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다(Veda)와 우파니샤드(Upaniṣad)의 상호관련성 연구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eda and Upaniṣad: Focusing on the Basic Concepts of Īśavāsyopaniṣad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Puruṣasūkta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5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좁은 의미의 베다는 베다 본집인 쌍히따를 말하며, 넓은 의미의 베다는 쌍히따들과 브라흐마나, 아란야까, 그리고 우파니샤드까지를 포함한다. 이 넓은 의미의 베다는 크게 ‘행위의 편’과 ‘지혜의 편’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우파니샤드는 쌍히따와 제식적인 관련성도 일부 가지나 제식과의 관련에 있어서는 제식이 가지고 있는 형이상학적인 의미를 해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에 ‘지혜의 편’에 해당된다. 베다의 형이상학은 우주삼라만상의 다양성 속에서 단일성을 보는 것이다. 우파니샤드는 이러한 베다의 형이상학을 전개하므로 베다의 정수에 해당된다. 그리고 모든 우파니샤드는 각각『리그베다』, 『슈끌라야주르베다』, 『끄리스나야주르베다』, 『싸마베다』, 『아타르바베다』와 상호관련성을 가진다. 우파니샤드 가운데 유일하게 베다의 내용에 해당하는 우파니샤드인 『이샤우파니샤드』는 그 자체가 『슈끌라야주르베다』의 일부분이고, 『아이따레야우파니샤드』는 『아이따레야아란야까』의 부분들이며, 『찬도그야우파니샤드』는 『찬도그야브라흐마나』의 부분들이다. 따라서 본래 우파니샤드는 그 자체가 베다, 브라흐마나, 아란야까의 부분들 가운데 형이상학적인 내용을 담은 부분을 지칭하던 명칭이었으나, 세월이 흐르며 베다, 브라흐마나, 아란야까의 일부분이 아니더라도 베다의 형이상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을 모두 우파니샤드로 명명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우파니샤드 가운데 베다의 부분에 해당되는 『이샤우파니샤드』의 근본개념은 나와 나를 제외한 모든 존재가 바로 절대자이며, 행위와 지혜의 양 날개가 절대자를 체현하는, 즉 해탈을 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이 근본개념을 『리그베다』의 뿌루샤찬가의 해석에 적용하면, 수수께끼처럼 이해하기 힘든 ‘천신들은 제사로 제사를 올렸으니 그것은 첫째가는 의식이었네’라는 구절의 의미가 ‘지혜의 제사’를 통해, 즉 ‘지혜의 제사’와 더불어 ‘행위의 제사’를 올렸으니 그것이 바로 첫째가는 의식이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아울러 ‘천신들과 싸드야들과 선인들이 뿌루샤를 제물로 삼아 제사를 지냄으로 세상이 생겨났다’는 말의 의미는 우주창조의 원형을 반복한다는 뜻으로 해석되어 비록 모든 세상이 뿌루샤에서 비롯되었지만, 천신들과 싸드야들과 선인들이 지혜의 정화인 뿌루샤를 제물로 삼아 제사를 지냄으로 세상이 생겨난 것으로 이해되어 진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베다와 우파니샤드의 상호관련성은 우파니샤드에 의해서 형이상학적인 베다의 숨은 생명이 드러나는 그런 관련성임이 확인된다.
      번역하기

      좁은 의미의 베다는 베다 본집인 쌍히따를 말하며, 넓은 의미의 베다는 쌍히따들과 브라흐마나, 아란야까, 그리고 우파니샤드까지를 포함한다. 이 넓은 의미의 베다는 크게 ‘행위의 편’과...

