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춘애, "한국관묘(關廟)와 중국관우희(關羽戱) 연구" 제4집 : 2002
2 고승길, "한국과 아시아의 山車 연극과 인간" 서울: 연극과 인간 2004
3 강춘애, "중일 무대의 발상-사사(社寺)와 사묘(祠廟)무대를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1 (11): 251-286, 2005
4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서울: 일지사 2000
5 사진실, "조선시대 궁정 공연 공간의 양상과 극장사적 의의" 서울: 서울학연구소 15 : 2000
6 김학주, "일 세나라의 고대 연희에 대하여 동방문학비교연구회 제126차 연구 발표논문"
7 강춘애, "산악백희 명칭의 원류" (제21호) : 2004
8 사진실, "동아시아의 ‘신성한 산’ 설행에 나타난 욕망과 이념"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265-296, 2006
9 이상경, "노. 가부키의 미학" 태학사 2003
10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서울: 태학사 2002
1 강춘애, "한국관묘(關廟)와 중국관우희(關羽戱) 연구" 제4집 : 2002
2 고승길, "한국과 아시아의 山車 연극과 인간" 서울: 연극과 인간 2004
3 강춘애, "중일 무대의 발상-사사(社寺)와 사묘(祠廟)무대를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1 (11): 251-286, 2005
4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서울: 일지사 2000
5 사진실, "조선시대 궁정 공연 공간의 양상과 극장사적 의의" 서울: 서울학연구소 15 : 2000
6 김학주, "일 세나라의 고대 연희에 대하여 동방문학비교연구회 제126차 연구 발표논문"
7 강춘애, "산악백희 명칭의 원류" (제21호) : 2004
8 사진실, "동아시아의 ‘신성한 산’ 설행에 나타난 욕망과 이념"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265-296, 2006
9 이상경, "노. 가부키의 미학" 태학사 2003
10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서울: 태학사 2002
11 강춘애, "韓國關廟中國關廟戱臺(한국관묘와 중국관묘극장)" (9월호.) : 2003
12 小澤弘, "都市圖の系譜と江戶" 吉川弘文館 2002
13 劉徐州 編著, "趣談中國樓" 百花文藝出版社 2004
14 小木新造/竹內誠 編, "江戶名所圖屛風の世界" 岩波書店 1992
15 竹內芳太郞, "日本劇場圖史 2冊" 1935
16 須田敦夫, "日本劇場史の硏究 相摸書房" 1957
17 諏訪春雄, "日中舞臺の類同性" 태학사 2001
18 野上豊一郞, "序破急の理論 能硏究と發見" 1930 : 岩波書店
19 植木行宣, "山屋台の祭り-風流の開花" 白水社 2001
20 信立祥, "信立祥 中國漢代畵像石の硏究" 同成社 1996
21 周華斌, "中國早期劇場論" 제10집 : 1998
22 廖奔, "中國古代劇場史" 中州古籍出版社 1997
23 "http://www.minchu.or.kr/MAN/index.jsp" 민족문화추진회
24 "http://www. koreanhistory.or.kr"
25 "http://www. k5000.nurimedia.co.kr KRpia" 한국학데이터베이스.
26 車文明, "20世紀戱曲文物的發現與曲學硏究 文化藝術出版社" 文化藝術出版社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