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북위 平城期 沙嶺벽화고분의 연구 = A Study of the Shaling Tombs in the Pingcheng Period of the Northern We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0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Pingcheng Period (398-494), which designates the time period when the capital of the Northern Wei was located in Pingcheng, a unique type of artistic culture was developed thanks to the ethnic blending between northern nomadic peoples and the Han Chinese, which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main curr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art.
      The Northern Wei funerary art in the Pingcheng Period is considered particular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origins of the artistic traditions and styles as well as the ideas and practices regarding funerals and ritual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Past scholarship on Northern Wei funerary art has focused mainly on tombs from the post-Pingcheng Period. In recent years, however, a series of new archaeological discoveries were made, casting new light on the tomb art of the Pincheng Period in Northern Wei and calling for its new assessment. The Shaling Mural Tomb in Shaling Village of Datong in Shanxi Province constructed in the 1st year of Taiyan era (435)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period. Mural paintings on richly-varied themes, found inside this tomb,bear great testimony to the art of Northern Wei during the Pingcheng Period.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the Pingcheng Period by comparing the murals of Shaling Tomb with other murals in contemporary tombs. During the earlier part of the Pingcheng Period, the Northern Wei tomb murals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Han and Jin Dynasties both in terms of subject and composition. The Northern Wei was exposed to the influence of Han and Jin art as part of the process of integrating northeastern painting style during the Wei and Jin Period. The way people are portrayed and details of lifestyle and customs depicted in these murals echo certain aspects of the northern burial culture of the Xianbei. Meanwhile, among new influences, Buddhist themes and iconography were seamlessly blended into the native concept of afterlife and became recreated into something that is distinctively of the Northern Wei. The overall composition of paintings, compared to the Jin and Han Period, became freer and less stilted, and their visual style, bolder, livelier and more spirited. This tendency persisted until the mid-5th century,to become embodied in the art of the Pingcheng Period. Later with the coming of the age of Buddhist culture and an increased exchange with the Central Asian region and beyond,the Northern Wei developed a yet more open and diversified artistic culture. Once into the late Pingcheng Period, legendary or historical events with Confucian subtexts became the dominant subjects in paintings, while stylistically there was a shift toward Southern Dynasties style. The Northern Wei paintings in the late Pingcheng Period show overall a greater degree of maturity and refinement than in the early or mid-Pingcheng Period. These themes and expressive techniques were creatively inherited by the Northern Wei tomb art of the subsequent Luoyang Period, exerting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rt of the lat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While the Northern Wei had its capital in Pingcheng, it gave birth to remarkably diversified and eclectic art forms with a strong northern undertone. This unique cultural vivaciousness of the Northern Wei was no doubt the result of this dynasty’s openness to cultures from the outside. Research on Northern Wei art of the Pingcheng Period could also shed light on the 5th-century tomb art and funeral customs of East Asia as a whole and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structure of burial-related art forms developed in this region.
      번역하기

      During the Pingcheng Period (398-494), which designates the time period when the capital of the Northern Wei was located in Pingcheng, a unique type of artistic culture was developed thanks to the ethnic blending between northern nomadic peoples and t...