      좁은 의미의 베다는 베다 본집인 쌍히따를 말하며, 넓은 의미의 베다는 쌍히따들과 브라흐마나, 아란야까, 그리고 우파니샤드까지를 포함한다. 이 넓은 의미의 베다는 크게 ‘행위의 편’과 ‘지혜의 편’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우파니샤드는 쌍히따와 제식적인 관련성도 일부 가지나 제식과의 관련에 있어서는 제식이 가지고 있는 형이상학적인 의미를 해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에 ‘지혜의 편’에 해당된다. 베다의 형이상학은 우주삼라만상의 다양성 속에서 단일성을 보는 것이다. 우파니샤드는 이러한 베다의 형이상학을 전개하므로 베다의 정수에 해당된다. 그리고 모든 우파니샤드는 각각『리그베다』, 『슈끌라야주르베다』, 『끄리스나야주르베다』, 『싸마베다』, 『아타르바베다』와 상호관련성을 가진다. 우파니샤드 가운데 유일하게 베다의 내용에 해당하는 우파니샤드인 『이샤우파니샤드』는 그 자체가 『슈끌라야주르베다』의 일부분이고, 『아이따레야우파니샤드』는 『아이따레야아란야까』의 부분들이며, 『찬도그야우파니샤드』는 『찬도그야브라흐마나』의 부분들이다. 따라서 본래 우파니샤드는 그 자체가 베다, 브라흐마나, 아란야까의 부분들 가운데 형이상학적인 내용을 담은 부분을 지칭하던 명칭이었으나, 세월이 흐르며 베다, 브라흐마나, 아란야까의 일부분이 아니더라도 베다의 형이상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을 모두 우파니샤드로 명명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우파니샤드 가운데 베다의 부분에 해당되는 『이샤우파니샤드』의 근본개념은 나와 나를 제외한 모든 존재가 바로 절대자이며, 행위와 지혜의 양 날개가 절대자를 체현하는, 즉 해탈을 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이 근본개념을 『리그베다』의 뿌루샤찬가의 해석에 적용하면, 수수께끼처럼 이해하기 힘든 ‘천신들은 제사로 제사를 올렸으니 그것은 첫째가는 의식이었네’라는 구절의 의미가 ‘지혜의 제사’를 통해, 즉 ‘지혜의 제사’와 더불어 ‘행위의 제사’를 올렸으니 그것이 바로 첫째가는 의식이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아울러 ‘천신들과 싸드야들과 선인들이 뿌루샤를 제물로 삼아 제사를 지냄으로 세상이 생겨났다’는 말의 의미는 우주창조의 원형을 반복한다는 뜻으로 해석되어 비록 모든 세상이 뿌루샤에서 비롯되었지만, 천신들과 싸드야들과 선인들이 지혜의 정화인 뿌루샤를 제물로 삼아 제사를 지냄으로 세상이 생겨난 것으로 이해되어 진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베다와 우파니샤드의 상호관련성은 우파니샤드에 의해서 형이상학적인 베다의 숨은 생명이 드러나는 그런 관련성임이 확인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eda in a narrow sense is Sa?hit?. But Veda in a broad sense includes not only Sa?hit? but also Br?hma?a, ?ra?yaka and Upani?ad, and Veda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karmak???a and jn?nak???a.
      Generally, Upani?ad partially has a few relations to Sa?hit? in ritual formalities but it has more focus on the interpretation of its metaphysical meaning. So Upani?ad is corresponded to jn?nak???a. Metaphysics of Veda is to find the unicity in the diversity of the universe. Since the metaphysics of Veda is developed in Upani?ad, it is safe to say that Upani?ad is the essence of Veda. And every Upani?ads have interrelationships with ?gveda, ?uklayajurveda, K???ayajurveda, S?maveda, Atharvaveda.
      ??opani?ad is the only Upani?ad which has Vedic sense of metaphysics in itself and it is a part of ?uklayajurveda. And Aitareyopani?ad is a part of Aitareya ?ra?yaka, and Ch?ndogyopani?ad is a part of Ch?ndogya Br?hma?a. Thus Upani?ad itself was originally designated as a part containing metaphysical texts among parts of Veda, Br?hma?a and ?ra?yaka. However, as time passes, if something has Vedic metaphysical sense, that was begun to be called as Upani?ad even if it is not a part of Veda, Br?hma?a or ?ra?yaka.
      The basic idea of ??opani?ad corresponded to the part of Veda among Upani?ad is that every beings is the absolute being that is embodied by deed and wisdom, and namely it is the very means for mok?a. If we apply this basic idea to interpretation of Puru?as?kta of ?gveda, the meaning of the phrase that 'Devas hold a rite as a rite, and it was the greatest rite' can be interpreted as the best rite. Because karmayajnya was hold with jn?nayajnya and through jn?nayajnya.
      Also the meaning of the phrase that 'the world was created by deva, s?dhya and ??i for sacrificing puru?a' can be interpreted as repeating of archetype of universe creation. It is true that every world was came from puru?a. But this can be also interpreted in this way that the world was created for sacrificing puru?a by deva, s?dhya and ??i.
      Judging from the facts like thes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eda and Upani?ad is confirmed by Upani?ad through revelation of hidden metaphysical truth of Veda.
      번역하기

      Veda in a narrow sense is Sa?hit?. But Veda in a broad sense includes not only Sa?hit? but also Br?hma?a, ?ra?yaka and Upani?ad, and Veda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karmak???a and jn?nak???a. Generally, Upani?ad partially has a few relation...

