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  예술대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 The theory and practice for academic 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3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important to produce contents which can show one’s own view for college writing as an academic writing. Creative contents should be supported by creativity of questioning, various reading of references. The assignment of college writing class is to be consisted of things to train these. That is, it should be like emphasizing critical mind, reflecting reading academic books as references, analyzing texts as a way of exercise for different view. The creativity, objectivity, and concreteness can be followed by propriety of questioning, effective applying of references (quotations, notes), various examples, providing grounds of arguments, which consist of a form of writing. Above all things, college writing requires critical thinking, and its purpose is to lead the thinking to be communicated as a reasonable one.
      번역하기

      It is important to produce contents which can show one’s own view for college writing as an academic writing. Creative contents should be supported by creativity of questioning, various reading of references. The assignment of college writing class ...

      It is important to produce contents which can show one’s own view for college writing as an academic writing. Creative contents should be supported by creativity of questioning, various reading of references. The assignment of college writing class is to be consisted of things to train these. That is, it should be like emphasizing critical mind, reflecting reading academic books as references, analyzing texts as a way of exercise for different view. The creativity, objectivity, and concreteness can be followed by propriety of questioning, effective applying of references (quotations, notes), various examples, providing grounds of arguments, which consist of a form of writing. Above all things, college writing requires critical thinking, and its purpose is to lead the thinking to be communicated as a reasonable 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술적 글쓰기로서의 대학글쓰기는 자기 시각을 드러낼 수 있는 내용 생산이 중요하다. 창의적 내용은 문제제기의 독창성, 다양한 참고문헌 읽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대학 글쓰기 수업의 과제는 이러한 것을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문제의식을 강조할 수 있는 글, 참고문헌으로서의 학술서적 읽기를 반영하는 글, 새롭게 보기의 연습으로 텍스트 분석을 해 볼 수 있는 글쓰기가 되도록 한다.
      학술적 글쓰기에 요구되는 독창성, 객관성, 구체성도 문제의식의 타당성, 참고문헌의 효과적인 활용(인용, 주석), 다양한 사례, 논거 제시 등으로 글의 형식을 갖추었을 때 확보될 수 있다. 무엇보다 대학 글쓰기는 따지면서 생각하기를 요구하며, 그 생각이 타당한 것으로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번역하기

      학술적 글쓰기로서의 대학글쓰기는 자기 시각을 드러낼 수 있는 내용 생산이 중요하다. 창의적 내용은 문제제기의 독창성, 다양한 참고문헌 읽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대학 글쓰기 수업의 ...

      학술적 글쓰기로서의 대학글쓰기는 자기 시각을 드러낼 수 있는 내용 생산이 중요하다. 창의적 내용은 문제제기의 독창성, 다양한 참고문헌 읽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대학 글쓰기 수업의 과제는 이러한 것을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문제의식을 강조할 수 있는 글, 참고문헌으로서의 학술서적 읽기를 반영하는 글, 새롭게 보기의 연습으로 텍스트 분석을 해 볼 수 있는 글쓰기가 되도록 한다.
      학술적 글쓰기에 요구되는 독창성, 객관성, 구체성도 문제의식의 타당성, 참고문헌의 효과적인 활용(인용, 주석), 다양한 사례, 논거 제시 등으로 글의 형식을 갖추었을 때 확보될 수 있다. 무엇보다 대학 글쓰기는 따지면서 생각하기를 요구하며, 그 생각이 타당한 것으로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대학 글쓰기의 목적과 구성
      • 1.1. 수업 목적 분명히 하기
      • 1.2. 수업 방향과 구성
      • 2. 대학 글쓰기의 실제: <기말소논문>사례 중심
      • 2.1. 삶과 글쓰기: 문제의식 구체화하기
      • 1. 대학 글쓰기의 목적과 구성
      • 1.1. 수업 목적 분명히 하기
      • 1.2. 수업 방향과 구성
      • 2. 대학 글쓰기의 실제: <기말소논문>사례 중심
      • 2.1. 삶과 글쓰기: 문제의식 구체화하기
      • 2.2. 글쓰기 형식의 중요성: 목차짜기, 서론쓰기
      • 2.3. 구체적, 객관적 글쓰기: 논리적 글쓰기의 기본요건
      • 3. 예술대 학생들의 글쓰기 지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