文曁圖像集成" 上海古籍出版社 2012

      61 何景成, "商周靑銅器族氏銘文硏究" 齊魯書社 2009

      62 雒有倉, "商周靑銅器族徽文字綜合硏究" 陝西師範大學 2007

      63 張海, "商周時期的鬼方·媿姓族氏及其華夏化" 2 : 2015

      64 심재훈, "商周 청동기를 통해 본 箕族의 이산과 성쇠" 역사학회 (200) : 371-418, 2008

      65 李衡梅, "周初主要封國名稱由來初探" 2 : 1987

      66 張懋鏞, "周人不用日名說" 5 : 1993

      67 張懋鏞, "周人不用族徽·日名說的考古學意義-從隨州葉家山西周曾國墓地談起" 4 : 2014

      68 張懋鏞, "周人不用族徽說" 9 : 1995

      69 "史記" 中華書局 1959

      70 顧頡剛, "古史辨 1" 上海古籍出版社 1982

      71 "十三經注疏" 上海古籍出版社 1997

      72 "十三經注疏" 上海古籍出版社 1997

      73 程長新, "北京市順義縣牛欄山出土一組周初帶銘靑銅器" 11 : 1983

      74 晏琬, "北京·遼寧出土銅器與周初的燕" 5 : 1975

      75 李學勤, "出土文獻 第二輯" 中西書局 2011

      76 張懋鏞, "再論‘周人不用日名說’" 3 : 2009

      77 蔣剛, "冀西北京津唐地區夏商西周北方靑銅文化的演進" 4 : 2010

      78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中國考古學-兩周卷"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4

      79 孟克托力, "中國東北邊疆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80 전광진, "中國 靑銅器 『史牆盤』 銘文에 대한 文獻學的 硏究" 24 :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