      Veda in a narrow sense is Sa?hit?. But Veda in a broad sense includes not only Sa?hit? but also Br?hma?a, ?ra?yaka and Upani?ad, and Veda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karmak???a and jn?nak???a.
      Generally, Upani?ad partially has a few relations to Sa?hit? in ritual formalities but it has more focus on the interpretation of its metaphysical meaning. So Upani?ad is corresponded to jn?nak???a. Metaphysics of Veda is to find the unicity in the diversity of the universe. Since the metaphysics of Veda is developed in Upani?ad, it is safe to say that Upani?ad is the essence of Veda. And every Upani?ads have interrelationships with ?gveda, ?uklayajurveda, K???ayajurveda, S?maveda, Atharvaveda.
      ??opani?ad is the only Upani?ad which has Vedic sense of metaphysics in itself and it is a part of ?uklayajurveda. And Aitareyopani?ad is a part of Aitareya ?ra?yaka, and Ch?ndogyopani?ad is a part of Ch?ndogya Br?hma?a. Thus Upani?ad itself was originally designated as a part containing metaphysical texts among parts of Veda, Br?hma?a and ?ra?yaka. However, as time passes, if something has Vedic metaphysical sense, that was begun to be called as Upani?ad even if it is not a part of Veda, Br?hma?a or ?ra?yaka.
      The basic idea of ??opani?ad corresponded to the part of Veda among Upani?ad is that every beings is the absolute being that is embodied by deed and wisdom, and namely it is the very means for mok?a. If we apply this basic idea to interpretation of Puru?as?kta of ?gveda, the meaning of the phrase that 'Devas hold a rite as a rite, and it was the greatest rite' can be interpreted as the best rite. Because karmayajnya was hold with jn?nayajnya and through jn?nayajnya.
      Also the meaning of the phrase that 'the world was created by deva, s?dhya and ??i for sacrificing puru?a' can be interpreted as repeating of archetype of universe creation. It is true that every world was came from puru?a. But this can be also interpreted in this way that the world was created for sacrificing puru?a by deva, s?dhya and ??i.
      Judging from the facts like thes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eda and Upani?ad is confirmed by Upani?ad through revelation of hidden metaphysical truth of Ved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기
      • Ⅱ.『이샤우파니샤드』의 근본개념
      • Ⅲ.『이샤우파니샤드』와 뿌루샤찬가의 상호관련성
      • Ⅳ. 나가기
      • 국문요약
      • Ⅰ. 들어가기
      • Ⅱ.『이샤우파니샤드』의 근본개념
      • Ⅲ.『이샤우파니샤드』와 뿌루샤찬가의 상호관련성
      • Ⅳ. 나가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근동, "인도의 전통적 베다 해석과 현대적 해석에 관하여" 305-326, 1996

      2 임근동, "베다에 나타난 창조신화의 다양성과 단일성" (3) : 269-283, 1998

      3 "Ṛgvedasaṁhitā" Vaidika Saṁśodhana Maṇḍala 1984

      4 Harikṛṣṇadāsa, Goyandakā, "Īśādi Nau Upaniṣad(10th edition)" Gītā Press 1983

      5 Rajayade, V. K., "Yāska's Niruktta" B. O. R. I. 1985

      6 Śrīgovindaśāstri, "Works of Śaṅkarācārya in Original Sanskrit Volume I Ten Principal Upaniṣads with Śaṅkarabhāṣya" Motilal Banarsidass 2007

      7 "Vājasaneyi Mādhyandina Śukla Yajurveda Saṁitā" M. B. D. 1987

      8 Radhakrishnan, S., "The Principal Upaniṣads" HarperCollins Publishers 2008

      9 Caube, Vajra Bihārī, "Saṁskṛta-vāṁmaya kā bṛhad itihāsa Prathama khaṇḍa veda" Uttara Pradeśa Saṁkrṛta Saṁsthāna 1996

      10 Yudhiṣṭhira, Mīmāṁsaka, "Saṁskṛta-dhātu-koṣa" Rāmalāla Kapūra Ṭrasṭa Presa 1989

      1 임근동, "인도의 전통적 베다 해석과 현대적 해석에 관하여" 305-326, 1996

      2 임근동, "베다에 나타난 창조신화의 다양성과 단일성" (3) : 269-283, 1998

      3 "Ṛgvedasaṁhitā" Vaidika Saṁśodhana Maṇḍala 1984

      4 Harikṛṣṇadāsa, Goyandakā, "Īśādi Nau Upaniṣad(10th edition)" Gītā Press 1983

      5 Rajayade, V. K., "Yāska's Niruktta" B. O. R. I. 1985

      6 Śrīgovindaśāstri, "Works of Śaṅkarācārya in Original Sanskrit Volume I Ten Principal Upaniṣads with Śaṅkarabhāṣya" Motilal Banarsidass 2007

      7 "Vājasaneyi Mādhyandina Śukla Yajurveda Saṁitā" M. B. D. 1987

      8 Radhakrishnan, S., "The Principal Upaniṣads" HarperCollins Publishers 2008

      9 Caube, Vajra Bihārī, "Saṁskṛta-vāṁmaya kā bṛhad itihāsa Prathama khaṇḍa veda" Uttara Pradeśa Saṁkrṛta Saṁsthāna 1996

      10 Yudhiṣṭhira, Mīmāṁsaka, "Saṁskṛta-dhātu-koṣa" Rāmalāla Kapūra Ṭrasṭa Presa 1989

      11 Limaye, V. P., "Eighteen Principal Upaniṣads" Vaidika Saṁśodhana Maṇḍala 1958

      12 Bandhu, Vishva, "Atharvaveda" Vishveshvaranad Vedic Research Institute 196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dia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Indi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인도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Indian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49 1.62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