      During the Pingcheng Period (398-494), which designates the time period when the capital of the Northern Wei was located in Pingcheng, a unique type of artistic culture was developed thanks to the ethnic blending between northern nomadic peoples and the Han Chinese, which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main curr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art.
      The Northern Wei funerary art in the Pingcheng Period is considered particular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origins of the artistic traditions and styles as well as the ideas and practices regarding funerals and ritual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Past scholarship on Northern Wei funerary art has focused mainly on tombs from the post-Pingcheng Period. In recent years, however, a series of new archaeological discoveries were made, casting new light on the tomb art of the Pincheng Period in Northern Wei and calling for its new assessment. The Shaling Mural Tomb in Shaling Village of Datong in Shanxi Province constructed in the 1st year of Taiyan era (435)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period. Mural paintings on richly-varied themes, found inside this tomb,bear great testimony to the art of Northern Wei during the Pingcheng Period.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the Pingcheng Period by comparing the murals of Shaling Tomb with other murals in contemporary tombs. During the earlier part of the Pingcheng Period, the Northern Wei tomb murals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Han and Jin Dynasties both in terms of subject and composition. The Northern Wei was exposed to the influence of Han and Jin art as part of the process of integrating northeastern painting style during the Wei and Jin Period. The way people are portrayed and details of lifestyle and customs depicted in these murals echo certain aspects of the northern burial culture of the Xianbei. Meanwhile, among new influences, Buddhist themes and iconography were seamlessly blended into the native concept of afterlife and became recreated into something that is distinctively of the Northern Wei. The overall composition of paintings, compared to the Jin and Han Period, became freer and less stilted, and their visual style, bolder, livelier and more spirited. This tendency persisted until the mid-5th century,to become embodied in the art of the Pingcheng Period. Later with the coming of the age of Buddhist culture and an increased exchange with the Central Asian region and beyond,the Northern Wei developed a yet more open and diversified artistic culture. Once into the late Pingcheng Period, legendary or historical events with Confucian subtexts became the dominant subjects in paintings, while stylistically there was a shift toward Southern Dynasties style. The Northern Wei paintings in the late Pingcheng Period show overall a greater degree of maturity and refinement than in the early or mid-Pingcheng Period. These themes and expressive techniques were creatively inherited by the Northern Wei tomb art of the subsequent Luoyang Period, exerting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rt of the lat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While the Northern Wei had its capital in Pingcheng, it gave birth to remarkably diversified and eclectic art forms with a strong northern undertone. This unique cultural vivaciousness of the Northern Wei was no doubt the result of this dynasty’s openness to cultures from the outside. Research on Northern Wei art of the Pingcheng Period could also shed light on the 5th-century tomb art and funeral customs of East Asia as a whole and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structure of burial-related art forms developed in this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위 平城期(398-494)는 다양한 북방유목민족과 한족이 융합되면서 특수한 미술문화를 창출하였으며, 이는 중국 고대미술문화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은 중국 남북조시대 미술의 연원및 화풍, 그리고 당시의 喪葬관념과 의례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북위의 고분미술에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평성기의 후기 고분에 집중되었는데, 최근 일련의 고고학적인 발굴과 자료가 축적되었기에, 이를 토대로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을 재논의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山西省 大同 沙嶺村에서 발견된 북위 太延원년(435)의 사령벽화고분은 이러한 북위 평성기의 대표적인 벽화고분으로, 고분에서 발견된 다양한 제재의 회화자료는 당시의 미술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고는 사령벽화고분과 동시기 출토된 기타 고분의 회화자료들을 비교·대조하여, 북위 평성기 고분미술의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평성 전기 고분회화의 제재와 구성은 漢晉시대 회화전통을 계승했으며, 이는 위진시기 중국 동북지역의 회화양식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각 인물의 형상과 복식 및 생활풍속의 장면에는 북방 선비족의 상장문화가 잔존한다. 한편 새로운 양식이 수용되는데, 그 가운데 불교적제재의 도상과 문양은 고분미술이 지니는 내세관과 융합되어 독자적인 차용이 이루어진다. 전체 화면은진한대와 비교하여 보다 자유로운 화면이 운용되며, 힘차고 활달한 화풍이 구사되어 생동감이 넘친다. 이러한 미술의 특징은 5세기 중엽까지 지속되어, 북위 평성기의 미술상으로 정착된다. 이후 불교문화가 성숙되고 서역과의 문물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다양하고 개방적인 미술양식이 형성된다. 평성기 후기에 접어들면서, 회화제재는 유교적인 이념의 고사들로 채워지고, 남조의 화풍이 수용된다. 전체적인 화풍은 평성기전·중기의 양식과는 다르게 숙련되고 뛰어난 정제미를 보이는데, 이러한 회화제재와 표현법은 북위가 낙양으로 천도한 이후의 고분미술로 연결되어 남북조 후기 미술양식의 토대를 이룬다.
      북위는 평성이라는 무대를 중심으로 강한 북방적 기질이 어우러진 다양하고 복잡한 미술문화를 배태시켰는데, 이는 외부문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북위의 독자적인 문화양상이었다고볼 수 있다. 이러한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에 관한 연구는 5세기 동아시아 고분미술과 예제문화의 실상을규명하고 구조적인 체제를 이해하는 데 일조하리라 본다.
      번역하기

      북위 平城期(398-494)는 다양한 북방유목민족과 한족이 융합되면서 특수한 미술문화를 창출하였으며, 이는 중국 고대미술문화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은 중국 남북...

      북위 平城期(398-494)는 다양한 북방유목민족과 한족이 융합되면서 특수한 미술문화를 창출하였으며, 이는 중국 고대미술문화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은 중국 남북조시대 미술의 연원및 화풍, 그리고 당시의 喪葬관념과 의례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북위의 고분미술에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평성기의 후기 고분에 집중되었는데, 최근 일련의 고고학적인 발굴과 자료가 축적되었기에, 이를 토대로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을 재논의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山西省 大同 沙嶺村에서 발견된 북위 太延원년(435)의 사령벽화고분은 이러한 북위 평성기의 대표적인 벽화고분으로, 고분에서 발견된 다양한 제재의 회화자료는 당시의 미술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고는 사령벽화고분과 동시기 출토된 기타 고분의 회화자료들을 비교·대조하여, 북위 평성기 고분미술의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평성 전기 고분회화의 제재와 구성은 漢晉시대 회화전통을 계승했으며, 이는 위진시기 중국 동북지역의 회화양식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각 인물의 형상과 복식 및 생활풍속의 장면에는 북방 선비족의 상장문화가 잔존한다. 한편 새로운 양식이 수용되는데, 그 가운데 불교적제재의 도상과 문양은 고분미술이 지니는 내세관과 융합되어 독자적인 차용이 이루어진다. 전체 화면은진한대와 비교하여 보다 자유로운 화면이 운용되며, 힘차고 활달한 화풍이 구사되어 생동감이 넘친다. 이러한 미술의 특징은 5세기 중엽까지 지속되어, 북위 평성기의 미술상으로 정착된다. 이후 불교문화가 성숙되고 서역과의 문물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다양하고 개방적인 미술양식이 형성된다. 평성기 후기에 접어들면서, 회화제재는 유교적인 이념의 고사들로 채워지고, 남조의 화풍이 수용된다. 전체적인 화풍은 평성기전·중기의 양식과는 다르게 숙련되고 뛰어난 정제미를 보이는데, 이러한 회화제재와 표현법은 북위가 낙양으로 천도한 이후의 고분미술로 연결되어 남북조 후기 미술양식의 토대를 이룬다.
      북위는 평성이라는 무대를 중심으로 강한 북방적 기질이 어우러진 다양하고 복잡한 미술문화를 배태시켰는데, 이는 외부문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북위의 독자적인 문화양상이었다고볼 수 있다. 이러한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에 관한 연구는 5세기 동아시아 고분미술과 예제문화의 실상을규명하고 구조적인 체제를 이해하는 데 일조하리라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정희, "중국 분묘 벽화에 보이는 墓主圖의 변천" 한국미술사학회 261 (261): 105-147, 2009

      2 전호태, "고구려 안악3호분 재론" 한국고대사학회 (44) : 127-153, 2006

      3 "魏書" 中華書局 1974

      4 박한제, "魏晉南北朝時代 墓葬習俗의 變化와 墓誌銘의 流行" 동양사학회 (104) : 37-83, 2008

      5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社會科學院, "高句麗壁畵古墳" 講談社 1986

      6 "隋書" 中華書局 1973

      7 司馬光, "資治通鑒" 中華書局 1956

      8 孔令忠, "記新發現的嘉峪關毛莊子魏晉墓木板畵" 11 : 75-85, 2006

      9 洛陽市第二文物工作隊, "洛陽漢墓壁畵" 文物出版社 1996

      10 金榮煥, "拓拔鮮卑 初期의 喪葬 習俗 小考" 11 : 461-483, 2000

      1 한정희, "중국 분묘 벽화에 보이는 墓主圖의 변천" 한국미술사학회 261 (261): 105-147, 2009

      2 전호태, "고구려 안악3호분 재론" 한국고대사학회 (44) : 127-153, 2006

      3 "魏書" 中華書局 1974

      4 박한제, "魏晉南北朝時代 墓葬習俗의 變化와 墓誌銘의 流行" 동양사학회 (104) : 37-83, 2008

      5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社會科學院, "高句麗壁畵古墳" 講談社 1986

      6 "隋書" 中華書局 1973

      7 司馬光, "資治通鑒" 中華書局 1956

      8 孔令忠, "記新發現的嘉峪關毛莊子魏晉墓木板畵" 11 : 75-85, 2006

      9 洛陽市第二文物工作隊, "洛陽漢墓壁畵" 文物出版社 1996

      10 金榮煥, "拓拔鮮卑 初期의 喪葬 習俗 小考" 11 : 461-483, 2000

      11 逯耀東, "從平城到洛陽:拓跋魏文化轉變的歷程" 中華書局 2006

      12 "後漢書" 中華書局 1965

      13 大同市考古究所, "山西大同迎賓大道北魏墓群" 10 : 50-71, 2006

      14 山西省大同市博物館, "山西大同石家寨北魏司馬金龍墓" 3 : 20-33, 1972

      15 大同市考古究所, "山西大同沙嶺北魏壁畵墓發掘簡報" 10 : 4-24, 2006

      16 大同市考古究所, "山西大同七里村北魏墓群發掘簡報" 10 : 25-49, 2006

      17 河北省文物究所, "安平東漢壁畵墓" 文物出版社 1990

      18 大同市考古究所, "大同雁北師院北魏墓群" 2008

      19 山西省大同市考古究所, "大同湖東北魏一號墓" 12 : 26-34, 2004

      20 王銀田, "大同智家堡北魏墓石槨壁畵" 7 : 40-51, 2001

      21 劉俊喜, "大同智家堡北魏墓棺板畵" 12 : 35-47, 2004

      22 大同市博物館, "大同方山北魏永固陵" 7 : 29-35, 1978

      23 山西省考古究所, "大同市北魏宋紹祖墓發掘簡報" 7 : 19-39, 2001

      24 張慶捷, "大同南郊北魏墓考古新發現, 2009中國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106-111, 2010

      25 山西省考古究所, "大同南郊北魏墓群發掘簡報" 8 : 1-11, 1992

      26 山西大學歷史文化學院, "大同南郊北魏墓群" 科學出版社 2006

      27 劉俊喜, "大同北魏墓群人物服飾淺議, in 山西省考古學會論文集(四)" 山西人民出版社 199-203, 2005

      28 鄭岩, "墓主畵像究, 劉敦愿先生記念文集" 山東大學出版社 450-468, 1998

      29 寧夏固原博物館, "固原北魏墓漆棺畵" 寧夏人民出版社 1988

      30 甘肅省文物隊, "嘉峪關壁畵墓发掘報告" 文物出版社 1985

      31 寧夏回族自治區固原博物館, "原州古墓集成" 文物出版社 1999

      32 "南齊書" 中華書局 1972

      33 高峰, "北魏平城繪畵簡述, 山西省考古學會論文集(四)" 山西人民出版社 191-203, 2005

      34 李凭, "北魏平城時代" 社會科學文献出版社 2000

      35 謝振發, "北魏司馬金龍墓的漆畵屏風試析" 國立臺灣大學美術史究集刊編輯委員會 11 : 1-55, 2001

      36 朴雅林, "北魏 平城시기 古墳美術 연구-고분출토 회화유물을 중심으로" 36 : 305-331, 2006

      37 徐潤慶, "北朝葬具畵像究" 中國社會科學院 博士學位論文 2008

      38 姚薇元, "北朝胡姓考 (修訂本)" 中華書局 2007

      39 李凭, "北朝究存稿" 商務印書館 2006

      40 李書吉, "北朝禮制法系究" 人民出版社 2002

      41 서윤경, "北朝 畏獸像의 연원문제와 상징성" 한국미술연구소 (27) : 67-93, 2008

      42 嚴可均, "全後魏文" 商務印書館 1999

      43 "中國畵像石全集 全8卷" 山東美術出版社·河南美術出版社 2000

      44 "三國志" 中華書局 1959

      45 Lucy Lim, "The Northern Wei Tomb of Ssu-ma Chin-lung and Early Chinese Figure Painting" New York University 1989

      46 Luo Feng, "Lacquer Painting on a Northern Wei Coffin" 21 (21): 18-29, 1990

      47 Yang Hong, "An Archaeological View of Tuoba Xianbei Art in the Pingcheng Period and Earlier" 34 (34): 2002

      48 Karetzky, Patricia Eichenbaum, "A Northern Wei Painted Coffin" 51 : 5-20, 1991

      49 Albert Dien, "A New Look at the Xianbei and Their Impact on Chinese Culture, Ancient Mortuary Traditions of China"

      50 張慶捷, "4-6世紀的北中國與歐亞大陸" 科學出版社 2006

      51 國家文物局, "2005中國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